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4

        361.
        198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ufficient herbage during the fall in the temperate areas of the world has been a serious limitation in animal production, but leafy brassicae are potentially very useful for extending the grazing season when the growth and quality of grass is poor. Thi
        4,000원
        362.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이른봄에 많이 생산이용되고 있는 호맥을 수영기, 출영기, 유숙기, 호숙기 및 황숙기의 5단계로 예취하여 이들을 임과로 silage를 만들었을 때 그 품질을 분석비교한 것으로써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ilage의 건물회수율은 난숙기부터 높아졌고 (P<0.01), Total-N에 대한 ammonia 태실표의 비율은 난숙기(9.37%)와 호숙기(12.7%)가 낮았다. (P<0.01). 2.Silage의 건물과 건물회수율 및 건물과
        3,000원
        363.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 실험은 등과야초인 칡에 당분을 첨가한 사일리지를 조제하여 사료배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시하였다.칡은 줄기와 잎을 2.0~2.5cm로 절단하여 2l들이 플라스틱 용기에 물8% 첨가한 사일리지, 물8%와 전분3%첨가한 사일리지, 물8%와 포도당3% 첨가한 사일리지 그리고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칡 사일리지를 조제하였으며 이들과 옥수수 사일리지를 비교하였다. 사일리지의 발표품질인 유기산과 조직성분의 특성(NOF, AOF, AOL)과 pepsin-cell
        4,000원
        364.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tilize the tuber of Jerusalem artichoke (Jerusalem tuberosus L.) which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economical resources for bioenergy, the tubers of the plant were processed into silage in 11 lab-silo with three levels of mixture of c
        4,000원
        365.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1985 and 1986, silage productivity of 8 Korean improved and 7 US introduced corn hybrids and their resistance to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RBSDV) were teste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where RBSDV is prevalent.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
        4,000원
        366.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일리지 옥수수의 적정(滴定) 질소시비(窒素施肥) 수준(水準)과 재식밀도(栽植密度)를 알아보고자 1981년(年) 부터 1982년(年) 까지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포(飼料圃)에서 단교잡종(單交雜種) 수원(水原) 19호(號)를 가지고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질소(窒素)를 증시(增施)하면 웅수출현기(雄穗出現期)와 간장(稈長)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나 착수고(着穗高)는 다소 낮아지고 경(莖)의 직경(直徑)은 굵어지며 엽면적지수(葉
        4,000원
        367.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맥(胡麥)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생초(生草) 및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 부위별(部位別) 생산량(生産量) 및 이들 시기별(時期別)로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생산량(生産量)을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수잉기(穗孕期),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및 황숙기(黃熟期)의 5단계로 나누어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생초수량(生草收量)은 호숙기(糊熟期)가 가장 많았으며(
        4,000원
        368.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本試驗)은 호밀 사일리지 제조시(製造時)의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19.2, 28.6, 32.2%)별(別) 개미산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을 달리 했을 때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고자 실시(實施)하였다. 호밀은 초장(草長)이 약(約) 40cm의 영양생장기인 11월(月) 29일(日) 예취(刈取)하여 즉시 또는 예건후(豫乾後) 포리에틸렌필림 봉지에 1,000g씩 채우고 실온에 보관하였다. 분석(分析)의 결과(結果)는 다
        4,000원
        369.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종기(播種期) 이동(移動)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장반응(生長反應)을 알아 보고자 1980년(年) 4월(月) 25일(日)부터 6월(月) 24일(日)까지 12일(日) 간격(間隔)으로 6회(回)의 파종기(播種期)를 두고 축산시험장(畜産試驗場) 사료포장(飼料圃場)에서 조생종(早生種) MTC-1과 만생종(晩生種) 수원(水原) 19호(號)를 가지고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출현일수(出現日數)는 단축(短縮
        4,000원
        370.
