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6

        301.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habitat types of winter wildbird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of ecosystem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in the future. The research area is Hanam City. Researches on land use types showed Hanam City had 79.1% of greenspace and openspace, but intensive urban development has been taking place in greenspace that is adjacent to urban districts. This has brought the problems of lack of greenspace in urban districts and damages to cultivated areas and grassland. A total of 61 and 8,642 populations of winter wild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research areas. Paradoxornis webbiana(16.91), Passer montanus(11.93), Pica pica(6.88) were dominant species. When they were divided according to habitat types, 20 species of interior species, 8 species of interior-edge generalist species, 12 species of edge species and 3 species of urban species were observed. When which land use type was mostly served as wildbirds habitats was examined, urban species(3 species and 290 populations) was a dominant species in urban districts while in greenspace and openspaece, water species(19species and 3,075 populations) including winter migratory birds was. Among greenspace and openspaece, edge species was dominant in forest while urban species was a dominant species in cultivated areas. This shows there is a need to improve diversity of wildbirds through restoration of cultivated areas in the central part of Hanam City.
        302.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Penn-Al,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L.) Palmer Ⅱ, Kentucky bluegrass(Poa prantensi L.) Nassou, Tall fescue(Festuca arundinacea Schreb.) Boonsai 2000의 생육 및 무기성분 함량에 대한 칼륨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2003년 6월 7일부터 7월 21일까지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으며, 칼륨처리는 0me/L에서 8me/L 범위였다. Creeping bentgrassPenn-Al의 초장은 K 농도 2me/L 처리에서 가장 길었지만 K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분얼수도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많았으며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Perennial ryegrassPalmer Ⅱ의 초장,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 분얼수 모두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Kentucky bluegrassNassou의 초장과 분얼수는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지만 무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Tall fescueBoonsai 2000의 초장, 신초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K 농도 4me/L 처리에서 양호하였지만 무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 간에 유의성이 없었다. 분얼수는 K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K 농도 4me/L 처리에서 가장 양호하였고, 처리 간에 유의성이 있었다. 신초 내 무기성분 함량은 K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K 함량이 많았고, 반대로 Ca과 Mg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N와 P는 큰 영향이 없었다.
        303.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배시기, 시설형태 그리고 시설내 계배위치에 따른 가상환경의 차이와 이에 따른 양액계배 오이의 생장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름재배와 억제재배, 1-2W형 하우스와 무기둥 하우스에 양액계배를 통해 오이를 패배한 후 시설내 부위별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과 생장해석을 통해 얻어진 생리적 형질들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우스 내부의 평균기온이나 평균상대습도는 하우스 형태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사량은 1-2W형 하우스가 무기둥 하우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일누적일사량은 1-2W형에서는 남서쪽이 무기둥 하우스에서는 북서쪽이 대체로 높았다. 초장과 엽수는 억제재배보다 여름재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엽면적은 억제재배에서 많았다. 상대생장율은 순동화율 및 엽면적비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대생장율에 대한 기여도는 순동화율이 엽면적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생장율은 엽면적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엽면적지수의 증대가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대에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생육기간의 일평균기온는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억제재배에서는 전 생육기간의 누적일사량과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304.
        200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rice variety Manweolbyeo is a japonica type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Yeongnam Agriculturalivationcondition from the progenies of a single cross of Milyang120/Hwayeongbyeo. The selected line(YR16326-8-3-2) from the prog-enies of it cros
        305.
        200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occurred around the Ulleung Warm Eddy off Ulleung Island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pring season. The abnormal distributions of chlorophyll a were captured by satellite remote sensing and measured field data. The temporal and spatial scale of the abnormal distributions were around 20 days and 50km diameter off Ullung Island. The anomalies were quantified by estimated chlorophyll a derived from OCM and SeaWiFS ocean color data from 2000 to 2004. The origin of abnormal high concentrations was estimated by this study. It was that suspend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Nakdong River and the coastal water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moved to northeastern coast, and then moved to off Ullung Island. The high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including inorganic materials were accumulated by anticyclonic eddy such as the Ullung Warm Eddy around Ullung Island in the East Sea of Korea in spring season.
