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노랑풍뎅이(Blitopertha pallidipennis)와 등얼룩풍뎅이는(B. orientalis)는 외 부 형태는 딱지날개의 얼룩무늬의 유무, 앞가슴등판의 점각의 모양, 수컷외부생식 기의 모양으로 구별이 가능하다. 하지만, 많은 개체에서 상기의 진단형질에 변이성 이 높아 정확한 종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종의 국내·외 표본들을 수집하여 mtCOI과 Histone H3(H3), EF1-α 유전자 마커를 이용하여 분자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 으로, 연노랑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 사이의 종간 염기서열 분화율은 COI에서는 4.3~7.8%, H3에서는 0.4~2.5%, EF1-α에서는 2.2~5.4%로 마커별 염기치환율은 상이하나 NJ 분석에서 각종은 뚜렷한 단계통군을 형성하여 국내에서는 동소적으 로 존재함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내 변이 수준은 등얼룩풍뎅이는 COI 에서 0~4.6%, H3에서는 0~1.2%, EF1-α에서는 0~1.5%이며, 연노랑풍뎅이는 COI 에서 0~1.5%, H3에서는 0~1.2%, EF1-α에서는 0~1.5%로 등얼룩풍뎅이의 COI에 서 4개의 서로 다른 종내 그룹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국산 그룹들과 일본산 그룹은 2.0~3.8%의 분화율을 나타내어 각 지역집단은 아종 또는 종 수준에서 종분 화기작을 겪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2.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연노랑풍뎅이속(Blitopertha)에는 어깨무늬풍뎅이(B. conspurcata), 연노랑풍뎅이 (B. pallidipennis), 등얼룩풍뎅이(B. orientalis) 3종이 분포한다. 이 중 연노랑풍뎅이와 등얼룩풍뎅이는 외부형태가 극히 유사하고 두 종간 수컷의 교미기 형태도 변이가 심하면서 서로 이행현상을 나타내는 등 정확한 종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으로 알려져 왔다. 이와 같이 형태적 분류가 어려운 종들에 대하여 형태분석과 더불어 분자분석까지 통합한 연구로 극복해 보고자 이번 연구를 시도하였다. 우선, 국내산 표본뿐 아니라 등얼룩풍뎅이의 기산지인 일본표본과 연노랑풍뎅이의 기산지인 극동 러시아 표본들을 포함하여 mtCOI과 Histone H3 마커를 이용한 분자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종은 뚜렷이 분화된 종으로 진단되었으나, 등얼룩풍뎅이 계열에서 제3의 새로운 종이 국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분자 분석된 표본의 분포를 보면, 두 종은 동소적으로 혼재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큰자색호랑꽃무지속(Osmoderma)은 구북구와 신대륙에 걸쳐 12종이 분포하며, 대다수 종들은 희소성으로 각국에서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내에서도 큰자색호랑꽃무지 1종이 기록되어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 종으로 보호받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Osmoderma opicum Lewis, 1887이란 학명을 적용해 왔다. 하지만 과연 국내 종이 일본산 O. opicum과 동일한 종인지는 분류학적으로 재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고 최근 중국 및 극동러시아지방에서 새롭게 O. caeleste (Gusakov, 2002)란 종도 발표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적 분포영역의 근연종들과 최근 COI염기서열이 분석된 유럽산 종들을 포함하여 국내 큰자색호랑꽃무지의 형태 및 분자분류를 통합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1차 연구 결과로서 한국산 개체와 일본산 개체는 DNA 바코드 분석을 통해 별종으로 판단될 정도로 큰 바코딩 갭이 나타났을 뿐 아니라 형태적인 차이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내 종은 그에 적합한 학명을 찾아 주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추가적인 표본 확보와 DNA 바코드 마커의 추가 등 보다 정확한 종 동정을 위한 통합적인 분석과 검증이 수행될 예정이다.
