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

        2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두과작물은 대부분의 노린재류가 선호하는 작물이지만, 그 선호성은 두과작물의 종류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선호성은 VTS(Video tracking system)를 이용하여 두류종실별 방문횟수와 체류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유인력은 통발트랩에 두류종실을 넣어 노린재류의 유인수를 조사하였다. 또한 통발트랩을 이용하여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과 두류 종실 조합에 의한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를 검토하였다. 두류종실에 대한 노린재류의 방문횟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진품콩>선녹콩의 순서로 많았으며, 체류시간(초)은 청자콩>일품검정콩>선녹콩>진품콩의 순서로 길었다. 콩 포장에서 두류종실에 의한 노린재의 유인수는 청자콩>일품검정콩>태광콩>땅콩>강낭콩>팥의 순서로 많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EZ:EE:MI = 1:5:1, 75㎎/PE형 방출기)과 콩 종실 조합에 따른 노린재류의 유인효과는 집합페로몬+청자콩 조합에서 약 86%, 집합페로몬+일품검정콩 조합에서 약 59%, 집합페로몬+태광콩 조합에서 약 31% 증가하였다. 따라서 두류종실의 종류에 따른 노린재의 선호성과 유인효과가 인정되었으며, 농작물 재배포장에서 노린재류를 효과적으로 유인하려면 페로몬과 청자콩 종실을 조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2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무혹벌 산란동아수의 품종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석추 및 다압에서 가장 적었고 전체적으로 신초의 하부로 갈수록 산란동아수가 많았으며 특히, 옥광, 축파, 유마 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였다. 대부분의 품종에서 동아당 평균 1.0개 이상 다중 산란되었으며 신초하부의 경우 산란수가 재래종, 축파, 옥광, 평기에서는 3.0개 이상이었으며 석추와 다압은 1.0개 미만이었다. 산란동아별 난수는 모든 품종에서 상부의 동아에 산란된 난수가 가장 적었고, 하부의 동아에 많은 경향을 보였다. 신초하부의 경우 축파는 산란된 알이 평균 15개 이상으로 가장 많았던 반면, 다압은 한개 이하로 가장 적었다. 품종별 산란비율은 모든 품종에서 밤나무혹벌이 산란한 동아를 발견 할 수 있었으며, 재래종이 로 가장 높았고, 축파와 유마에서는 각각 78.5와 이상의 산란율을 나타내었다.
        3,000원
        24.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선충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He)와 Steinernema carpocapsae KCTC 0981BP (Sc)}에 의한 치사충과 선충의 공생세균(He공생세균=Photorhabditis sp.와 Sc공생세균= Xenorhabdus nematophila)에 의한 치사충에 대한 개미의 섭식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래베네스트골프장과 안양베네스트골프장, 가평베네스트골프장, 울산골프장에서 치사 원인에 따른 개미의 방문수, 종류 및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방문하는 개미의 수나 종류 및 개미가 물고 간 먹이의 수는 치사원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골프장이나 골프장내의 장소(페어웨이와 러프)간에도 차이가 있었다. 개미의 선호성은 모든 골프장에서 He에 의한 치사충에서 가장 낮았다. 동래베네스트 골프장의 6번 홀에서는 러프에서만 고동털개미(Lasius japonicu)()와 검정꼬마개미(Monomorium floricola)()가 치사충을 끌고 갔다. 러프의 치사충에 개미의 방문이 있었던 비율은 였지만 페어웨이에서는 처리 16시간 후까지 모든 치사충에 개미의 방문이 없었다. 12시간 후까지 개미가 끌고 간 치사충의 비율은 He에 의한 치사충이 로 Sc에 의한 치사충의 , fenitrothion에 의한 치사충의 , 자연치사충의 에 비하여 낮았다. 안양베네스트골프장 6번 홀 러프에서는 주름개미(Tetramorium tsushimae)()와 극동혹개미(Pheidole fervida)(), 일본왕개미(Camponotus japonicus)(), 곰개미(Formica japonica)(), 스미스개미(Paratrechina flavipes)(), 마쓰무라밑들이개미(Crematogaster matsumurai)()가 치사충을 방문하였다. 개미가 치사충을 끌고 감이 없었던 비율은 였고, Sc에 의한 치사충을 끌고 간 비율은 , 냉동 치사충을 끌고 간 비율은 , He에 의한 치사충을 끌고 간 비율은 였다. 가평베네스트골프장 벚꽃나무 코스 9번 홀의 러프에서는 치사충을 방문하는 개미의 수가 매우 낮았는데, 주름개미와 스미스개미가 각각 한곳에서 발견되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의 접종 농도는 개미가 끌고 간 치사충의 비율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치사충의 매장 유무는 개미의 섭식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동래베네스트골프장 6번 홀의 러프에서 토양 속에 묻은 치사충에서는 처리 16시간 동안 개미의 방문이 없었던 반면, 묻지 않은 치사충은 끌고 갔다. He와 Sc의 공생세균을 처리한 비스켓에 대한 개미의 방문은 선충의 치사충에 대한 방문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 He의 공생세균인 Photorhabditis sp.처리에서 Sc 공생세균인 Xenorhabdus 처리보다 방문수가 적었다.