        306.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채굴시기, 등급, 온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수삼의 호흡특성을 조사하였다. 채굴시기별 수삼의 호흡률은 3월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8월에는에서 7.88 mL로 최고값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삼의 주채굴시기인 10월, 11월 및 익년 3월에 채굴한 수삼의 호흡계수는 범위로 채굴시기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개체 당 중량이 범위인 수삼을 4 등급으로 나눠 호흡률을 비교하였던 바 중량이 클수록 호흡률이 낮아지는 경향
        308.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wangyang Bay, have been investigated on the effects of inputting rivers just after rainy season in summer 2003. The results ranged from 4.96~8.01 mg/L for DO, 1.16~3.09 mg/L for COD, 7.21~67.71 μM for DIN and 0.12~121.84 μM for phosphate. The COD of Yeosu Area was 1.19~3.09 ㎎/L, Kwangyang Area was 1.23~2.76 ㎎/L. The COD of Wallae cheon in Yeosu Area was 3.09 ㎎/L and Donghoan in Kwangyang Area was 2.76 ㎎/L. The reason of high COD might be industrial sewage of organic chemical plants and iron foundry. DIN of Yeosu Area and Kwangyang Area were 7.21~63.43 μM and 8.43~67.71 μM respectively. The average phosphate of Yeosu Area was 23.65 μM. The source of phosphate might be industrial sewages of fertilizer plant and phosphate gypsum stocked with high amounts. The metal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the range of 1.01~175.10 ㎍/L for Cu, 0.13~1.78 ㎍/L for Cd, 1.13~5.21 ㎍/L for Pb, 1.58~13.57 ㎍/L for Cr and 1.07~20.68 ㎍/L for As. The average Cu concentration was 78.99 ㎍/L in Kwangyang Area. The source of Cu might be industrial sewage of iron foundry. The average Cr concentration of Yeosu Area was 9.07 ㎍/L. That is 2 times higher than Kwangyang Bay 5.74 ㎍/L, because of sewage of chemical plants.
        309.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료 양송이의 수확시기 및 보관 기간에 따른 신선편이 가공적성을 비교키 위하여 계절별로 수확한 양송이를 각각2 에 보관하면서 주기적으로 일정량씩을 취하여 각각 절단한 후 5 에 방치하면서 표면의 갈변진행정도와 총 페놀화합물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원료 양송이의 호흡률은 여름철 및 가을철에 수확한 것이 9.5510.47 mLCOkghr로 봄철 및 겨울철에 수확한 것에 비해 낮았고, 중량감소율은 봄에 수확한 양송이가 가장 낮았다. 원료상태로 보관한
        314.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월동기 90일 동안 transgenic coho salmon의 사료섭식량, 성장도 및 혈중 호르몬 수준을 파악하였다. 실험 종료시 실험구별 사료섭식량은 비교해 볼 때 tGH구가 Wild구보다 약4배 정도 높게 나타났지만, 사료효율의 경우 오히려 tGH구가 Wild구보다 1.1 배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생존률은 tGH구가 Wild구보다 높게 나타났고, 성장은 tGH구가 길이에 있어 1.4배, 무게의 경우 약 3배 빠르게 나타났으며, 비만도 역시
        315.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제Ⅰ보 (신용노 등, 2000)에서는 댐의 제약조건과 댐 상·하류의 유출상황을 고려하여 홍수기 댐을 운영 할 수 있는 모의기법 모형인 EV ROM을 개발하였고, 본 보에서는 제Ⅰ보에서 개발된 EV ROM을 FORTRAN Power Station 4.0에 의해 금강수계 댐군을 연계운영 할 수 있는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금강수계에서 발생한 3개 홍수사상에 적용해 본 결과 기존의 Rigid ROM이나 Technica
        31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기 동안의 저수지 운영은 효율적인 홍수조절과 갈수기를 대비한 용수량 확보를 모두 고려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세트 컨트롤 알고리즘(SCA)을 홍수기 저수지 운영방안으로 적용하였다. SCA의 개념은 유입량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주어질 경우에 저수지의 상태가 허용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저수량과 방류량의 조절 세트(Control Set)를 저수지 운영자에게 제공해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입량 세트는과거자료를 이용하
