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9

        281.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는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D. Sechellia 는 Africa의 Seychelles 제도에만 서식하는 지역종으로, 모두 D. melanogaster complex에 속하는 동포종이다. 이들 D. melanogaster complex 3종을 대상으로 종간 교배를 통한 잡종을 형성하여 성증(sex-bomb)과 생식궁(genital arch)의 표현형적 유연관계를 부모계통과 상호 비교하였다. 상기 3종들 사이의 교배를 통해 4가지 유형의 잡종 수컷을 얻었으며 이들은 모두 불임이었다. 성즐의 평균 치열 수는 D. melanogaster(OR)가 10.73개, D. sechellia(Ja)는 10.69개였으며, D. simulans()에서는 8.35개였다. 종간 잡종의 치열수 분석으로 뚜렷한 성즐의 유전양식을 제시할 수가 없었다. 외부 생식기를 구성하는 각 부속기관 중 분류상 중요 기준이 되는 생식궁은 종 특이적 모양을 띠고 있었으며, 종간 접종 생식궁의 일반적인 형태는 부모종간의 중간형인 mosaic 구조였다.
        4,000원
        282.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기배의 성판정은 대상가축의 성을 선발하는 수단으로써 가축의 육종 및 번식에 있어 가치가 매우 높다. 체세포, 체외수정 또는 처녀발생 초기배의 성을 결정하기 위해 capillar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였으며 성판정에 이용되는 상실배 또는 배반포는 체외수정과 그 후의 난관상피세포와의 공배양에 의해 생산되었다. 초기배의 genomic DNA는 0.2g/L proteinase K를 함유하고 있는 PCR lysis
        4,000원
        283.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의 합성 성페로몬의 교미교란 효과를 이용한 방제 기능성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3년 부터 1994년까지 2년간 야외포장에서 검정한 결과 충의 밀도는 '93년에는 무처리에 비해 외대파에서 1.9%, 고추에서는 12.5%, 감자에서는 4.4%정도이었으며, '94년에는 외대파 처리면적 10 ha, 20 ha 에서 각각 5.9%, 5.2% 수준이었다. 또한 작물별 피해율은 '93년에 외대파 0.2%, 고추와 감자에서는 0.0%이엇고 '94년에는 10ha에서 16%, 20ha에서 3.0%로 낮게 조절되었다. 처리면적에 따른 방제효과는 10월까지 10ha에서 80%, 20 ha 에서는 90% 수준을 유지하여 1회처리로 방제가 가능하였다.
        4,000원
        284.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3kb 웅성특이 DNA(pEM39 plasmid DNA)가 성 특이 DNA 검색자로 활용되어질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분석을 Southern blotting, DNA sequencing과 computer program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3.3kb에서 유래된 약 1kb 단위의 단편을 이용하여 표지된 짧은 DNA probe들은 Southern blot 분석에서 웅성특이성을 나타내었다. McGraw와 Jeon의 sequence
        4,000원
        285.
        199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a chemist's perspective, Scarabaeidae is one of the most exciting group of insects to work on the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synthesis of sex pheromones because-as opposed to Lepidoptera, which by and large utilizes straight chain alcohols, aldehydes, and acetates-the pheromonal chemistry of scarab beetles is remarkably diverse. While species in the subfamily Rutelinae utilize pheromone constituents, which are presumably fatty acid derivatives, the more primitive species in the subfamily Melolonthinae use phenolic, amino acid derivative, and terpenoid compounds. Here, I discuss the recent advances we have accomplished in the identification of scarab sex pheromones with especial emphasis on their chemical diversity. Also, I discuss the potential role of these sex pheromones in insect pest management. Field tests revealed that, in contrast to what has been frequently observed in the Lepidoptera, the higher the dosage of sex pheromone loaded in the traps the greater the capture of scarab beetles. These data suggest that mass trapping is more likely to be useful for scarab pest management than mating distruption.