        198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예취시기(刈取時期)를 달리하여 조제(調製)한 silage를 이용(利用)하여 예취시기(刈取時期)와 섭취량(攝取量)이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대하여 검토(檢討)하였다. 목초(牧草)는 6월(月) 4일(日)(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 조기예취(早期刈取)과 6월(月) 30일(日)(출수기(出穗期), 만기예취(晩期刈取)에 예취(刈取)된 1 번초(番草)로 silage를 조제(調製)하였으며, 이 silage는 제한급여(制限給與)와
        3,000원
        371.
        198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oll bale silage조제시(調製時) 밀봉지연(密封遲延)이 silage 품질(品質)과 소화율(消化率)에 미치는 영양(影響)에 대한 본(本) 시험(試驗)에서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Roll bale silage의 내부온도(內部溫度)는 대조구(對照區)에서 26~28℃였으나, 밀봉지연구(密封遲延區)에서는 밀봉(密封)을 늦게 함에 따라 열(熱)이 발생(發生)하여 roll bale내(內)의 온도(溫度)가 55
        4,000원
        372.
        198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연구(硏究)는 Sorghum-Sudan hybrid를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달리하여 silage를 제조하였을 때 이들이 silage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저 실시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황숙기(黃熟期)에 예취(刈取)하여 각(各)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로 절단(切斷)길이를 1.0, 2.5 4.0cm로 하여 silage를 제조한 후 silage의 일반성분(一般成分),
        4,000원
        373.
        198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보리를 생육(生育) 단계별(段階別)로 예취(刈取)하여 formic acid를 0.2%~0.6% 까지 3개 수준(水準)으로 첨가(添加)하고 또 예건(豫乾)하였을 때 silage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져 원료(原料)의 일반성분(一般成分), 식물세포구성물(植物細胞構成物)을 분석(分析)하였다. 또한 silage의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하기 위하여 제조(製造)하여 약(約) 60일후에 pH 및 유기산(
        4,000원
        374.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료작물(飼料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가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시험작물(試驗作物)로 보리, 호밀, 밀, 귀리, 오차드그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옥수수 및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혼합목초(混合牧草)를 사용(使用)하여 각(各)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수량(收量), 조성분(粗成分), 사일리지품질(品質) 및 면양과 in vitro소화율(消化率)을 측정(測定)하였다. 사일리지제조(製造)는
        5,500원
        375.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을 김장철에 일시적으로 생산되는 채소잎으로 품질이 좋은 양질 Silage를 생산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실시 하였으며 시험구를 6개구로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1. 채소잎70%, 볏짚20,% 맥강10% 혼합구가 Silage질이 가장 좋았고 유기산 생성량도 많고 낙산 함량은 없었으며 타구에 비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2. 맥강을 첨가한구는 첨가치 않은 구에 비하여 기호성이 좋았고 조단백질 함량도 높았다. 3. 유기산 조성에의한 Silage품질은 총
        4,000원
        376.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료(材料)의 예건수준(豫乾水準)에 따른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사일리지 품질(品質)에 미치는 影響(影響)을 알고져 1981년(年) 11월(月) 11일(日)에 호밀과 이탈리안라이그라스를 수확하였다. 예건(豫乾)에 의하여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을 15.8%에서 53.2%까지 4수준(水準)으로 조절하였으며 사일리지는 폴리에틸렌필름봉지에 넣어 실온에 저장하였다. 1. 유기산(有機酸)의 함량(含量)은 재료(材料)의 건물함량(乾物含量)이 증가(增加)됨에
        4,000원
        377.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재료(材料)의 수확시기(收穫時期)와 여건(予乾), 세절(細切) 등(等)의 물리적(物理的)인 처리(處理)가 싸이레지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해 Italian ryegrass(Lolium multi florum)는 출수전(出穗前) I)과 출수기(出穗期) II), 섬다비(Dystaenia takesimana NaKai)는 개화전(開花前) III)에 각각(各各) 예취(刈取)하여 무처리(無處理) A) 1일(日) 여건(予乾) B),
        4,200원
        37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kwoo’, a mid-late maturing, high dry matter yielding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ith a good early growth and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was developed for whole crop silage (WCS) use.