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2

        221.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주요북방형(主要北方型) 목초(牧草)에 있어서 기상환경(氣象環境)과 예취방법(刈取方法)이 비구조성(非構造性) 탄수화물(炭水化物)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한국(韓國)의 Suweon, Cheju 및 Taekwalyong과 서독(西獨)의 Freising 및 Braunschweig에서 1975~'79년간(年間)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초종(供試草種)은 orchardgrass
        4,000원
        222.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ladino clover(Trifolium repens L.)가 우점(優占)된 혼파초지(混播草地)에 제초제(除草劑) 사용(使用)이 식생구성(植生構成) 및 초지생산성(草地生産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초지(草地) 시험포(試驗圃)에서 난괴법으로 4반복(反復)으로 1983~'85년간(年間) 실시(實施)되었다. 시험(試驗)에 사용(使用)된 공시초지(供試草地)는 클로버가 60~
        4,000원
        223.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本試驗)은 호밀 사일리지 제조시(製造時)의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19.2, 28.6, 32.2%)별(別) 개미산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을 달리 했을 때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시(實施)하였다. 호밀은 초장(草長)이 약(約) 40cm의 영양생장기인 11월(月) 29일(日) 예취(刈取)하여 즉시 또는 예건후(豫乾後) 포리에틸렌필림 봉지에 1,000g씩 채우고 실온에 보관하였다. 분석(分析)의 결과(結果)는 다
        4,000원
        225.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육기간중(生育期間中)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의 차이(差異)가 수수속작물(屬作物)의 건물생산(乾物生産)과 성분함량(成分含量)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공시작물(供試作物) 및 품종(品種)으로 수수의 Pioneer 931,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交雜種)의 Pioneer 988, 수단그라스의 Piper 및 옥수수의 수원(水原)19호(號)를 공시(供試)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은 포장용수량(圃場容水量)의 100, 80, 60
        4,000원
        227.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임목(林木)과 초사료생산(草飼料生産)이라는 측면에서 임간초지개발(林間草地開發)은 우리 나라에서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본(本) 시험(試驗)은 임간혼파초지(林間混播草地)에서 생산성향상(生産性向上)과 이용기간연장(利用期間延長)을 위한 적정시비수준(適正施肥水準)을 구명(究明)하고자 수령((樹齡) 10~15년간(年間) 소나무지대(차광정도(遮光程度) 40~50%)에서 질소, 인산, 칼리비료의 수준을 달리한 13가지 시비수준(施肥水準
        4,000원
        228.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종기(播種期)를 이동(移動)할 때 수수, 수단그라스, 그리고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交雜種)의 생육(生育), 건물축적(乾物蓄積) 및 성분함량(成分含量)의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져 1981~'83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파종기(播種期)는 4월(月) 16일(日)부터 2주일(週日) 간격(間隔)으로 7처리(處理)를 두었던 바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속작
        4,200원
        229.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추파(秋播)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추계예취시취(秋季刈取時取)가 목초(牧草)의 재생(再生), 탄수화물축적(炭水化物蓄積) 및 건물수량(乾物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수행(遂行)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물수량(乾物收量)은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빠른 구(區)일수록 높았고(P<0.05), 예취시기(刈取時期)가 제일 늦은 구(區)는 무예취구(無刈取區) 보다도 수
        4,000원
        230.
        198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eadow fescue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와 건물수량(乾物收量)과의 관계(關係)를 검토(檢討)하였다. 1. 엽면적(葉面積)의 수직적분포(垂直的分布)로서 품종(品種)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하층부(下層部)에 분포(分布)되어 상층부(上層部)로 갈수록 엽량(葉量)이 적어지는 품종(品種)(M), 중간층(中間層)에 최대엽면적(最大葉面積)이 분포(分布)되어 상(上) 하층부(下層部)
        4,000원
        231.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種實用 수수와 수단그라스의 交雜種인 Pioneer 988의, 窒素施肥水準에 따른 時期別 生育 및 乾物生産量을 조사하기 위하여 本 硏究를 실시하였다. 窒素肥科는 成分量으로 10a當 15, 25, 35kg을 施用하였으며 幼植物로부터 開花後期까지의 生育期間게 몇가지 特性을 調麥한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이 要約된다. 1. 出現葉數는 生育이 進行됨에 따라 증가했는데 穗孕期까지 급격한 증가를 보였고, 出穗期에는 最終葉인 15葉이 出現했다. 2. 葉面積指數는 生育의
        4,000원
        232.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濟州道內 6個部落 共同牧場 野草地를 對象으로 野草의 生産性과 植生比率이 家畜 增體에 미치는 效果를 究明하기 위해 1981년 5월부터 동년 11월까지 調査,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乾物收量은 7月收穫보다 10月收穫에서 2培二上 높았으며 모든 牧場이 같은 趨勢였다. 2. 野草의 祖蛋白質 含量은 7월보다 10월에서 낮았으며 粗纖維는 그 반대였다. 3. 牧場別로 볼 때 1일 增體量이 높은 河源과 海安牧場이 野草의 組蛋白質 含量이 가장 높았고 增體率이
        4,000원
        233.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 硏究는 土壞含水量이 바른 2個의 억새草地를 對象으로 하여 억새가 生産한 物質을 어떻게 植物의 各 器管에 分配하는가를 硏究하였다. 그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土壤含水量이 22.54%인 억새 草地 A와 9.22%인 억새草地 B間에 現存量의 極大値는 各名 2,267. 12g/m2와 943.44g/m2로 大端히 有意한 差가 있었으며 物質生産力의 peak는 9月로 鍾型曲線을 나타내었다. 2 억새가 合成한 養分은 地下莖에 저장하여
        4,000원
        234.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4,000원
        235.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 Sorghum bicolor (L.) Moench] 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 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신지(新枝)(측지(側枝) 및 분얼경(分蘖莖))의 발생(發生), 건물중(乾物重) 및
        4,000원
        236.
