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0

        222.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는 유기염소계 농약잔류성분의 GLC분석에 간섭하는 물질이다. 본 실험에서는 PCBs의 존재하에 대표적인 유기염소계 농약 및 이들의 주요대사물의 분석을 목저르오 Florisil column상에서 PCBs와 농약성분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활성화한 Florisil column에서 , Heptachlor, epoxide, Dielerin, p.p'-DDD, p.p'-DDT와 Aroclor 1254는 완전히 그리고 정량적으로 분리하여 GLC로 분석할 수 있었다. Heptachlor와 Aldrin은 Aroclor와 함께 elution되나 Chromatogram 상에서 정량이 가능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용한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는 많은 시료를 대상으로 한 잔류농약의 효과적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4,000원
        223.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BC 2016 및 ACI 318-08에서 확대머리 철근의 순간격에 대한 지나치게 엄격한 요구 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2/3 스케일의 외부 보- 기둥 접합부 실험체를 준정적 반복 하중을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내진 실험을 통해 좁은 간격의 철근 순간격과 다열 배치 확대머리 철근 적용여부를 주요 변수로 하여 내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본 실험결과를 이전 연구자들의 실험 데이터와 함께 면밀히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확대머리 철근에 대해 2db의 철근 순간격 또는 2 개층의 확대머리 철근의 사용은 내진 설계에 있어 허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2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스트텐션 프리캐스트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보-기둥 접합부에서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가 접합부 내부를 관통하기 때문에, 기존의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RC) 보-기둥 접합부와 다른 거동을 나타내며, 포스트텐션 PC 접합부의 정확한 해석 및 설계를 위해서는 먼저 긴장재의 부착특성 및 그에 따른 접합부 거동이 명확히 규명 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포스트텐션 PC 보-기둥 접합부에서 긴장재의 부착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보의 거동 및 파괴모드를 규명함으로써 이를 추후 보-기둥 접합부 모델링에 활용하고자 한다.
        225.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에서 기계적 정착되어진 보의 SD700 고강도 인장철근에 대한 정착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진행되어진 실험의 일부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보통모멘트 골조에 적용되는 보-기둥 접합부 배근 설계를 하였으며, 실험체는 기둥에 접합되는 보를 제작하지 않고 보 인장철근에 인장을 주고 보 압축응력은 등가면적에 해당하는 압축판 을 이용하여 단순화하여 시험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기계적 정착된 고강도철근의 정착강도, 접합부 전단강도, 철근의 분담 응력, 파괴모드 등이 분석 비교되어진다.
        22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전단파괴가 예상되는 기둥 실험체에 부착형 및 구속형 보강재를 적용하여 전단능력 향상과 연성 및 에너지 소산능력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축하중과 횡하중을 동시에 저항하면서 전단파괴가 예상되는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부착형 및 구속형 보강재를 적용한 실험체의 전단보강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축하중과 동시에 횡하중을 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면서 기록된 결과를 토대로 하중-변위 곡선을 작성하여 전단보강을 통한 기둥의 보강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보통모멘트골조 실험체는 8.00%의 층간변위비에서 하중이 급격히 감소함이 나타났다. 그러나 유리섬유 복합체 보강 실험체는 마지막 8.00%의 층간변위에서도 하중이 크게 줄지 않았으며, 이후 더 큰 층간 변위비에서도 하중을 부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는 보통모멘트골조보다 유리섬유 복합체로 보강된 실험체의 내진성능확보능력을 보여 준다.
        227.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규모 철골조건축물의 접합상세에 대한 현장조사에 따르면 지진하중에 의한 횡적 안전성 및 안정성 확보가 불충분할 것으로 예상되는 임의 접합상세가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강구조건축물의 노출형 주각부 약축 연결부의 반복이력 실험을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내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접합상세의 개발을 위해 일련의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결과에 의하면, 국내에서 흔히 사용되는 노출형 주각부 약축방향 접합부의 이력거동은 앵커볼트가 콘크리트로부터 점진적으로 인발됨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와 앵커볼트사이에 이격거리가 누적되어 하중역전구간에서 “Rocking” 현상이 발생되어 내진성능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하여 앵커볼트의 콘크리트에 대한 부착 유/무와 개수 및 배열형태 등을 변수로 한 성능 개선 실험체에 대한 일련의 반복 이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소규모철골조 건축물의 노출형 주각부에 고강도 전산볼트형 앵커볼트를 8개로 3열로 배치하는 상세의 적용을 통하여 하중지지능력과 에너지분산능력 측면에서 내진성능이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8.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 전통 목조 건축물의 경우 구조적 성능은 재료 특성, 접합부의 형태, 치목의 정밀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기존 사례 연구에서도 보와 기둥 접합부 형태는 변형 및 간격의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이는 단층 건물뿐만 아니라 대규모 다층 건물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합부 형태에 대해 분석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구조적 성능을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주먹장맞춤의 실험체에서 최대 하중을 나타냈다. 각각의 형태의 접합부에 의한 구조적 성능을 종합하면, 도래걷이 주먹장 맞춤이 가장 높은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도래걷이 장부맞춤의 순으로 나타났다. 건물의 구조적 성능은 관통하는 보의 치목 형태와 기둥 내부의 접합부 형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다층 건물의 신축 또는 복원을 위해 고려되어야하며 이후 계속 연구되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22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compressive strengths of slab-column connections with different strengths. From the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interior columns completely restrained by slab were similar to the compressive strengths of the columns.
        23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presents effectiveness of fiber-reinforced polymer column jacketing system for a non-ductile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 constructed before the 1970s. To investigate the retrofit effects, a series of full-scale dynamic tests for the retrofitted test frame was conducted, and the dynamic response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non-retrofitted test frame. The effectiveness of the retrofit system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response reductions, damage mechanisms and drift concentration factors.