        4,000원
        287.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288.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껍질깍지벌레 수컷성충의 비행습성 및 합성페로몬에 대한 반응이 해송 피해림에서 조사되었다. 해송임분내에서 수컷성충의 자연비행밀도는 수관부위가 지표면 근처보다 높았다. 페로몬 50을 처리한 장소로부터 페로몬이 처리되지 않은 끈끈이 트래? frjflquf로 설치하여 수컷의 부착수를 조사한바 페로몬에 영향 받는 거리는 10mm이하로 조사되었다. 합성페로몬 50은 높은 유인효과가 있었으나 1처리구는 유인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수관 울폐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지상높이별 유인개체수는 자연비행 밀도와 같이 수관상부가 지표면 근처보다 많았으나 울폐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오히려 지표면 근처에서 더 많은 개체가 유인되는 경향이었다. 본 해충의 신규발생지 조사에 있어 알주머니 육안조사에 의한 관해 방법 및 페로몬트랩에 의한 방법을 비교한바 페로몬트랩에 의한 조사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111m의 공간에 합성페로몬 32mg을 처리한 경우 교미교란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89.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rosophila 의 수컷 앞다리 부절에 존재하는 성즐의 유무는 Sophophora subgens와 Drsophila sub-genus의 분류기준이 되며, 전자의 경우는 종 특이적인 성즐을 가지나 후자에는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수종 Drosophila 의 성즐에 관하여 비교 조사한 결과 Sophophora subgens내의 D. melanoga-ster subgroup의 경우는 모두 제 1부절에만 존재하였다. 그중 D. melanogaster complex의 D. mauti-tiana 가 약 12.75개, D. simulans는 평균 8.35정도였으며, D. yakuba complex는 D. melanogaster complex에 비하여 다소 적었다. D. melanogaster complex의 종간 교배에 의한 분석으로는 성즐유전양시겡 대한 뚜렷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없었다. Sophophora subgemus의 D. melanogaster species group에 속하는 다른 3종의 경우(D. auralia, D. lutecens 및 D. suzuki)는 성즐의 분포 양식에서 D. immigrans 및 D. virilis)에서는 성즐이 존재하지 않았다.
        4,000원
        290.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조명나방 성충의 우화시간대, 나이에 따른 암컷의 유인해동양상과 교미능역, 1일부터 5일된 암컷이 분비한 성페로몬에 대한 3일된 수컷의 반응 그리고 성페로몬샘의 구조와 위치를 조사하였다. 광주기를 16L/8d로 햇을 때 성충운 일잔벅으로 암시간대 시작 한시간 이전부터 1~2시간이후까지 우화 하였다. 그리고 2일과 3일된 암컷ㅇ에서 6시부터 7시 사이에 가장 황성한 유인행동을 보였으며, 3일된 암컷에 대한 수컷의 반응이 암시간대 5~8 시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미쌍은 암시간대 4~7시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1일부터 4일된 암컷중 성페로몬샘을 돌출시킨 개체들은 65%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성페로몬샘을 돌출한 2~3일된 암컷은 1~5일된 각각의 수컷과 60%이상의 교미율을 보여주었다. 암컷의 성페로몬샘으로 추측되는 두꺼운 세포층들은 복부 8번째, 9번째, 그리고 9번째와 10번째 사이의 막질성 표피층에 위치하고 있었다.
        4,000원
        291.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성 성페로몬의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촉각전도 측정, 반응 행동 관찰 및 야외 유인실험을 하였다. 담배나방 성페로몬의 주성분인 Z9-16:Aid와 Z11-16:Aid 는 모두 수컷에서 큰 촉각전도반응을 보였으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촉각전도반응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담배나방 암컷은 두 페로몬 주성분에 대해서는 촉각전도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기주식물인 고추기름에만 큰 촉각전도반응을 보였다. 처리량이 0.01~10 일때는 페로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촉각전도 반응도 증가했으나 100을 처리했을 때에는 오히려 반응의 크기가 줄어들거나 10처리시와 같았다. 풍동에서 담배나방 수컷은 일련의 규칙적인 반응행동들을 나타냈다. 이 반응 행동들은 성페로몬의 두 주성분 비율에 따라 달랐으며, 미량 성분인 16:1 Aid와 Z9-16:Ac 를 첨가했을 때에는 교미행동까지 나타냈다. 야외에서 트랩을 이용하여 유인력을 검정한 결과 Z9-16:Aid와 Z11-16:Aid의 비율이 20~25:1 일 때 유인력이 가장 컸으며 여기에 Z9-16:OH가 첨가되었을때에는 다른 성분의 비율에 관계없이 유인력이 아주 낮았다. 함성 성페로몬의 유인력은 미교미암컷의 유인력보다 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4,000원
        293.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파밤나방은 기존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남 진도의 파 집단 재배단지에서 합성 성훼로몬을 이용한 방제의 가능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파를 가해하는 해충중 우점종은 파밤나방과 파굴파리였으며, 두 종은 포장에 따라 경합을 이루어 우점종이 달랐다. 성훼로몬 트랩에 의한 방제효과는 초기에 피해가 많았던 포장은 처리 4주후에 피해엽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중간 정도의 포장은 2주후에는 약간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지만 4주후에는 같은 경향으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초기피해가 낮은 포장은 계속 낮은 피해가 유지되었으며, 8주후에는 파 60주당 피해엽수가 무처리 포장에서 평균 33.2개의 반면 처리포장에서는 0.2~3개로 조절되었다. 또한 pheromone trap에 의한 웅성충의 유인량도 설치 초기에는 1.8~5.0마리로 적었으나, 2주후부터는 점차 증가하기 시작하여 8주후에는 77.4마리로 초기에 비해 유인량이 28배 가량 많아졌다. 성훼로몬 트랩 유인량과 피해엽수와는 부의 상관관계(r=TEX-0.9572*/TEX)가 인정되었다. 또한 색광별 light trap의 유인량은 30일 동안 적색에 6마리, 백색에 11마리, 청색에는 전혀 유인되지 않은 반면 pheromone trap에는 1,041마리가 유인되었다.
