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5

        241.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산 꽃라리과는 지금까지 3속 3종이 알려지고 있을 따름이다. 본인들은 최근 체코슬로바키아 과학원의 북한곤충채집 원정대(1989년 7월~8월)에 의해 수집된 표본을 근거로 조사한 결과, 새로 1 신종, 1 한국미기록종, 6 한국미기록종, 8 북한미기록속 및 9 북한미기록종을 포함, 총 10속 16종을 분류 동정하였다. 따라서 북한산 꽃파리과는 12속 20종이 되며, 전한국산 꽃파리과는 모두 26속 106종이 된다.
        4,000원
        242.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oreans have been interested in the North Pacific fisheries since the exploratory fishing was carried out by R/V Baek-Kyung of Pusan Fisheries College in 1966. Although the salmon fishing was interrupted by some countries, Korean trawlers are venturing in the North Pacific Ocean for catching demersal fishes. The trawl fishery in the region raises some problems. i. e. the conflict with the coastal or nearshore fishery, low fish price, etc.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plan for the settlement of these problems..
        4,000원
        243.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xamined the ocean forcing, associated with the different trends in precipit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using GPCC V2018 precipitation and OISST V2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or the recent thirty years of 1982-2011.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the precipitation trends in the monsoon (June and July) and post-monsoon (August and September) seasons were different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respectively, with increased and decreased trends, during the both monsoon seasons. During the monsoon season, the results of detrended correlation and composite analysis showed the opposite relationships of precipitation with SSTs in the equatorial Pacific and Arctic Ocea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t was identified that large-scale atmospheric circulation linked to ENSO can differently affect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post-monsoon season, the correlation and composite patterns across the oceans in the Northern Hemisphere were generally similar for the two Koreas. It was suggested that near the ocea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land surface forcings might affect the precipitation variability during the post-monsoon season, especially in North Korea.
        244.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남한과 북한의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수학교육에서 변화를 보였으며,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북한은 중등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 기존에 없던 통계에 관한 내용을 중학교 1학년에 새롭게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인 남한의 2015 수학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의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 영역에 대해 학습 요소의 지도 시기, 단원 구성과 학습 내용 및 전개 과정의 측면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내용 영역별 학습 요소의 지도 시기와 유무를 비교한 결과 중학교 1학년 통계영역에서 다루는 학습 요소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남한은 자료의 정리의 측면을 강조하고 북한은 남한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주로 다루는 자료의 수집의 측면을 강조하여 거기에 맞는 학습 요소가 도입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한의 교과서는 통계 영역 성취기준에 공학적 도구 활용이 추가되었으나 북한은 그렇지 않았다. 통계 단원의 학습 내용 및 전개 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학습 소재측면에서는 남한 교과서는 단원에서 실생활 소재와 수학 교과 외의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활동별로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반면 북한 교과서는 학교 내의 소재를 주로 활용하 였다. 수학 용어를 살펴보면 남한은 외래어를 함께 사용하는 반면 북한은 외래어를 우리말로 바꾼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자료수집 상황은 남한은 자료 정리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북한은 자료수집 상황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 전개 과정에서는 남한은 ‘개념 열기’를 통해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후 주요 용어나 학습 개념을 설명하고 있으며 각각의 과제가 독립적인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북한 교과서는 용어 설명과 ‘생각하기’, ‘해보기’가 정해진 순서 없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입 부분에 제시된 문제가 전개 정리 단계에서까지 계속 활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245.