        4,000원
        25.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쌀바구미와 저장 곡물 곰팡이간의 상호작용 분석의 일환으로 곰팡이 종에 대한 쌀바구미의 분포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쌀바구미는 비교 대상 4종 곰팡이(Aspergillus candidus, A. niger, A. flavus와 Penicillium spp.)에 오염된 현미를 살균된 현미보다 선호하였으며, 선호도는 A. candidus와 Penicillium spp.에 대해서 가장 높았다. 차대 쌀바구미 우화수는 A. candidus와 Penicillium 오염미에서 가장 많았으며 A. flavus 오염미에서 가장 적었다. 쌀바구미의 곰팡이 오염미에 대한 선호와 쌀바구미 적합도간 불일치 현상은 쌀바구미의 분포 및 곡물 곰팡이 선호도가 알려진바 유사 니체에서의 장기적인 공진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종간 상호작용의 조정과 아울러 영양적 특성 등 단기적 서식환경의 적절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6.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식성 천적 O. kashmiricabenefica의 식식성 응애류 3종에 대한 포식량, 포식선호성 그리고 동족포식을 조사하였다.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먹이인 응애의 밀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항온조건하에서 O. kashmirica benefica 성충의 일평균포식량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각각 21.9, 13.5, 14.1마리씩 포식하였다. 유충의 포식량은 영기가 증가할수록 많아져서, 1령, 2령, 3령 유충이 각각 2.8, 11.2, 25.4마리의 귤응애 성충을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은 귤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성충을 유충기간(5일, )동안 각각 77.7, 61.3, 73.0마리씩 포식하였다. O. kashmirica benefica 유충과 성충은 글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중에서 특정한 종을 선호하는 경향은 없었으며, 먹이가 없을 때에도 동족포식 정도는 매우 낮았다.
        4,000원
        27.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대노련재의 계대사육법을 확립하기 위해 , 605% R.H., 16L.8D광주기조건 의 실내 사육환경하에서 대체먹이인 생땅콩을 급여하여 사육하면서 발육 특성과 기주 및 산란선 호성을 조사하였다. 광대노련재의 1세대 소요일수는 평균 48일이었다. 알은 유백색의 구형이고 1 난괴당 산란수는 14개가 대부분이었다. 알.약충의 발육기간을 조사한 결과 알기간은 8.20.4일 이었고 각 령별 약충기간은 1령 5.40.2일,2령 8.40.5일, 3령 6.40.4일,4령 7.40.3일,5령 12.60.8일이였다. 성충의 생존일수는 수컷이 평균 30.8일, 암컷은 35.4일 정도였다. 성충화율은 5 57.1%였는데 암수비융은 47: 53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았다. 산란전기간은 평균 22.5일이었 고 펑균산란회수는 4.4회였다. 산란선호성은 기주식물이 있을 경우에는 기주에 산란하지만 기주식 물을 제외시킨 경우에는 아크릴 사육상자, 철망보다는 인조잎에 더 많이 산란하였다. 광대노린재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대상식물 18종 중 황벽나무, 산초나무, 산수유, 충층나무 등의 줄기 및 과실을 가장 잘 흡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8.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박 부위별 산란습성은 상위엽과 하위엽보다는 중간부위의 잎에 산란량이 많았고 잎자루와 줄기보다는 잎에, 잎의 앞면보다는 뒷면에 주로 산란하였다.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의 작물 선호도는 오이, 박, 수박 등의 순이었고, 참외, 동아, 멜론, 안동오이 등은 중간정도이었고 수세미와 목화는 매우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수박시험장에서 수집한 유전자원과 육성중인 계통에 대한 목화바둑명나방 유충의 선호도는 품종 및 계통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보유중인 품종 중에서는 목화바둑명나방에 대한 저항성 계통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목화바둑명나방의 섭식량을 추정하기 위한 일별 배설량은 유충 초기에 배설량이 매우 적었고 점차 증가하여 16~18일차에 최고에 달하며 그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였다.