        317.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가지의 품질의 향상과 규격화를 위한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른 물성 및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품종에 따른 크기와 중량는 시키부 품종에 비해 축양 품종에서 높았고, 하절기에 비해 동절기 수확한 가지의 크기와 중량이 낮았다. 가지의 과육의 pH와 당도는 품종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지의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각각 115.4~155.4, 64.2~102
        318.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산 백록담내의 고산식물 59종류를 대상으로 생활형, 화색, 개화시기, 그리고 종자의 성숙시기 등을 조사하여 화훼자원으로의 개발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백록담내 고산식물의 생활형은 반지중식물이 67.8%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전형적인 고산식물의 생활형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개화는 전반적으로 7∼8월에 이루어지며, 종자는 8∼9월에 집중적으로 성숙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고산식물의 화색은 백색이 27% (16종)로 가장 많고, 백색, 청색, 황색 꽃의 출현빈도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319.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홍수조절 업무에 황용하고 있는 홍수관리시스템은 댐에서 조절이 불가능한 댐하류부 수문현상들을 고려하여 방류계획을 수립할 수 없으며, 예측 강우량에 의한 댐으로의 유출상황을 고려한 예비방류에 관한 지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의 제약조건 댐 상.하류의 유출상황을 고려하여 홍수기 댐을 운영 할 수 있는 모의기법에 의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EV ROM이라 명명)은 댐에서 조절이 불가능한 댐하류 지류에 의한
        320.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무멀칭처리보다 0.5℃ 낮았고, 기름먹인 멀칭종이의 지온은 20.6℃ 로 무멀칭처리보다 1.2℃ 높았다. 한편, 밝은 날 최고기온은 무멀칭에 비하여 기름먹인 멀칭종이의 경우는 6.6℃ 높아졌으며 일반 멀칭종이는 무멀칭에 비하여 4.6℃ 낮아졌다. 2. 멀칭 후 80일까지 일반 멀칭종이는 약 20% 정도만 분해되었고, 비료를 피복한 멀칭종이의 분해는 이보다 빨랐지만 멀칭 후 80일까지 약 50%정도가 분해되었다. 기름백인 멀종이는 일반 멀칭종이에 비하여 분해가 다소 지연되었다. 모든 멀칭종이 처리에서 감자 전 생육기간에 걸쳐서 잡초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3. 감자의 출아율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기름먹인 종이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다소 낮았으며, 감자의 지상부 및 뿌리건물중도 기름먹인 종이에서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았다. 감자의 수량은 기름먹인 멀칭종이가 다른 처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일반 멀칭종이, 요소피복 멀칭종이 및 무멀칭 처리간에는 감자 수량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기름먹인 멀칭종이는 출아기 및 생육초기 고온으로 씨감자의 부패가 많았으며 초기생육도 억제되어 수량이 낮았다. 그러나 본 실험(4월15일 파종)에서보다 조기에 파종하는 경우는 본 연구결과와 다를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9월 30일 파종이 각각 240-290, 200-260, 150-220 및 70-120 kg/ha 나타내어 8월 하순 파종이 9월 파종에 비해 증가하였다.EX>±3.2~90.9± 3.4 106m , 78.0± 3.3~105.0± 4.2 106m , 76.2± 2.8 ~84.4± 3.5 106m , 75.4± 3.3~80.2± 3.3 106m 이었다. 4. Dioxin 30 u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격일로 3주간 투여했을 때 정자활력은 대조군의 119.3± 3.4~120.2± 4.7 106m 와 93.0± 3.5~96.1± 3.5%에 비해 홍삼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회복이 현저하였고(p<0.05), 녹차는 다음이었으며, 구기자, 오메는 회복이 미미하였다. 5. Dioxin 30 u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각각 격일로 3주간 투석했을 때 정소중량은 대조군의 0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