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atural barrier, a component of the deep disposal system, has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ite of the repository, and is one of the main considerations for long-term safety evaluation after closure along with the engineered barrier among the multiple barrier systems of the repository. The natural barrier is defined in Korea as the natural underground and surface structures that can restrict the exposure of radioactive waste, human intrusion or groundwater infiltration into a disposal facility, and the transfer of radionuclides. It includes bedrocks and soils surrounding the engineered barriers of radioactive wastes [Notice of the NSSC, No. 2020021]. This study analyzed foreign regulatory requirements related to natural barriers, requirements for natural barrier and performance target of Sweden and Finland (safety functions and target characteristics of natural barriers, e.g. natural barrier composition, geological characteristics,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verseas regulations and cases referenced to derive regulations of general safety requirements on natural barrier are IAEA SSG-14, SSMFS 2008:21 in Sweden, STUK/Y/4/2018 in Finland, and POSIVA SKB Report 01, a joint report between POSIVA and SKB. The repository site and repository depth should be chosen so that the geological formation provides adequately stable and favorable conditions to ensure that the repository barriers perform as intended ove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The conditions intended primarily concern temperature- related, hydrological, mechanical (for example, rock mechanics and seismology) and chemical (geochemistry, including groundwater chemistry) factors. Furthermore, the repository site should be located at a secure distance from natural resources exploited today or which may be exploited in the future [SSMFS 2008:21]. Finland regulations also suggests similar requirements [STUK Y-4-2018]. According to the above regulations, POSIVA SKB report 01 mentions both the host rock and the underground opening as natural barriers and requires a safety function, and the main safety functions of the host rock and underground opening are as follows: (1) Isolation from the surface environment; (2) Favorable thermal conditions; (3) Mechanically stable conditions; (4) Chemically favorable conditions; and (5) Favorable hydrogeological conditions with limited transport of solutes. Such safety functions would provide insight for understanding of the natural barrier of deep geological disposal system.
목회는 목회자, 회중, 목회사역의 삼대 요소로 이뤄진 삼각구도를 통해 수행된다. 목회에 있어서 이 세 가지는 어느 것 하나 빼놓을 수 없는 중요 한 것들이다. 그런데 그동안 목회론(혹은 목회신학)은 전반적으로 볼 때, 주로 목회자 혹은 목회사역에 집중해왔다. 그 결과 목회론에서 회중은 상 대적으로 관심을 제대로 받아오지 못했고, 따라서 목회자론과 목회사역론 에 비해서 회중을 논하는 ‘회중론’(필자의 조어)이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 한편 오늘날 신학 특히 교회론과 선교론은 급변하고 있고, 이런 변화 가운 데 회중에 대한 강조를 빼놓을 수 없다. 본 논문은 바로 이런 학문적 요구에 응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한편으로 교회사에서 회중론의 유산을 간추려보고자 한다. 다른 한 편으로 본 논문은 최근 신학 특히 교회론과 선교론에서 회중을 강조하는 담론들을 살펴보면서, 그것들이 목회론 특히 회중론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간추려보고자 한다. 교회사 가운데 평신도의 중요성은 간헐적으로 강조되 어왔고 대표적인 것은 종교개혁이지만, 본격적으로 신학적 조명을 받게 된 것은 20세기부터라고 할 수 있다. 관련 신학은 평신도 신학, 하나님의 백성 신학, 회중 신학 등이다.
This research summarizes the generating factors of greenhouse gas (carbon dioxide, methane, nitrous oxide) in hydropower dams and related domestic/foreign researches. Microorganisms and eutrophication are the main factors in greenhouse gases in hydropower dam reservoirs.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the hydropower dam is affected by meteorological factors and dam operation periods, and greenhouse gases are also emitted from the outlets. The fluxes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the hydropower dams were –926~180,806 mg CO2 m-2d-1, -0.19~3800 mg CH4 m-2d-1, and 0.01~16.1 mg N2O m-2d-1. In South Korea, the study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Korean hydropower dams has been rarely, and therefore it is inquired. This research suggested the methods on the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Korean hydropower dams and flux calculation.