        202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The cooperation on disaster prevention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en mostly focused on cooperation at the recovery stage, such as emergency relief supplies and equipment support. This study aims to articulate future practical development plans by analyzing disaster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aradigm of international disaster cooperatio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inter-Korean cooperation, the Framework for Inter-Korean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on was established centering on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The framework consists of understanding and sharing disaster risks, building back better, strengthening community resilience, and supporting regional disaster action plans for continuous action. Inter-Korean disaster prevention cooperation requires sharing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n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and support social vulnerability to North Korean disasters. Above all, it is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disaster action plans from a humanitarian perspective needs. A medium-to-long term resilience reinforcement plan that North Korea can resolve on its own is also needed. Since North Korea is also deeply interested in international disaster cooperation, it should be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Sendai Framework.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inter-Korean cooperation, a path for North Korea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disaster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246.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North Korea is a very close country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but the nation has been one of the most secretive countries in the world. However, in recent years, North Korean society has been known to rapidly change its economic environment as well as its diplomatic and political environment. Since the gaining power of Jong-un, Kim in 2012,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new set of economic policies. North Korea has embraced limited market systems and mechanisms that have become a part of the formal planned econom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market and marketing activities of the communist country. It also seek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hanging market behavior of North Korean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market environments of North Korea and to provide appropriate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cademic access to information that can understand North Korea's reality is minimal.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qualitative analysis of secondary data. The existing literature on North Korea, related news and reports were the basis of the analysis. Analysis of secondary data related to North Korea was the main methodology of the study. Results: The official ideology of North Korea rejected most aspects of marketing, and yet there were marketing activities in North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market and marketing activities in North Korea during the recent years. This study indirectly confirmed that the market function is being activated in North Korea, and the basic functions of marketing such as advertisement, price, and distribution are being formed. In this process, the activation of the ‘Jangmadang(market)’ played a significant role. Conclusions: Research shows that North Korea is rapidly developing its own market function. In addition, marketing activities such as advertising and pricing strategies seem to be unprecedentedly active. However, due to changes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the future development of North Korea's marketing is still in flux. Efforts to improve mutual understanding through continuous research are required.
        247.
        2020.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6년부터 북한은 핵실험을 진행하여 유엔의 안전보장이사회는 대북 제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 지 북한은 총 6회의 핵실험과 여러 번의 탄도 미사일 실험을 진행했으며, 각각의 핵실험과 탄도 미사일 실험 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는 즉시 이에 대응하는 제재 결의를 발표하였다. 현재까지 유엔의 안전 보장이사회는 대북 제재를 11회 진행했으며, 북한에 대한 제재 수위가 지속적해서 확대되었고, 특히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2371, 2375, 2397호 결의는 북한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데이터에 따르면, 북한의 국제 무역 파트너는 주로 아시아의 중국, 한국, 러시아, 인도, 파키스탄 등 이며 제재 영향으로 한국, 태국, 필리핀과 싱가포르가 잇따라 북한과의 무역을 축소하였다. 이로 인해 해당 국가들의 2017년 북한과의 무역액이 크게 감소하여 중국이 북한의 가장 큰 무역국이 되었다. 유엔의 대북 제재가 심화하면서 북한 대외 무역의 에너지, 금융, 노동력 수출 등 각 측면이 포함되었고, 유일하게 관광업만이 제재 대상에 속하지 않아 관광업만이 북·중 무역 교류의 주요 내용이 되어 북한 경제와 사회의 지속에 핵심 요소가 되었다. 따라서, 북한 경제 발전과 북·중 무역 및 교류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위해서는 북·중 관광 발전의 상 황과 특징을 깊이 연구해야 하며, 이를 통해 북한 경제, 동북아 지역 발전과 정책 수립, 북·중 협력 발 전, 한반도 상황 판단 등에 일정한 참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정성 및 정량 분석을 결합하여 유엔의 대북 제재 과정, 내용, 영향 등에 대해 분석한 후, 북·중이 해당 상황에 따른 관광업 교류 발전에 대해 연구하여 북·중 관광 교류와 발전 성과 그리고 특징을 고찰한다. 다만, 유엔의 대북 제재 시간과 영역이 비교적 광범위하고, 또한 11회 제재 포인트와 영향이 크기 때문에 본 논문은 2013년 북한의 제 3차 핵실험 이후 유엔의 제재에 대한 연구를 중점으로 한다.
        248.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rchitecture developed in North Korea since its foundation in 1948 but especially since the proclamation of the Juche thought as the unique state ideology in the early 1960s, has included two major referential imaginaries: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the expression of the econom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The presence of these imaginaries, mediated by the architectural language but also by the production policies, have oscillated throughout decades with varying intensity under the rule of each of the three Kims. The paper analyses different elements of traditionally and technologically inspired architecture, resumed in the title in two significative elements, the hapkak roof and the glass curtain wall, and looks into their transformation and modern interpretation in different times. The aim is to link the dominance of either of those imaginaries with the epoch and political discourses of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as tools for establishing the periodicity of contemporary North Korean architecture despite the omnipresent discourse of the national character of North Korean architecture. All three leaders have had strong influence on the architectural creation, understood as regimes’ most valuable propaganda device and have preferred one over another imaginary. It will also be interesting to link these variations with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architectural scene.
