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4

        301.
        200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F이후 건설 물량 감소에 대비하여 재해율은 증가 추세에 있고, 오히려 재해 강도율은 높아져 중대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건설업체에서는 안전관리에 대한 비용을 더욱 아끼려고 하고 있고, 비용 절감을 위해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비용이나 안전활동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공단 및 재해예방 인력을 활용하여 안전 순찰 점검활동을 지원함으로서 각종 증대재해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함으로써 재해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3,000원
        302.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03.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chon Port is the second largest import-export port of Korea, and has the point at issue such as the excessive logistics cost because of the limits of handling capacity and the chronic demurrage. There are few research activities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whole port operation, because Inchon Port not only has the dual dock system and various facilities but also handles a various kind of carg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simulation program as a long-term strategic support tool, considering the dual dock system and the TU(Terminal Operation Company) system executed since March, 1997 in Inchon Port. The basic input parameters such as arrival intervals, cargo tons, service rates are analyzed and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for these parameters are estimated. The main mechanism of simulation model is the discrete event-driven simulation and the next-event time advancing. The program is executed based on the knowledge base and database. From the simul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murrage status through analyzing various scenarios and to establish the long-term port strategic plan.
        4,500원
        304.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제성장과 더불어 에너지에 대한 수요와 1인당 에너지 소비량은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가스는 이용의 편리성, 저공해성, 열효율성 등으로 인해 1970년경 도입된 이래로 1997년도의 소비량을 보면 프로판가스(LPG)는 116.6배, 부탄가스는 326.9배, 도시가스(LNG)는 약 5.262배가 증가하였으며, 총에너지 소비중 가스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 소비량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가스소비 행태의 변화, 가스 사용처의 다양화 등은 빈번한 가스사고의 발생을 초래하고 있으며, 가스안전 진단기구의 설치 및 가스안전 관리대책의 시행, 관련 규제법규의 제정시행 및 교육홍보 제도의 활발한 시행에도 불구하고 그치지 않고 있고, 사고 발생시는 그 특수성으로 인해 대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의 가스소비 증가추세와 함께 안전관리제도 및 전담기구의 안전관련 업무내용을 검토해 보고, 또 가스사고의 원인별, 사용처별 사고실태 및 피해현황을 파악하고, 특히 프로판가스(LPG)의 시설별 사고실태 및 문제점을 사례별로 분석하였다. 한편으로는 일본의 가스안전 관리체계와 가스사고 실태를 파악해 보고 새로운 가스 안전대책과 개선동향을 파악하였으며, 우리나라 가스안전 관리대책의 개선과 안전성 향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8,000원
        305.
        2000.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f it is so restore in the enterprise competition that it enter into international market introduction and fixing Safety It Health Management System was become essential part of corporate management. It Is for Introduction of Safety & Health Management System throughout ISO 14001 Method that is desirable propulsive propensity for Introducing of safety &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certification from now on in enterprise.
        4,000원
        310.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the manufacturing systems adapt information technology, safety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s are required to adapt information technology by changing the industrial environment. This paper is presented the methodology of designing the safety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ranetwork environment to reduce breakdown time on facility and Increase efficience of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
        4,000원
        311.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건설업은 위험요소가 많은 업종 특성상 높은 재해발생율을 보이면서 정부에서도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건설안전수준은 크게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반면 선진국에서는, ISO에서 품질경영시스템과 환경경영시스템을 도입한 이후, 안전경영시스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며 안전에 관한 국가규격을 제정하는 등 안전활동이 크게 발전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금년 7월부터 KISCO 2000프로그램이 시행되었지만, 건설업은 적용에서 제외되었다. 따라서 건설업에서의 안전경영시스템 적용 모델 개발 및 보급은 서둘러야 할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건설업에 적용될 안전경영시스템 추진 모델을 개발하고 요건에 대응한 건설안전업무의 범위 및 문서화 체계작업, 그리고 추진과정을 제시하였다.
        4,600원
        312.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chemical plant are using toxic and dangerous materials, inflammable and poisonous. There are many accidental dangers by escaping of fire, explosive and poisonous materials in case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he accidents lead to taking employer's and local people's life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Therefore, 27 small-medium chemical plant, which size is 30∼200 employees out of safety management agent in the area of A was selected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and several countermeasures at the chemical plants was indicated through the analyzed data. Prior to this analysis, top managers' concerns, equipment maintenance for the safety management are needed. For the future, calamity prevention countermeasures by industrial disaster analysis are needed and active safety management programs are investigated for the industrial disaster prevention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at the chemical plant.