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leafy tropical japonica ‘LK1A-2-12-1-1’ with high biomass and good germinability in low temperature and new plant type (NPT), ‘IR72225-29-1-1’ which had low tillering trait, large panicle, dark green leaf, thick and sturdy stem and vigorous root system. This cultivar had about 123 days growth period from seeding to heading, 122㎝ culm length, 29㎝ panicle length, 9 panicles per hill, 144 spikelets per panicle and 1,000-grain weight of 24.4 g as brown rice in central plain region, Suwon. This wide and long leafy WCS rice variety was weak to cold stresses similar to ‘Nokyang’ but was a little resistant to lodging in the field, strong to viviparous germination and good to low temperature germination. In addition, ‘Nokwoo’ was resistant to leaf and neck blast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rice stripe virus and brown planthopper. Its average dry matter yield for three years reached 16.5 MT/ha, 14% higher than that of ‘Nokyang’. This cultivar had 5.3% crude protein and 68.8% total digestible nutrients a little low compared to ‘Nokyang’. In Korea peninsular, ‘Nokwoo’ grows well in central and southern plain and is good to harvest between 15 to 30 days after heading to improve its feeding value and digestion rate of livestock (Grant No. 6072).
        379.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covered barley to make grain silage, in Honam region of Korea. We harvested six varieties of barley every third day from 24 to 42 days after heading (DAH).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d from 62.4% at 24 DAH to 24% at 42 DAH. The moisture content at 36 DAH was 44.3%; however, moisture content at 39 and 42 DAH was lower than 40%. Yield of covered barley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4 to 42 DAH (p < 0.05). Yield at 36 DAH (557 kg/10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at 39 and 42 DAH (p < 0.05). With respect to the feed value of barley grain silage, the amount of crude fiber and crude ash was different by harvesting time (p < 0.05). However, the amount of crude protein, crude fat,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from 24 and 42 DA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H of grain silage from 24 to 42 DAH was between 3.8 and 4.2 and it was stable until 36 DAH (p < 0.05). However, the pH of grain silage at 39 and 42 DAH was 5.2 and 5.8, respectively, which was higher than the pH of silage with good fermentation quality. The lactic acid content of barley grain silage from 24 to 42 DAH decreased from 5.5% to 0.5% (p < 0.05). The amount of lactic acid at 36 DAH was higher than that at 39 and 42 DAH (p < 0.05). With respect to moisture content, yield, feed value, and fermentation,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grain silage of covered barley was 36 DAH. This could increase the use efficiency of harvesting machine for barley and reduce the harvesting time gap between whole barley silage and grain silage in Korea. Moreover, using barley grain silage for animal feed could reduce the import of corn.
        380.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ungmo1038', a mid-late maturing, high dry matter yielding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ith glabrous leaf and hull, was developed for whole crop silage (WCS) use.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R24592-HB2319’ with high biomass, smooth leaf and hull and good germinability in low temperature and new plant type (NPT), ‘IR73165-B-6-1-1‘ which had low tillering trait, large panicle, dark green leaf, thick and sturdy stem and vigorous root system. This cultivar had about 125 days growth period from seeding to heading, 99㎝ culm length, 20㎝ panicle length, 13 panicles per hill, 119 spikelets per panicle and 1,000-grain weight of 23.3 g as brown rice in central plain region, Suwon. This hairless WCS rice variety was weak to cold stresses similar to ‘Nokyang’ but was resistant to lodging in the field, strong to viviparous germination and good to low temperature germination. In addition, ‘Jungmo1038’ was resistant to leaf and neck blast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rice stripe virus and brown planthopper. Its average dry matter yield for three years reached 17.2 MT/ha, 21% higher than that of ‘Nokyang’. This glabrous cultivar had 6.6% crude protein and 62.4% total digestible nutrients a little low compared to ‘Nokyang’. In Korea peninsular, 'Jungmo1038' grows well in central and southern plain and is good to harvest between 15 to 30 days after heading to improve its feeding value and digestion rate of livestock(Grant No. 5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