        4,000원
        30.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대산 국립공원의 삼림경관, 삼림 시설물 경관, 집단시설지구 경관, 사찰경관을 대상으로 물리적 환경이 지닌 환경적 질을 계량적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여 합리적인 이용개발 및 보전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심리량 분석을 취해 S.D.Scale을 측정하고 인자분석 알고리즘을 통하여 물리적 환경의 공간 이미지 구조를 밝혔으묘, 시각적 선호도를 측정하여 결정인자를 추출하였으며 각 인자 상호간의 중요성을 규명하였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공간 이미지를 함축하는 변인은 종합평가적 차원, 공간적 차원, 자연성 차원 및 물리적 차원, 호감성 차원 등 5개 인자군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평가적 차워, 공간적 차원 및 호감성 차원의 인자가 공간 이미지를 대표하는 인자군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선호도를 결정짓는 주요 설명변수는 계곡물의 깨끗함과 상쾌함, 지형지세의 특이성, 등산로 설치의 자연스러움 및 사찰건물 외관과 주변 인공식생과의 어울림 등이 시각적 선호도 결정의 주요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5,200원
        31.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나무와 가로수 및 정원수로 식재되어 있는 배롱나무에 극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주머니 깍지벌레의 발생상태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주머니깍지벌레는 연2회 발생하며 1세대 성충은 4월 하순~5월 하순까지로 발생최성기는 5월 상순이었고, 2세대는 8월 하순부터 10월 상순까지로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월동충태 구성은 난이 57.1%, 유충이 42.9%로 주로 난과 유충으로 월동하였다. 기주식물은 배롱나무 등 7과 7종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배롱나무와 감나무를 선호하였다. 각 층태별 크기는 난의 길이가 0.29/0.16mm, 1령 유충은 체장/폭이 0.41/0.16mm, 2령 유충 0.96/0.45mm, 자성충 1.87/1.38 mm, 웅성충 0.93/0.47 mm이었으며, 산란수는 평균 221.9개이었다. 온도에 따른 난기간은 이하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졌으나 에서는 의 6.8일에 비해 12.0일로 길어졌고 부화율은 이하에서 90% 정도로 높았으나 에서는 56.5%로 낮아졌다. 광주기에 따른 난기간은 광기간이 길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부화율은 평균 98%이상으로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4,000원
        32.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the Ricania sp., we investigated the light response to adults and developed an adult capturing device using light with superior attractiveness. The preference among six light sources such as daylight color, green, etc. for the Ricania sp. adult was favored with daylight color 97 > black 79 = red 79 = blue 79 > green 24 > yellow 13. We have developed an adult catching device using the most preferred daylight colors and behavioral habits of the Ricania sp.. The capture device consisted of two daylight compact lamps (30W, 20W), a yellow plate, and a catcher using water, and caught about 700 individuals a day. The capturing device has a large amount of capturing because adult is activity at high nighttime temperatures, but the capturing amount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temperature dropped below 23℃. More than 85% of the Ricania sp. adults were trapped for 3 hours from 19:00 to 23:00.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dult capturing device for the control of Ricania sp. is used from mid July to late August when the night temperature is over 23℃, and lights up from 19:00 to 23:00.
        33.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culture movement puts great importance on well-being which consists in nature-fulfillment and focuses on healthy, psychological secure living. In addition, floral art design, as an element to stimulate a human emotion, is widely applied as a decoration in the center of an eating and drinking table with regard to consumers’ emotional expectations, today’s trends. Color which helps people recognize visually was consider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best design preferable to the public, and orange color was the best among the colors because it stimulate appetite. As the preferable image with regard to colors is considered as a romantic image, it represented that people prefer emotional atmosphere and image based on emotional consumption elements. Cut flower is the most popular among cut paper, cut leaves, cut flower, plants in flower-ports for plant materials in decorating eating and drinking tables, and among them, ros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lisianthus, carnation, hydrangea , and gerbera. Hydrangea and peony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imported plants, and imported plants corresponded to low frequency preference. Differences followed by various colors, high quality, luxurious and exotic images are the important factors why people prefer imported plants, an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plant materials in Korea and plant materials imported were colors, followed by rareness, price differences, uniqueness, quality, fitness for creating atmosphere, purchasing difficulties, unique shape, flower shadow, various breeds. European style, Western style, Oriental style are classified in floral art design, and finally, blank beauty, the wonderful, rich designs which consider natural basic principle rather than gloomy space, and the style which expresses the feel of materials and colors differently are preferable in the style and hard, experimental, abstract styles different from curved and stable styles are not preferable. Grouping technique, which makes it easy to create formation and represents a powerful movement of colors, forms, and a feeling of materials visually, was preferable.