        249.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국제난민지원단체를 설립하고 20여 년간 난민 보호활동을 하고 있는 이호택 대표의 생애사 연구이다. Atkinson(1998a, 1998b)의 내러티브 탐구의 생애 이야기 면담 방법으로 7회에 걸쳐 생애사 텍스트를 생성하고, Adriansen(2012)이 제시한 ‘타임라 인 면담 분석’으로 코딩한 후, Lieblich 등(1998)이 제시한 ‘통합적 내용 접근’으로 리코딩 했다. 그의 생애 이야기의 독자성을(Lieblich et al., 1998) 일곱 가지 주제 곧, 난민처럼 인생의 가장 약한 지점에서 시작되는 이야기, 활동가의 길을 가게 한 생의 분기점과 결정적 만남, 대한민국 소수자 보호활동의 개척사를 쓴 개척자, 타인을 위해 생명을 나누고자 하는 사명자, 세상을 이해하며 삶이 뒷받침되는 공부를 추구하는 이유, ‘난민들의 피난처’라는 의미, 대한민국 활동가로서의 생애 비전과 좌우 이념을 오가는 통합 방식 등으로 구성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 1세대 난민 활동가의 생애사를 통해 대한민국 사회에서 난민 코드를 탈북 코드와의 접합 속에서 개인적, 구조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었다.
        250.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은 수력발전이 전체 발전량의 약 63%를 차지할 만큼 비중이 높고, 지리적으로 수력발전 개발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3 개의 북한 댐개발 가능지점에 대해 DEM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분석 및 저수량을 산정하고, MWSWAT 모델을 이용한 30년간의 장기유출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추정하였다. 33개 지점의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은 현재 북한 수력발전량의 약 28%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도별 공업지구 규모를 추정하고, 장래 인구 변동을 전망하여 도별 댐개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저수량과 연간가능발생전력량을 기초로 도내 댐 개발 우선선위를 선정하였다. 도별 우선순위는 평안남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황해북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황해남도, 강원도 순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지역의 수력발전댐 개발사업의 진출을 위한 초기 검토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51.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
        252.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spite being located faraway from one another, North Korean leader Kim Il Sung and Zimbabwean leader Robert Mugabe formed an unlikely friendship during the late 1970s and 1980s. As guerilla fighters-turned postcolonial leaders, these two autocrats developed close emotional bonds built around admiration, fear, and trust. Using archival sources from the United Kingdom’s National Archives, North Korean press reports, and journalistic accounts, this article emphasizes emotions as a window into examining this Afro-Asian alliance. From wanting to emulate North Korea’s land reform program to sending a group of librarians and academics to the communist state to learn from Pyongyang’s educational system, Mugabe’s government admire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as a model of socialist development during the 1980s. Fearing instability at home, Mugabe also sought North Korea military assistance to squash his political rivals. Finally, Mugabe trusted Pyongyang as a “war-time friend” that had always been there for his African state. Thus, Zimbabwe continues to align itself in the post-Cold War era with North Korea while much of the world cuts off ties with the increasingly isolated state.
