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3

        341.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국산 가위벌과에 대한 연구 중 미기록 속인 Hoplitis 속의 H. scita (Eversmann, 1852) 어리민뿔가위벌에 채집하고 동정하여 보고한다.
        352.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차량하중에 의한 상시진동기록을 이용한 교량의 손상추정기법을 연구하였다. 즉, 차량진행 중 측정된 신호로부터 구조물의 모드특성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손상위치 및 손상정도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차량하중을 재하할 수 있는 모형교량을 제작하여 손상실험을 수행하였다. 차량진행 중 교량의 수직가속도를 계측하였으며, 측정된 가속도시계열로부터 random decrement(RD) 기법을 사용하여 자유진동신호를 구한 후, 이로부터 구조물의 모드특성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모드특성을 기초로 신경망기법을 적용하여 손상위치 및 손상정도를 추정하였으며, 추정된 결과는 실제 손상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4,000원
        353.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충나방과(나비목)에 속하는 들명나방아과의 4종, Agrotera posticalis Wileman, Udea stigmatalis (Wileman), Diathraustodes amoenialis(Christoph), Pygospila tyres(Cramer)을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중에서 Diathraustodes속과 Pygospila속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한다. 이들의 분류학적 특징을 간략히 재기재하고, 채집된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특히 Udea stigmatalis는 생식기의 특징을 최초로 기재하며 도해하였다.
        4,000원
        354.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산 푸른자나방아과와 물결자냐방亞과의 표본들을 조사한 결과 1신종 Maxates sungbokahni sp. nov. 를 기재하고, 10미기록종 Comibaena diluta (Warren), Comibaena tanerei Graeser, Comibaena subdelicata Inoue, Hemistola nemoriata (Staudinger), Hemistola cinctigutta Prout, A Anticollix sparsata (Treitschkel, Euphyia discomelaina (Wehrli), Perizoma haasi (Hedemann), Perizoma contritum (Prout), Perizoma hydratum (Treitschke)을 발표한다. 그리고 분포가 혼동되고 있던 Thalera lacerataria Graeser의 국내분포를 재확인하고, Trichoperyx inouei Hashimoto와 Epilobophora obscuraria (Leech), Xanthorhoe fluctuata malleola Inoue의 채집기록을 추가하였다.
        4,000원
        355.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외에서는 산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Melanolophia imitata(Walker)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이 종은 캐나다에서는 침엽수의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대량 발생할 경우 심각한 산림해충으로 예상되는 종이다
        3,000원
        356.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near-earth space environment and the polar ionosphere via geomagnetic field lines, the variations occurred in the magnetosphere are transferred to the polar region. According to recent studies, however, the polar ionosphere reacts not only passively to such variations, but also plays active roles in modifying the near-earth space environment. So the study of the polar ionosphere in terms of geomagnetic disturbance becomes one of the major elements in space weather research. Although it is an indirect method, ground magnetic disturbance data can be used in estimating the ionospheric current distribution. By employing a realistic ionospheric conductivity model, it is further possible to obtain the distributions of electric potential, field-aligned current, Joule heating rate and energy injection rate associated with precipitating auroral particles and their energy spectra in a global scale with a high time resolution. Considering that the ground magnetic disturbances are recorded simultaneously over the entire polar region wherever magnetic station is located, we are able to separate temporal disturbances from spatial ones. On the other hand, satellite measurements are indispensible in the space weather research, since they provide us with in situ measurements. Unfortunately it is not easy to separate temporal variations from spatial ones specifically measured by a single satellite.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ground magnetic disturbance data in space weather research, various ionospheric quantities are calculated through the KRM method, one of the magneto gram inversion methods. In particular, we attempt to show how these quantities depend on the ionospheric conductivity model employed.
        4,500원
        357.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수중다리뭉툭맵시벌속과 곤봉쿵툭맵시벌속은 미기록속으로 밝혀졌다. 연구에서 밝혀진 6종 Hypsicera mokiharai Kusigemati, H. femoralis(Fourcroy), H. rufosa Kusigemati, H. carinata Momoi et Kusigemari, H. nifribasis Momoi et Kusigemati 및 Acerataspos clauata (Uchida)은 한국에서 처을으로 기록된다. 분류형질로서 중요한 두부정면 및 성층사진을 제시하고, Hypsicera속에 관해서는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4,000원
        358.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