영토주권을 수호한다는 측면에서 만약의 경우 독도문제가 국제재판소에 회부될 경우 이에 대한 사전준비가 필요할 것이다. 그것은 영토분쟁에 대한 국제판례의 이해와 분석을 통한 법리적 대비를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고유영토론과 실효적 주권행사를 내세우고, 일본은 고유 영토론과 함께 1905년 무주지선점을 주장하고 있다. 독도문제가 국제법원에 회부될 경우 한·일 양국은 각각 독도 원시취득의 증거와 주권의 장기간에 걸친 실효적 행사, 무주지선점에 관한 증거를 제출하게 될 것이다. 영유권 판정에 관한 국제판례의 판단기준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조약과 현상유지법리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부분 ‘실효적 주권행사’에 따라 인정했다는 점이다. 역사적 권원을 인정한 판례도 있지만 그 숫자는 매우 예외적일 정도로 작다. 실효적 주권행사와 관련된 최근 의 도서영유권 판례는 분쟁도서에 대한 국가 권한의 평화적이고 계속적인 행사의 실체가 되는 다양한 증거들을 검토하여 우세한 증거를 제시하는 측에 승소판결을 내렸다. 도서영유권과 관련된 국제판례를 검토한 결과 사람이 거주하지 않고 격리된 도서 영유권 분쟁의 경우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① 조약 문안에 격리도서가 규정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점. ② 현상유지법리가 적용될 여지가 거의 없다는 점, ③ 문헌과 기록 등 증거가 희박 하고, 설사 있다고 하더라도 객관성 결여로 증거력 부여가 어렵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실효적 주권행사의 상대적 평가에 따라 권원을 인정하였다는 공통점을 도출할 수 있다. ICJ는 영토분쟁 사건의 해결을 위해 조약(treaty), 현상유지법리(Uti Possidetis Juris), 실효적 지배(effective control) 순으로 적용한다. 독도와 관련하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의 해석이 우선될 것이며, 동조약의 해석에 따라 결정이 되지 않을 경우 실효적 주권행사 여부 에 따라 도서영유권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또한 한일 양국이 역사적 권원을 주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도 아울러 필요할 것이다.
중국 프랜차이즈 산업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의 진출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진출 희망기업들의 리스크는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며, 실패율 또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 프랜차이즈 시스템내에서 성과 향상을 위한 체인본부와 가맹점주의 갈등 유발 및 만족 요인, 체인본부에 대한 가맹점주들의 만족과 신뢰 향상을 위한 체인본부의 비전과 영향요인 등에 대한 연구 부족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체인본부와 가맹점주 간의 성과 극대화를 위한 거래만족, 체인본부 비전과 선행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체인본부 비전에 영향을 미치는 체인본부통제수준, 가맹점 의무 인식정도, 가맹점주 노력은 모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체인본부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체인본부 비전, 체인본부통제수준, 가맹점주 노력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체인본부 성과와 체인본부 거래 만족 간의 관계도 모두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 내 프랜차이즈 시스템의 성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체인본부 비전에 대한 요인 변수인 체인본부통제수준와 가맹점주 의무 인식정도와 이에 대한 가맹점주 노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체인본부 비전의 명확한 메시지 전달을 통한 거래만족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재기술, 표면처리기술 등의 발전에 따라 제품 및 공공시설물의 CMF(색채, 재질, 마감) 수준은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왔다. 특히, 민간부문 중심의 제품디자인 분야와 더불어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공공디자인 분야에서도 이러한 CMF 디자인의 발전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과 수준의 발전 에도 불구하고 제품 및 공공시설물의 CMF 개발이 사용환경과의 이질성, 사용자를 위한 사용성과의 연계 부족 및 디자인 개발의 마지막 단계에서 장식적 개념으로 국한하여 개발되는 이유 등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물리적, 감성적 가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품, 공공시설물 사례 및 연구자 본인의 디자인 개발 사례를 통해 CMF 개발의 방향 설정에 있어 주요문제점 및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제품 및 공공시설물 CMF 개발의 주요문제점을 색채, 재질, 패턴 등을 포함한 외관디자인 관점, 생산과 설치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 등을 포함하는 공급자 관점, 사용성과 사용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점 및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에 따른 분석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본연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CMF 디자인 개발을 위해 사용공간 및 설치공간과의 조화를 위한 절제된 칼라, 재질의 적용이 외관디자인 관점에서 중요하고 대상의 구조적 접근에 따른 부분별 생산 및 설치 방식에 맞는 재질의 분리 적용을 제안하였 다. 또한 사용자를 위한 사용환경 변화와 물리적, 감성적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제품, 공공시설물의 초기 디자인 단계부터 CMF 개발 방향을 함께 고려하여 추진하는 CMF 개발 프로세스의 변화 필요성 및 변화된 프로세스를 연구의 결론으로 함께 제안하였다.