        25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는 시생대 호상철광층으로 북중국 지괴의 동쪽 블록 중 용강 블록에 속한다. 무산 철 광상을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무산층군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를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안산층군으로 이들은 주로 철질 규암, 각섬암, 편암, 혼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주 광종은 주로 철질 규암에 배태되어 있는 자철석이다. 광체의 모양은 무산 철 광상의 경우 습곡에 의해 말발굽 모양을 갖지만 안산-번시 철 광화대의 경우 대부분 층상의 모양을 갖는다. 호상철광층의 생성 연대는 무산 철 광상은 약 2.66-2.52 Ga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2.55-2.53 Ga로 보고되어 시기적으로 유사하며, 광상형은 모두 알고마 유형으로 알려져있다. 결론적으로 무산 철 광상과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지질 및 형성 시기, 그리고 광상 특성이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25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반도는 동계올림픽 단일팀 참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 방안이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이고, 도로, 철도 등 남북 주요 인프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북한 시설물은 고령화, 노후화 및 유지관리 불량 등 시설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인프라 개선 및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성능관점의 북한 유지관리 수준을 분석하고 남북 상호 인프라 유지관리 수준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의 도로, 철도 등 국가기반시설과 전력 및 통신, 상하수도 등 생활기 반시설의 유지관리가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대한 보수․보강 등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전과 성능에 대한 평가를 통해 남북 유지관리 수준의 격차를 줄이고, 향후 통합 한반도 안전 및 유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55.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발행된 새로운 역사 교과서에는 이전 교과서에서는 수록되지 않았던 독도에 관한 북한의 역사교육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독도에 대한 북한의 역사 인식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본고에서는 북한 역사 교과서의 내용 중 독도에 관한 텍스트, 학습 자료 등을 남한 역사 교과서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 체제의 역사 교과서에서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남북한 모두 일본의 역사 왜곡 주장에 대한 부당성을 강조한다. 둘째, 독도에 관한 내용서술의 측면에서는 독도의 위치와 통사적 안내가 제시되고,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 고 있다. 셋째, 역사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지도에는 독도의 형상이 표현되었으며, 독도를 다루는 비중은 비슷하였다. 양 체제의 역사 교과서에서 특징적인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북한 역사 교과서는 인민을 강조해서 인물 위주로 내용을 서술한 반면, 남한 교과서에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통해 내용이 구성되었다. 남북한 역사 교과서에서 독도 관련 내용은 공통적으로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다뤄지는데, 남한의 경우 현대사 시기의 학습단원에서 강조되고 있다. 이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개진하며, 독도에 관해서만은 남․북한이 하나의 관점과 의지로 함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56.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 영향으로 미래의 유출량은 변화할 것이다. 미래 유출량의 변화는 수자원시설에 유입량을 변화시켜 발전량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인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을 평가하였다. 수자원시설에 대한 발전량은 물의 에너지에 의해 수차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물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고 운동에너지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평가 결과,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은 현재보다 2011년부터 2040년까지 감소하였고, 2041년부터 2100년까지는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미래에 감소하거나 현재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의 발전량은 단기적으로는 감소하지만, 중장기 미래에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취약하고, 신규 북한 수자원시설은 기후변화 영향에 유리하게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5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housing type of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 housing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securing the safety of North Korean standard houses with relatively low structural performance compared to South Korea. In addition, we will use this data as basic data for planning a low-cost emergency reinforcement method to prepare against the natural disasters that are taking place frequently.
        25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to analyze the macrotrend of North Korea’s food supply and demand; to confirm the food security situation in North Korea in various respects; and to seek the sustainable ways of agricultural production as a prerequisite for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In particular, analyzing North Korea’s weather observation data, which has hardly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we investigated how North Korea’s agriculture had been affected by various natural disasters (flood, drought, soil loss etc.) caused by unusual weather. The results show the fact that the agricultural security systems of North Korea is vulnerable to both drought and flood due to extreme precipitation change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negative impacts on North Korea’s agricultural activ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North Korea’s agricultu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stem (dissolution of collectivization), increase the amount of agricultural materials, enhance soil fertility and develop agricultural machines. Most of all, this research reveals the fact that the most important and fundamental points for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it needs the systematic strategi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25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content deployment in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after Kim Jong-un assumed power. The author examined changes in the content deployment of first-year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were published after Kim Jong-un took power and analyzed how such changes affected the teaching method. For this, the article reviewed periodical publications on North Korean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around 2012 to examine the evaluation of the teacher's group which is directly affected the supplementation of the teaching method. The study focused on the changes in content deployment in textbooks as such changes require assessment on whether they require direct changes to the teaching method. The outcome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ly, changes in the content deployment methods of textbooks are made in various forms and approaches. Secondly, the way of describing contents has deviated from historical narrative.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is inevitable as the content deployment methods are transformed to enhance readability and to shift focus from knowledge transfer to activity-oriented manner. Moreover, British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teaching aids, and English the teaching method that came from outside helped to solve the thirst for new teaching method. However, it is not an easy task to change the teaching method for the vast majority of North Korean teacher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the ‘global education development trend.’
        260.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 development in North Korea has heighted the security situation in Northeast Asia region. Also, the discussion and interest relation to reunification of the government and academia including korean people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should asserts the needs and plan of infrastructure improv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for the civil structures facility including the main infrastructures of North Korea. Second, it estimate on the risk and technology level of Infrastructure Based o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refugees of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