        231.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강 - PC 복합모듈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스 성형된 비대칭 기둥과 보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모듈러 골조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접합부는 폐쇄형의 사각형 강재 기둥 단면을 주로 사용한다. 폐쇄형의 기둥 단면을 사용한 기둥-보 접합부는 시공성을 감소시키고 내화성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강판을 프레스로 성형하여 비대칭 개방형 단면 내에 콘크리트를 충진하는 것이다. 프레스 성형된 비대칭 기둥-보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총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비대칭 기둥의 구조적 성능과 거동이 비대칭 기둥 단면이 합성되는지 또는 기둥의 폭-두께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보여주었다. 프레스 성형된 비대칭 기둥-보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은 실험결과와 이론식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232.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실제 단면크기를 갖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의 내진보강을 위한 단면확대 공법에서 효율적인 띠철근 배근 방법을 평가하였다. 비내진 상세를 갖는 기존 기둥의 단면크기는 450 × 450 mm이며, 단면확대 보강기둥의 단면크기는 750 × 750 mm이다. 확대 단면에서의 폐쇄형 외부 띠철근 배근을 위해 ㄷ-형 띠철근의 겹칩이음 및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제시하였으며, 보조 띠철근으로서 크로스타이 앵커링 시공 및 V-타이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무보강 기둥 및 ㄷ-형 외부 띠철근을 적용한 보강기둥의 압축내력은 ACI 318-14의 공칭내력과 비슷한 수준인 반면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적용한 기둥의 압축내력은 ACI 318-14의 공칭내력 대비 1.25배 높았다. 특히 철근 선조립 공법을 적용한 보강 기둥의 압축 연성비는 크기효과에 의한 연성비 저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기둥에 비해 139% 증가하였다. 즉, 제시된 철근 선조립 공법은 단면확대 보강기둥에서 주철근 조기 좌굴방지 및 콘크리트 구속에 효율적인 띠철근 상세로 평가될 수 있었다.
        23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the demand for seismic retrofitting has risen rapidly due to the increasing risk of collapse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columns due to the subsequent occurrence of the Gyeon-gju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in Korea. In the existing seismic retrofitting method, there are many seismic retrofitting methods such as steel plate reinforcement, fiber reinforcement, and cross-sectional enlargement, but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method in terms of workability, economic feasibility, durability and maintenance. Therefore, seismic strengthening method of rectangular shaped RC column using rapid fastening of steel bars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is proposed, and the seismic evaluation of the proposed method is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23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effect on seismic performance of Binding Column Method(BCM) system was empirically evaluated. Four column models that were confined by different forces and one rare column model as a control were manufactured for cyclic loading test. As a result, in the column retrofitted with BCM, the ultimate displacement and load were increased about 2.5 and 2.0 times. Also, the energy-dissipating capacity of the retrofitted model was improved, compared to a rare column model.
        235.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듈형 구조시스템은 학교 및 아파트 건물과 같은 저층 및 중층 구조물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층 건물에 모듈러 구조시스템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고층 모듈러 구조시스템에 대해 충분한 저항력과 경제적인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복합모듈 구조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실험을 통해 단위 복합모듈 구조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대칭 복합 기둥의 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적 연구는 기둥의 세장비, 편심율 및 관통바 유무에 따라 기둥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었다. 단위 모듈 구조에 대한 비대칭 기둥단면의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결과로부터, 설계식은 단위 복합모듈 구조에서 비대칭 기둥단면의 적절한 강도 예측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3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before and after core compression tes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the ultrasonic pulse velocity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umn member ultrasonic pulse velocity before core test, the column member ultrasonic pulse velocity after core test,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re specimen were analyzed by fabricating a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hollow column member.
        23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ompressive tests were carried out on seamless circular tubular short columns with corrosion-damaged end, and investigated change in compressive strength of columns with local corrosion at the end. Local corrosion was artificially introduced by milling machine, and differed in corrosion depth (0, 1.5, 3, 4.5 mm), corrosion height (0, 20, 60, 120 mm), and corrosion circumference (0, 90, 180, 360˚ ). As a result, the compressive loads were linearly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corrosion degrees,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for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of seamless circular tubular short column with corrosion-damaged end was suggested by using corroded volume loss ratio.
        238.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ight small scale circula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ere tested under cyclic lateral load with 4.5 aspect ratio. The test variables are longitudinal steel ratio, transverse steel ratio, and axial load ratio. Eight flexurally dominated columns were tested. In all specimens, initial flexural-shear cracks occurred at 1.5% drift ratio. The multiple flexural-shear crack width and length gradually increased until the final stage. The angles of the major inclined cracks measured from the vertical column axis ranged between 40 and 48 degre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assessing transverse reinforcement contribution to the column shear strength. Transverse reinforcement contribution measured during test. Each three components of transverse reinforcement contribution, axial force contribution and concrete contribution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239.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erimentally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connection of modular system. As a result of experiment study, two specimens did not show the strength reduction and brittle fracture at connection until 2% story drift. Thus, requirements for intermediate moment frame(IMF) was satisfied in two specimens.
        24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alysis studies were carried out on asymmetric column to beam connections of steel plate rolled forming steel-PC composite modules. The main variables of analysis are asymmetric column composite or non-composite, thickness of steel plate and reinforcement or no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rength of the local buckling decreased from the upper flange of the beam. The connections are improved so that the upper flange surface of the beam has both the moment and horizontal shear resistance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reinforced connection, the strength and stiffness increased linearly regardless of the column composi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stiffener. The stability of the connection and the possibility of securing the momentum were confirmed. This result is reflected in the experimental plan of the conn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