        202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nure in five beef cattle farms and two breeding farms in Hanwoo center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analysis and 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H of manure in all the farms in this study was within the appropriate range of 8.81 to 9.45. Second, the dry matter content varied from 44.7% to 70.5% for all the farms. Third, the total nitrogen content in all the farms was 2.05-3.04%, which is higher than the reported range; however, it could play a role as a soil improvement agent when used as compost. Fourth, although the exact range of ammonia-N (VBN) content was not reported, results analyzed in all the farms showed that the level of impact on the environment was insignificant. In conclusion, soil and environment improvement effect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if the manure at Hanwoo farms in the Gyeongbuk area are used as compost through appropriate management.
        23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maranth (Amaranth caudatu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reference crop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o determine its growth potential and cultivation requirements, we investigated its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productivity, and grain yield according to the growing period. Growth and dry matter productiv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lants that were sown on May 10th when the temperature was the highest, whereas the yiel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plants that were sown on April 10th. Amaranth grain yield ranged from 96 to 243 kg according to the sowing date and cultivation year.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plants that were sown on April 10th, May 10th, and June 10th were 120, 110, and 110 days after seeding, respectively. The mean temperature and growing period had a significant quadratic function with yield. Based on these equations, the optimum growing temperature was estimated as 20.6℃ and the optimum growing period as 104-119 days after seeding.
        238.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ajor growth responses, the production and partitioning of dry matter o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yields and to select the optimal shading material in both quality and productivity of ginseng. Two cultivars of ginseng, Cheonpoong and Geumpoong, were cultivated in the paddy soil with three different shading materials; three-layered blue and one-layered black polyethylene (TBP), blue polyethylene sheet (BPS), and aluminium-coated polyethylene sheet (APS). Plant heights were linearly increased until June 24 and then maintained with showing higher height in Cheonpoong than that in Geumpoong cultivar. Root lengths were gradually increased until October 16. They were longer in Cheonpoong than that in Geumpoong cultivar, showing slightly longer with APS compared to TBP and BPS. The ability of producing dry matter of leaves was much higher from April to June compared to those of other growth periods, whereas its ability of root was concentrated from the end of June to the end of August. Among the shading materials, the ability of producing dry matter of shoot was higher with TBP than those with BPS and APS, while its ability of root was not appeared certain tendency unlike the shoot. The yield of ginseng roots was the highest with TBP among three shading materials and it was higher in Cheonpoong than that of Geumpoong cultivar. The shading materials which affect the light intensity and the temperature w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o get better quality and productivity of Korean ginseng.
        23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체 담근먹이용 조사료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생육시기별 전체건물수량에 대한 식물체 각 부위별 기여도를 분석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조사료용 맥류 품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 후 생육시기별 건물생산에 대한 부위별 건물중의 기여도 변화 유형은 맥종에 따라 부위별 기여기간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보리는 귀리와 밀은 호밀 및 트리 티케일과 각각 동일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2. 보리와 귀리는 출수 후 20일 이후부터 전체 건물수량에 대한 부위별 기여도가 줄기에서 이삭으로 변화되는 반면 밀, 호밀, 트리티케일은 출수 후 30일 이후부터 이삭의 기여도가 줄기의 기여도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전 맥종에서 줄기 건물중과 이삭 건물중이 출수 후 전 기간에 걸쳐 전체 건물수량에 있어서 주도적인 기여를 한 반면 잎 건물중의 기여도는 출수 후 10일 이후에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줄기 건물중에 대한 기여도는 초장보다 수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생산성이 우수한 담근먹이용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각 맥종 공히 새육후기에 전체건물수량에 대한 이삭 건물중의 기여도가 높은 특성을 고려하면 이삭의 등숙이 빠르고 이삭무게가 무거운 수중형 품종이 수량성 및 이용성제고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240.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운영 재배농가에 자운영 안정적 입모확보에 기초자료를 얻고자 자운영 지속재배와 매년파종시 입모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지속재배포장에서 가을철 토양 속 자운영 종자는 이앙전 로타리는 토양표면에서 15 cm깊이까지 고루 분포한 반면, 부분경운 이앙시는 주로 10 cm깊이 이하에서 대부분 분포하였다. 2. 자운영 지속재배시 출아깊이는 부분경운 이앙시 1~3 cm. 로터리경운 이앙시 1~5 cm에서 출아가 되었다. 3. 자운영 지속재배는 표면에서 출아하는 매년파종 자운영보다 월동전 뿌리 길이가 깊어 월동율이 높고 논 정지 작업시 종자가 토양과 고루 혼합이 되어 입모균일도가 10.6~11.7% 가량 높아 입모수 확보가 유리하였다. 4. 자운영 지속재배시 건물생산성은 수분부족 및 저온 등기상환경이 불량 할 경우 매년파종보다 건물생산성은 높았으나 환경조건이 양호할 경우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