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4

        2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everal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model bridge due to changes in cable tension are experimentally analyzed.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acceleration responses are measured from the model bridge for several cable tension case. The values of features extracted by frequency transform method are increased due to tension-loss.
        2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mount of newly-built bridges has been gradually reduced so that the importance of maintenance for existing bridges which has a long services period is issued. Therefore, the maintenance budget for existing bridges is going to be consistently increased. It is needed that a reasonable decision-making methodology for existing bridge maintenance is required to effectively use the limited maintenance budget. In this study, a method of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evaluation is newly suggested as the one of the evaluation stage for developing a reasonable decision-making methodology.
        2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cable tension of existing cable-stayed bridge is measured by non-contact laser vibrometer, and applicability of a non-contact vibration measurement method is experimentally evalu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on-contact vibration measurement method reveals an error of less than 5%, and could be efficiently applied to a rapid measurement for nonstationary response analysis of bridge structures.
        24.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im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MR damper as a smart control device when controlling the earthquake invoked transverse vibration of a two-span simple bridge. Applying a 40% of Kobe earthquake and a 120% of El-centro on a target structur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two conditions: passive on (current on) and Lyapunov control algorithm embedded. MR damper's control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contrasted under each different condition. It was concluded that MR damper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vibration of the bridge.
        25.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ystematiz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quired over whole life cycle of facilities to improv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industry. BIM has been actively suggested as one of alternatives. However, it may be currently concentrated on the large-scale facilities while the small and medium-scale facilities based on BIM are slightly treated in indifference.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et u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scale facilities. PLIB of ISO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by MLTM in Korea are used in this study.
        26.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introduced to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BMS(Bridge Management System) for structure management of long-span bridge. one of the best long span bridge for marine bridge in korea is Incheon bridge. Incheon bridge have applied to BMS for bridge management from construction period to operation and management period. Incheon Bridge during the bridge life cycle by taking advantage of the BMS systematic and efficient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is available that can extend the life of the bridge by building bridges and management history, and during the operation
        27.
        201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각속도 계측과 가속도계를 통한 가속도 계측을 통해, 기존 의 가속도 계측만을 통한 교량구조물의 건전성평가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교량의 경우, 지점 부근에서는 각속도 변화가 큰 반면, 중앙경간으로 갈수록 그 값은 작아지고, 가속도 변화가 크게 발생한다. 이러한 교량의 거동 특성을 통해 가속도 계측을 통한 건전성 평가에서 간과할 수 있는 지점 부근의 손상을 지점 부근에서 계측된 각속도를 이용해 보상하는 방법이다. 즉, 가속도 계측치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모드유연도 행렬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차적인 손상진단을 수행한다. 추가 적으로 지점부근의 각속도 계측을 이용해 얻어진 회전 모드유연도 행렬을 이용하여 지점부근에서의 손상진단을 수행한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해서 단순보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했다. 중앙 부근의 손상과 지점 부근의 손상을 모사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 검증을 위해 가속도 계측만 을 통한 결과와 이종 데이터 계측을 통한 결과에 대한 비교연구를 수행했다.
        28.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mages due to typhoon and floods are increasing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and abnormal climate phenomenon over the world. Flood and scour is one of the major causes for bridge collapse. However, maintenance and inspection techniques still need improvements especially for underwater structures like bridge piers in rivers. Conventionally, manual inspection by divers has been carried out for underwater structures of bridges. This has difficulties in gathering accurate and reliable field data under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underwater inspection of bridges has been carried out using the side scan sonar (SSS), one of unmanned underwater inspection equipm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anual inspec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SSS can be efficiently utilized to underwater inspection of bridges especially with bad visibility or large-scale inspection area.