        4,300원
        313.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the safety management model, which is appropriate for small-to-medium enterprises that rank the highest disaster rate. It is required for these companies to modify and improve the safety-related articles and it is perfor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dustrial disasters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to-medium enterprises. The basic direction of change of industrial safety healthy system must be classified to the dual direction. For large enterprises, it is focused on not pre-regulations but post-regulations based on the self-control safety management system. But for small-to-medium enterprises, it is required to intensif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safety responsibility for owners or administrators. Specially, the responsibility for disaster must be more strengthened by the penalty and the insurance method, and then it must be performed not only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but also middle and long-term technical support by private safety organizations.
        4,000원
        315.
        202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search activities and discussions on specialized areas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landscape construction are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for efficient field management by deriving items necessary for safety management in landscape construction fields through experts' opinion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Delphi analysis to derive "management items" and "safety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landscape type" for landscape construction field safety for a total of 15 landscape construction specialis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four top items were derived from the "management items" for the safety of landscape construction fields; they includ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 and educati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expenses," "payment of personal protection," and "establishment of safety measures." In addition, two to five items for each higher item appeared and resulted in a total of 13 lower items. Personnel, organization, budget, etc. for safety management are always required in the field, and the monitoring part of whether these elements are working was also taken up as a management item. In the "Management items according to each landscape construction" a total of eight landscape type were distinguished, they include: ‘Reinforced concrete work’, ‘Masonry work’, ‘Plaster's work’, ‘Waterproof work’, ‘Stone masonry work’, ‘Pavement work’, ‘Facilities work’, and ‘Planting work’. Furthermore, two to seven sub-items for each construction type were derived, and a total of 35 management items were presented.
        31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정 규모 이상의 사장교와 현수교에는 자유장, 주탑, 보강거더에 지진가속도계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부착된 센서를 활용하여 지진발생 시에 긴급하게 지진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표준화된 시스템으로 긴급한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센서 단위의 평가가 효과적이며, 경주, 포항지진에 대한 특수교량의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평가 방안을 도출하였다. 자유장, 교각기초, 앵커리지와 같이 지반 또는 지반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가속도계는 최대가속도로 평가를 수행하고 주탑상부, 보강거더 등 구조물에 부착된 가속도계는 가속도의 변환을 통한 변위비교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317.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ly, the cable safety management of cable supported bridges is calculated by the ratio of the measured tension to the design tension. The measurement of the tension is performed by indirectly estimating the acceleration measured at the cable surface in terms of the tension. The method of converting the cable vibration response (acceleration) into the tension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damage of the individual strand (or wire) in the cable is not clearly reflected in the tension because the measurement is not reliable and is managed only by the total ten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able safety management system by evaluating how the damage of individual strand of MS type cable, which is mainly applied to cable-stayed bridges, affects the safety level managed by level of cable tension.
        318.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policy related to building safety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 of system for building diagnosis. The US has various test methods and laws and regulations standardized on wide territory, so it is excellent in responding to changes in regulations. In the UK, the technology of the building diagnosis related field is advanced through systematic efforts of diagnosis and maintenance of the buil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revitalize regulations related to building diagnosis and maintenance management, to revise the laws and regulations of related institutions, and to systematically cultivate manpower through specialized agencies related to diagnosis and maintenance.
        319.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산항 ‘A’ 터미널에서 발생한 지난 3년간의 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장비가 가장 많이 사고를 발생하였고 어떤 위험점이 가장 높은지를 위험성 평가기법으로 알아보고,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보우타이 기법을 활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자 료를 분석한 결과 터미널 내의 이동장비 중 야드 트랙터의 충돌사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부산항을 만들기 위하여 우리는 가장 먼저 야드 트랙터의 충돌사고 예방법 (Control measure)과 사고 발생 시 대처방안 (Recovery measure)을 철저히 준비하여 사고를 미연 에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무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320.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병원 및 대학교 등에 설치된 X선 발생장치를 대상으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품질관리 항목을 적용하여 성능 비교를 하여 주기적인 성능관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성능유지 및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우선 재현성 및 직선성 실험결과 모든 실험조건에서 합격기준에 부합되었으며 주기적인 정도관리가 부족한 GX-650장치의 경우 재현성 평가의 백분율 오차가 높았으며 직선성 평가에서는 관전압을 100 kVp로 설정 시 0.105로 백분율 오차에서 벗어나게 측정되었다. 또한 관전압 및 관전류의 정확도 평가결과 상대적으로 X선 발생횟수가 낮은 장치에서 백분율 오차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가층 실험은 모든 장치에서 관전압 별 반가층 기준에 모두 포함되었다. 따라서 병원용, 실습용 구분보다는 모든 장치의 정도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장치의 성능관리를 시행하여 장치를 유지 관리해야 할 것이며 특수의료장비처럼 짧은 주기의 정도관리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