        4.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토목분야의 프로젝트에 있어 장대교량의 건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장대교량의 여러 형식 가운데서도 사장교 가 현재 계획, 설계 중인 프로젝트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장교가 대형화 및 장경간화 됨에 따라, 구조물의 경량화를 위하여 강재를 사용한 사장교가 건설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사례에서 주탑은 구조적, 경제적인 이유로 콘크리트 로 시공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재료적 특성상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장기거동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응력의 재분배와 시공 중 구조계의 변화 등 해석상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의 비선형성을 고려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RCAHEST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주탑을 채택한 사장교 중에 국내 최장의 강사 장교인 인천대교를 선택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제 시공된 교량의 시공단계해석과 완공 후 시간해석을 통하여 콘크리트 주탑만의 시간 의존적 효과가 사장교 전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4,000원
        5.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도진주거저리(Platydema recticorne Lewis)는 한국과 일본에만 분포하는 균식성 종으로 일본에서 유충의 형태와 유충먹이로서 구멍장이버섯류(Polyporus spp.)라고만 밝혀져 있었다. 이에 현장에서 한국산 나도진주거저리 집단을 관찰하고 그의 일부를 실내 사육하여 생활사와 숙주선호성을 밝혔다. 야외관찰의 결과, 번식장소와 먹이로서 목질화 되고 수명이 긴 민주름버섯류를 선호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특정 종에 대한 숙주 특이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특히 활엽수림에 나는 버섯으로 도장버섯속(Daedaleopsis)에 속하는 도장버섯(Daedaleopsis congragosa)과 삼색도장버섯(Daedaleopsis tricolor)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 외에도 구름버섯속(Coriolus), 줄버섯(Bjerkandera adusta)과 아교버섯(Merulius tremellosus) 등을 차선으로 선호하였다. 선호도가 가장 높은 도장버섯속(Daedaleopsis)에서 2006년 월별로 나도진주거저리의 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5월이 가장 높았고, 버섯의 부패단계별로 구분해서 관찰해 보았을 때, 4단계인 도장버섯속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형질이 다른 버섯들을 대상으로 나도진주거저리의 숙주 선호실험을 실시한 결과, 나도진주거저리의 숙주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실체의 부패정도, 두께와 수명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목질화된 버섯 속에서 유충 생활을 하여 관찰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실시된 실내사육(25.5~26.1℃; 63. 5~64.5% RH)의 결과, 알에서부터 성충까지 약 53일이 소요되었고, 월동은 성충과 유충이 혼재된 상태로 숙주버섯의 자실체 속이나 숙주버섯이 붙어있는 나무껍질 밑에서 진행되었다.
        6.
        200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RST 공격에 강인성을 갖도록 하기위해 이진 원형 패턴을 사용하는 영상 정규화 기반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정규화 기반 워터마킹 방법은 영상에서 무게중심과 중심 모멘트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준 형태(standard form)인 정규 영상으로 변환하고 여기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회전(rotation), 크기변화(scaling), 천이(translation)에 기인하는 RST 공격은 영상의 가장자리 영역이 잘리는 경계효과를 수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영상 정규화 파라미터 값이 틀려지게 되어 워터마크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외각 부분을 제외하고 영상의 내부 영역만을 이용해 영상을 정규화 한다. 영상의 내부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 어떠한 공격에도 변하지 않는 불변의 이진 원형 패턴을 이용하고, 이진 원형 패턴에서 계산된 모멘트 값을 정규화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 이진 원형 패턴을 사용하는 제안 방법이 기존 영상 정규화 방법보다 RST 공격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4,000원
        1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産 거저리科 모래거저리屬에 속하는 2屬 (모래거저리屬과 작은모래거저리屬)에 대하여 현재가지 기록되어온 보고서들을 종합하고 과거 생물상보고서들의 기록 표본을 확인한 결과 2속 15종이 기록되어 왔으며 이들에 대하여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가운데 Gonocephalum sabulosum은 Opatrum subaratum의 변이를 오동정 해 온 것으로 판단하여 제외시켰고 G. japanum, G. bilineatum, G. outreyi, G. malayanum의 국내 표본은 확인하지 못하고 국외 표본을 비교 관찰하여 본 논문에서는 총 2속 14종을 보고하는 바이다. 각 종의 연구사 및 국내외 분포지역을 서술하였고 Gonocepahalum속의 검색표는 문헌 및 실제 표본을 검토하여 작성하였으며 표본을 확인한 종들의 성충사진과 해부가 가능한 웅성 외부생식기 사진을 청부하였다.
        4,200원
        14.
        1995.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ransfer matrix를 사용하여 TiO2 및 Ag 단일 박막과 TiO2/Ag/TiO2 다층 박막의 두계에 따른 투과도 특성을 예측하였으며, 이를 실제 스퍼터 증착하여 제조한 박막의 광학 특성과 비교하였다. TiO2 및 Ag 박막에서는 복소굴절률을 사용하므로써 실제 증착박막에서 측정된 특성과 근접한 투과도 곡선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TiO2/Ag/TiO2 3층 박막의 광학 특성은 Ag의 TiO2층으로의 확산 및 응집에 의해 transfer matrix로 예측한 투과도 특성과 전혀 다른 거동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nm 및 6nm 두계의 Ti 박막을 확산방지층으로 증착한 TiO2/Ti/Ag/Ti/TiO2 구조의 5층 박막에서는 transfer matrix를 사용하여 예측한 TiO2/Ag/TiO2 3층 박막의 투과도 곡선과 유사한 광학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