        3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중성 및 공공성이 확보된 작품 제작을 위하여 사람들이 어느 정도 화훼장식물을 좋아하고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최근에 환경 관련 디자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환경 심리학적 접근 방법에 의한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특성 파악을 위해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미지 특성 분석 에서는 화훼장식물의 전체에 대한 이미지 통계 결과 ‘자연적’, ‘질서 있는’, ‘통일감’, 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깨끗한’, ‘아름다운’ 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인공적인 도시에서의 화훼장식물이 도시 미관에 자연미와 통일감을 부여하는 경관요소로 조화롭게 연출 되어져 이미지가 높게 평가 되었고, ‘깨끗한’, ‘아름다운’의 이미지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화훼장식물이 지속적인 관리체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도시 미관을 떨어뜨리는 이미지로 인식된 결과로 보인다. 2. 화훼장식물이 지닌 이미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된 인자분석 결과, 화훼장식물의 이미지 인자는 총 4개의 인자로 추출되었으며, 인자 1은 ‘미관성’으로, 인자 2는 ‘정연감’으로, 인자 3은 ‘중량감’ 으로 설정하였으며, 인자 4는 화훼장식물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이미지, 안정성, 친밀감 등과 관계되는 ‘친숙감’으로 설정하였다. 3, 4개의 인자들의 인자점수(Factor Score)를 이용한 유형별 산술평균 결과, 미관성 인자와 정연감 인자에서는 모두 유형 Ⅲ이 가장 높게 나타나 입체조형물이 시각적인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입체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질서와 통일감으로 인한 시각적인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중량감 인자와 친숙감 인자에서는 공히 유형 I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화단에 식재된 화훼장식물로서 장방형의 형태에서 오는 안정감에 기인한 것이며, 한편으로는 예전부터 우리 주변에 있어온 형태의 친숙감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4. 외부공간에 연출된 화훼장식물의 시각적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친환경성, 「스토리텔링 기법」등의 공감대를 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보이며 화훼장식물이 외부공간에서의 역할을 주변경관과의 어울림의 고려가 필수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5. 시각적 선호도와 화훼장식물의 이미지와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과 유형 Ⅱ에서도 미관성 인자가 높게 나온 반면 유형 Ⅲ에서는 정연감 인자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전반적으로 화훼장식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의, 미관성 인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화훼장식물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화훼장식물의 조형미를 높일 수 있는 디자인적 연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6. 외부공간과의 시각적 조화성을 분석한 결과, 시각적 조화도를 보인 작품들 대부분이 유형 Ⅲ의 입체 조형물에 연출된 화훼장식물로서, 선정된 작품들 또한 색채, 재료, 크기, 형태, 위치에서 고르게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볼 때, 화훼장식물을 연출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려면 고른 조화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7. 화훼장식물 전체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형 I에서는 색채의 조화가 , 유형 Ⅱ와 유형 Ⅲ는 각각 위치의 조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은, 이동이 가능한 가변성이 있는 작품으로 주변 환경과 컨테이너에 식재된 화훼장식물과의 조화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주변 환경과의 조화가 가장 잘 이루어져 완성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외 화훼장식물의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감상자들이 원하는 화훼장식물의 형태는 목적 공간에 맞는 적극적인 연출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듯이, 이제 화훼 장식물의 역할은 단순히 지표의 역할을 하는 기능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공공예술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결과에 부합하기 위하여 향후 개선해야 할점도 적지 않음을 알수 있다. 시대적 트랜드에 맞는 형태의 디자인 개발과 화훼류의 선택및 이용방안 연구 또한 필연적 과제임을 인식하게 된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아름다운 도시 경관에서의 녹(綠)과 화(花)의 제2의 창출과 화훼예술의 대중적 기여를 목표로 한 외부 화훼장식을 위한 디자인 기획과 연출시, 이용자 선호도 반영및 주변 경관과의조화성 기준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더 나아가서 아름다운 도시를 창조하는데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36.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landscape of rural settlement incurred the loss and worsening of its main feature in the modernization which was progressed by the inner and outer cause - the growth of urbanization and improvement of living and dwell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land-use in rural and analyzes relations between visual quantities by land-use and a pre(essence of landscape. And it is suggested the basic data of a planning and a management in rural by making clea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landscape preference elements The visual characteristic of landscape elements that is based on the rural land-use is classified harmony, variety, variables and particulate. And it is classified the object of landscape by recognizing images of landscape produce space, natural environment, settlement place and cultivated land of a special products. In the analysis of landscape preference, it appears that the harmony has a great influence on a suburban, a rural, a mountainous district, and a hamlet in psychology elements and the volume of forest area in visual elements. As a result, it requests rural scenes in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So, the landscape planning which has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identity as the rural settlement can be represented by the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egional featur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