        29.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태국의 수도 방콕의 장기화된 홍수로 인하여 인명 및 국가 기간시설물에 대한 피해가 발생하였고, 전 세계적으로도 지구온난화 및 이상기후 현상으로 태풍 및 홍수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국내외에서 해마다 홍수로 인하여 많은 교량들이 붕괴되고 있으며, 교량파괴의 주요 원인은 홍수와 세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량에서 중요한 부분인 교각처럼 수중에 위치한 구조물에 대해서는 결함을 찾아내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제반 기술적 사항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교각수중점검을 수행하는 용역방식이 외부 비전문적인 용역방식과 인력 위주의 점검으로 인하여 안전관리 부재 및 점검자의 주관성 개입 등 데이터 획득과 결함 평가의 신뢰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형식적인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수중구조물점검을 위해 무인 수중 점검 장비 중 하나인 수중음파탐지기(Side Scan Sonar : SSS)를 이용한 실험으로 무인점검의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사용성 검증을 위한 수중촬영도 함께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Sonar를 이용한 교량 수중구조물 점검이 탁도가 불량이거나 대규모 교량의 세굴 탐지에 있어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30.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탄산화는 콘크리트 내부의 알칼리성 수화생성물과 대기 중의 탄산가스가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며, 탄산화에 의한 철근부식은 철근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원인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시공된 교량구조물에 대한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교량구조물이 위치한 환경에 따른 탄산화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계측결과들을 바탕으로 탄산화에 의한 구조물의 내구적 파괴확률을 신뢰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하고, 국내 시방서에서 제시하는 목표파괴확률을 기준으로 대상구조물의 내구수명을 평가하였다. 현장실험결과를 토대로 한 탄산화의 분석결과 교량의 사용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탄산화깊이는 증가함을 보였으며, 교량구조물의 탄산화 속도 분석결과 하천교량에 비하여 도심지 및 해상 교량의 탄산화 속도가 1.6-1.9배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교량구조물의 내구수명을 파악한 결과 하천 교량에 비하여 도심지 및 해상 교량의 내구수명은 약 2.4-3.3배 적게 나타났다.
        31.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근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중의 하나는 콘크리트 탄산화로 인하여 철근이 부식되는 것이다. 탄산화속도는 구조물이 위치한 환경의 이산화탄소 농도, 콘크리트 품질, 구조물의 형상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특히, 도심지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에 대한 문제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시공된 교량구조물에 대한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탄산화가 교량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계측결과들을 바탕으로 탄산화에 의한 구조물의 내구적 파괴확률을 신뢰성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도심지 환경에 따른 탄산화의 분석결과 콘크리트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산화 속도가 감소하고, 교량의 사용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탄산화깊이는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신뢰성이론을 기반으로 도심지 교량의 내구적 파괴확률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 내구적 파괴확률이 10%이상으로 분석되었고, 목표내구수명을 만족하기 위해 최소 피복두께가 70-80mm이상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32.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으로 유연한 특성을 갖는 교량 구조물을 대상으로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실시간으로 제어하고자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기서 진동제어를 위한 교량 구조물은 서해대교를 규모화 한 모형 교량 구조물을 사용하였고, 실험실 여건을 고려해 규모화 된 El-centro 지진파형으로 구조물을 가진하였다. 또한, 교량 상판 중앙지점에는 전자석이 채용된 전단형 MR 댐퍼를 설치하여 발생된 진동을 제어하도록 하였고, 동시에 변위계 및 가속도계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응답(변위, 가속도)을 획득하였다. 이때 진동제어의 실험은 크게 비-제어, 수동 on/off 제어, 그리고 Lyapunov 안정도 이론에 의한 실시간 피드백 진동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이때 진동제어의 효과는 상판 중앙지점에 대하여 비-제어 시 기준 각 실험방법 별 절대최대변위와 절대최대가속도 그리고, 인가전압의 소모량으로 평가하였다. 진동제어실험의 결과로부터, Lyapunov 제어방법은 구조물의 발생 변위 및 가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특히 진동제어 시 요구되는 외부 인가전압의 소비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 구성한 실시간 준능동 피드백 진동제어 시스템은 구조물에 발생된 진동을 제어․관리하기 위한 적극․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33.
        200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모델링을 통한 교량구조물의 동적인 특성은 주로 구조물의 기학학적 형상에서 계산된 강성과 질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합성단면을 갖는 강판형거더교량의 FE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링 기법은 실계측된 동특성과 비교 분석하여 유용성을 제시했다. 제시된 FE 모델링 기법은 단순화된 1-2차원 모델과 3차원 상세모델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법을 제안하고 유용성을 보여 주었다. 구조물의 동적 응답은 상부 슬래브를 지지하는 거더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일반 차량하중 상태에서 발생하는 상시 진동에 의해 측정되었다. 이렇게 측정된 교차파워스펙트럼을 역퓨리에 변환에 의해 교차상관함수로 변환하여 구조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결과는 FE모델링의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모델링 기법의 유용성을 제시하였다.
        40.
        2000.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 suggest a measurement method of lateral displacement, which can be used to judge the stability of bridge abutment on soil undergoing lateral movement. The abutment of bridge on soft foundation makes lateral movement due to the settlement of back fill and lateral flow.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such a abutment, there are a lot of indirect method for measurement such as survey of leveling or inclinometer gauge around the abutment. But all of them are not sufficient to confirm the ground behavior and measure the exact lateral behavior of structure. As making the structure and pile cooperatively by measuring the movement of lateral displacement, for measuring the abutment displacement precisely by using the inclinometer. In this work, we try to suggest efficient measuring method of abutment displacement and its application.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