현재 국내 댐‧저수지는 노후도가 높은 수준으로 노후 필댐에 대한 철저한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해외에서는 전자기장 탐사 등 선진기술을 활용하여 댐체 누수탐사를 수행중이나, 국내의 경우 비용절감 및 실무 적용성 향상을 위해 민관공동 투자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 기술개발을 완료하였다. 개발기술의 Test-bed 적용 결과 합리적 수준의 오차 범위내 비교적 정확한 누수경로 추정이 가능하였으며, 금년도 신뢰성 검증을 위한 추가 실증시험에서 시추조사 결과 및 동일조건의 전기 비저항탐사와 비교‧검증 결과도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본 탐사법에 대한 추가적인 실적 확보 및 이론 검증 등을 통해 노후 필댐에 대한 물리탐사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국가 기반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SOC 시설물들이 국내의 경제 성장과 함께 구축되었으나 현재 사용 연수 증가에 따라 고령화 시설물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내에 국한된 문제점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는 이에 대응하고자 성능중심의 SOC 유지관리 관련법인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2018.01.18. 전부 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 주요 국가들의 기반시설 평가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기반시설 관리체계로의 적용성 및 향후 관리 방안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The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economic activities of two rural villages near the city. It is the general notion that rural villages near large cities los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rural villages and change the areas with urban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e of urbanization. The survey also showed that Munho 4-ri and Jeongbae 1-ri in Gyeonggi-do have urban characteristics, such as population growth, agricultural activity reduction and non-agricultural activity increase, and community activity reduction. However, they also found that there were important differences in the future development patterns of the two villages. In other words, the reasons and purposes of migration of people moving to the two villages, the differences in the system of economic activity in the villages, and the differences in community cooperation are emerging. Therefore, the study shows that policies to develop rural villages near cities need to be implemented differentl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villages.
Although the diagnostic rate of organizing hematoma has increased, any crucial characteristic findings are not fully understood and elucidated. Even though it is a non-neoplastic lesion, radiological image findings can range from a benign expansile appearance to a more aggressive form such as bony erosion, which sometimes can make any confusion. Thus, clinician should make a diagnosis thoroughly based on the histopathologic finding. Here, we presented two cases of organizing hematoma of the maxillary sinus mimicking chronic rhinosinusitis.
본 연구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상담관)의 상담성과가 있는 상담 사례를 통해 군상담 의 실제를 경험하고 바른 이해를 돕는다. 연구는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다섯 단계로 이뤄졌다. 정기 면담, 추가 면담 녹음한 현장 자료를 연구자가 직접 전사했다. 상담관의 상담성과 경험을 상담자 기법, 태도, 경력과 전문성 중심으로 이야기 했다. 기법은 내담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적절한 개입으로 확인됐다. 태도는 내담자에 무조건적 존중과 공감적 이해, 비언어 사용으로 나타났다. 경력과 전문성은 공식적 교육 과정 후 워크샵 참여, 상담전문가 수퍼비전, 동료 수퍼비전, 지속적 성찰로 전문성을 유지했다. 상담관은 상담과 개인적 특성 통합으로 전문상담자 발달을 이루고, 정체성을 유지하며 상담성과를 내고 있다. 본 연구는 군상담의 상담 실제를 내러티브 탐구로 다룬 연구의 희소성이 있다. 또한 군상담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인식을 개선하고 상담자 중심으로 연구해 상담관의 질적 측면을 숙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장병의 심리적 안녕과 사고예방에 기여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s of Asan-si and Hongseong-gun in Chungcheongnam-do to deriv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school meal support center and improvement of the school meal policy in connection with local food.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meal support policy and local food supply policy for nutritionists in two areas.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issues to be improved intensively and the issues to be continuously managed over the medium to long term,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ement using IPA. As a result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school meal support policy and local food supply policy, both Asan-si and Hongseong- gun. focused on improving the price and quality of local food.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유역(9,645.5 km2)을 대상으로 극한 기후변화 사상에 따른 수문 및 유황의 변동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극한 기후변화 사상을 평가하기 위해 강우관련 극한지수(STARDEX)를 적용하고, GCM 10개의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해 4개의 평 가기간별(Historical: 1975~2005, 2020s: 2011~2040, 2050s: 2041~2070, 2080s: 2071~2100)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개의 습윤 (CESM1-BGC, HadGEM2-ES), 중간(MPI-ESM-MR) 건조(INM-CM4, FGOALS-s2) 극한 기후변화 사상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2080s 기간에서 중간시나리오 대비 2080s의 증발산은 -3.2~+3.1 mm로 변화하였고, 2080s의 총 유출량은 +5.5~+128.4 m3/s 변화하였다. 건조한 시나리오의 경우 2020s 중간시나리오대비 큰 변화를 보였다. 건조한 시나리오에서의 2020s의 증발산량은 -16.8~-13.3 mm 의 변화를 보였고, 총 유출량은 -264.0~132.3 m3/s의 변화를 보였다. 유황 변동의 경우, 2080s 기간의 습윤한 시나리오에서 CFR은 +4.2~+10.5, 2020s 기간의 건조한 시나리오에서는 +1.7~2.6으로 변화 하였다. 극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금강유역의 수문인자의 변화에 따라 유황분 석을 실시한 결과, INM-CM4는 극한 건조상태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시나리오로 나타났고 FGOALS-s2는 유황변동이 큰 가뭄 상태 분석에 적절한 시나리오로 나타났다. HadGEM2-ES는 유황변동이 작게 나타났기 때문에 최대유량 분석 시 활용 가능한 시나리오로 평가되었고, CESM1-BGC 의 경우 유황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나 극한 홍수 분석 시 적용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