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AS360-22 종자에 1998년 250 Gy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그 후대에서 미이라병에 저항성을 가지는 계통을 선발・육성하여, ‘원율’로 명명하고 2009년에 최종적으로 품종보호권을 출원 신청하여 2012년 등록 완료하였다. 원품종 KAS360-22의 종피색이 노란색인데 반하여 신품종 ‘원율’은 갈색을 나타냈다. 100립중은 재래종 KAS360-22이 17.2 g, ‘원율’은 27.5 g으로 종자무게는 증가하였으며, ‘일품검정콩’(27.4g)과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품종 ‘원율’의 10a 당 수량은 미이라병 발병 조건에서 233.3 kg으로 재래종 KAS360-22 (24.9 kg)에 비교하여 10.6배 가량 높았고, 대조구 ‘일품검정콩’(121.4 kg)에 비교하여도 1.9배 가량 높아 밥밑용 콩으로 안정적인 수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mopsis seed decay (PSD) is part of a major fungal disease complex found in most soybean production areas of the world. To establish the genetic linkage map and efficient soybean breeding program, DNA markers were surveyed for polymorphism between PSD resistant (cv. PI 417479) and susceptible (cv. Hwaeomput-kong) varieties. F2, BC1F2, BC2F2 and the corresponding F2:3 population familie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lecular markers and resistance to PSD. In SSR analysis, Sct_033 was the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D resistance among selected eight primers. AF1, AF2, and AF3 were also selected in AFLP analysis. And a few promising lines could be selected from two times of back cross. Especially a breeding line SS01415-8-1 was developed, which has high seed quality such a large seed size, bright hilum color, round shape, and etc. It might be considered a good breeding material for new recommend variety having resistance gene to PSD with good seed quality.
        32.
        198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에서 흰둥멸구 저항성 유전자 Wb ph 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N22와 Wb ph 2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ARC 10239에서 묘령별ㆍ얼자별로 흰등멸구 약충생존율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N 22와 ARC10239는 다 같이 묘령에 따라 약충생존율에 차이가 있었으며 그 경향은 품종에 따라 달랐다. ~circled1 N 22는 7일 묘부터 30일 묘까지 약충생존율이 매우 높고, 40일 묘에서 급격히 낮아지며, 생육후기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2 ARC 10239는 7 일 묘에서 약충생존을이 매우낮고, 그 후 점차 높아지다가 40일 묘에서 다시 낮아져 생육후기까지 아주 낮은 경향을 보였다. 2) N22와 ARC10239는 다 같이 얼자간에 약충생존율의 차이가 있었고, 주간의 약충생존율이 낮은 묘령에서 얼자간 약충생존율의 차이가 적었으며, 얼자보다는 주간의 약충생존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