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1

        24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품의 미적/기능적 속성 수준과 브랜드 파워가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피험자에게 제품사진과 정보를 제공하고 호감도 및 품질평가를 지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파워가 낮은 제품보다 브랜드를 제시하지 않은 제품이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감성적 제품의 경우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4,000원
        24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an approach for analyzing brand loyalty and brand switching behavior in car insurance market is presented. A two-choice model by Blumen, et al. that uses Markov chain is adopted as a main technique for estimating brand parameters. Survey
        4,000원
        247.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on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in the family restaurant.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20 students in the K University located in Masan, who were sampled by convenience-sampling method. Th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November,10 to 24,2005. The 287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and 15 unusabl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hen 272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response rate: 85.0%).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3 constructs(self-connective attachment, satisfaction and intimac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visit intent(p<.01) and 2 constructs(satisfaction and intimac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recommendation intent in the family restaurant(p<.01) It meant that as consumer-brand relationship quality became stronger, the customer's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became greater. As a conclusion, the foodservice manager in the family restaurant should focus on the marketing strategy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 especially emphasizing on satisfaction and intimacy in order to increase the revisit intent and recommendation intent of customers.
        4,000원
        251.
        2006.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C SONY社의 Workman이 주도하던 휴대용 음향기기는 21C에 들어 MPMAN.COM에서 최초 개발되었던 MP3-Player에 밀려 지금은 사실상 시장 퇴출 상태이고 현재는 소비자에 감성이 고려된 MP3-Player(이하 MP3P)가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끌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P3의 기능요인과 감성요인이 어떻게 상관관계를 이루어 MP3P 브랜드 선택에 이유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P3P제품의 외부적 감성 측정을 위해서는 디자인 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제품 내부적 기능 디자인 측정을 위해서는 제품품질 특성 변수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 값으로 경쟁 브랜드가 가지는 브랜드 이미지를 벤치마킹하여 단점을 보완할 수 있으리라고 예상한다.
        4,000원
        25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브랜드 커피의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된 기초연구이다. 소비자에게 비춰진 색채 이미지와 브랜드 자체의 고유 색채전략과의 일치성 측정하기 위해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브랜드 선호도 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선호도와 온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 통일 간의 관계를 밝히려했다.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에 기초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색채 이미지와 통일성을 가진 웹 색채계획을 통해서 효과적인 색채전략을 수립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브랜드 커피의 색채전략에 관한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온 오프라인의 통합색채전략의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하여 구체적 해결과제로 시작된 연구로 웹 사이트 설계 시 색채계획의 차원으로 접근하였다. 색채 이미지의 분석을 위해 사용한 두 가지 기준으로는 색채의 감성적 측면과 색채의 기능적 측면인데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I.R.I.의 색이미지 척도와 사또루후지의 색채정보전달의 5가지 요인을 사용했다. 오프라인의 자극물을 인쇄물로만 제한했던 선행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의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웹 사이트 색채 계획 시 유의해야 할 사항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려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브랜드 고유의 색채전략 을 기초로 한 온 오프라인의 색채 이미지 통일을 이루며 이를 통한 총체적인 브랜드 이미지 향상에 본 연구가 기여되길 기대한다.
        4,500원
        254.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measure brand personalities of deluxe hotels in Seoul,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brand personality between local and international hotel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460 employees in kitchen and F&B departments of 11 deluxe hotels in Seoul. A total of 39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ylsis(86.5%) and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SPSS Win(12.0) for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 and AMOS(5.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eluxe hotels have brand personalities relatively strong at 'affection', 'sophistication', 'competence' dimensio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hotel nationality. The brand personality scores of international brand hotels perceived by employees were high at the 'excitement'(p<0.001), 'sophistication'(p<0.001), and 'competence'(p<0.01) dimensions, whereas local hotels were considered more obedient(p<0.01). Overall, it could be a key factor for successful brand management that establish a distinctive brand personality, and a localized brand personality measure will lead to more desirable decision making.
        4,000원
        258.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고디자인에 있어서 광고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의 양의 광고수용자의 광고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기존 연구는 주로 자원-부합이론(Resoruce-matching theory)의 관점에서 광고에 포함되어 있는 외부정보의 효과만을 주로 검증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달리 광고에 제시된 브랜드명 의해 유발된 심상정보처리와 같은 내부정보의 정보량이 어떻게 광고수용자의 광고평가효과를 조절하는지를 두가지의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광고에서 제시된 브랜드명은 광고수용자가 인지적 잉여자원이 있는 경우 심상정보처리를 유발시키고 이러한 심상정보처리과정이 명성브랜드일 경우에는 광고에 대한 평가를 긍정적으로 유도하는 반면 비명성브랜드의 경우에는 부정적으로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광고디자인프로세스에서 명성브랜드라면 광고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제품관련정보를 많이 내포해야 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오히려, 이미 소비자의 인식속에 구축되어 있는 브랜드자산을 통해 심상정보처리와 같은 내부정보탐색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하도록 광고디자인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비명성브랜드의 경우에는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품관련정보를 다양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가 향후 광고디자이너들이 광고디자인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상에서 광고수용자들에게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어떻게 광고디자인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에 도움을 되기를 바란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