        4,000원
        297.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바구미좀벌은 쌀바구미의 3영유충과 4영유충에 생난, 기생하였으며, 4영유충에 대해 현저한 선호성을 보였다. 기주가 4영유충일 때의 성비가 3영유충일 때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서 생난시 암컷에 의해 인식되는 기주의 크기에 따라 좀벌의 성비가 조걸됨을 암시하였다.
        3,000원
        298.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examine the interaction of tamoxifen with sex steroid hormones in rat uterine activity. The uterine wet weights of the immature Tat uterus were examin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stradiol-l7(1g), tamoxifen(50g), progesterone(lmg). The uterotropic activity in immature ovariectomized rats was observed under various treatment conditions following pretreatment with above drug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1) Tamoxifen produced significant increase (p <0.01) in uterine wet weigh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lthough the increase was not as great as that seen with estradiol-17. Administration of estradiol-17 together with tamoxifen inhibited significantly the increase of uterine wet weight by estradiol-17 (p < 0.01). Coadministration of progresterone with tamoxifen partly blocked the increase of tamoxifen-induced uterine wet weights by progesterone. 2) Estradiol-17after the estradiol-17 pretreatment discontinued the declining uterine wet weights due to the absence of estrogen support, but uteri continued to increase in weight if daily estradiol-17 was maintained. Administration of tamoxifen on the fourth day of estradiol-17 treatment reduced uterine wet weights within 24 hours, and the weights continued to decline with additional tamoxifen. 3) The modest growth of the uterus induced by three daily injections of 5Opg tamoxifen remained stable for five day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amoxifen treatment. Coadministration of tamoxifen with estradiol17 increased slightly the increase of uterine wet weight by tamoxifen. Coadministration of tamoxifen with progesterone inhibited the increase of uterine wet weight by tamoxifen. 4) The modest growth of the uterus induced by three daily injections of lmg progesterone reduced uterine wet weight to the control level for five days. Commencement of tamoxifen or estadiol-17 injections on the fourth day of progesterone treatment rapidly elevated uterine wet weight.
        4,200원
        299.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surveyed the preference for the regional food and food choices according to Region, Age, Sex. The subjects were 943 residing in Seoul and Cheon Nam region. The summarized result are as follows; The survey about the preference for the regional food showed that subjects in Cheon Nam has higher preference for the Cheon Nam food and subjects in Seoul for the Seoul food respectively. The most subjects marked very high preference scores about familiar food. The preference for the regional food and food choices were effected by main growth region. Subjects brought up in Cheon Nam like Cheon Nam food especially fresh raw fishes(WHOI) and fermented fishes(CHOT GAL) more than those brought up in Seoul, although both of them reside in Seoul now. But they were brought up in Cheon Nam, subjects residing in Cheon Nam or Seoul now showed no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Cheon Nam food. Subjects in Cheon Nam showed higher preperence for fresh raw fishes(WHOI), fermented fishes(CHOT GAL), especially in older me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