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지권인 제주에서 아스파라거스 수확기 및 수량에 미치는 터널피복 시기를 구명코자 2년생 '그린타워' 품종을 이용 수행하였다. 무처리를 비롯하여 터널피복 시기는 2004년 1월 10일부터 15일 간격으로 2월 25일 까지 4회 실시하였다. 맹아일은 관행 3월 3일에 비하여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23주 빨랐다. 첫 수확일은 관행구(무처리) 3월 11일에 비하여 1월 10일 피복구에서 2월 19일로 3주, 1월 25일과 2월 10일 피복구에서는 2월 25일로 2주 정도의 수확기 촉진 효과가 나타났다. 주당수량은 1월 10일과 25일 피복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피복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크게 적어졌다. 터널피복에 의한 2월 조기수확 효과는 1월 10일 및 1월 25일 피복구에서 각각 325, 333kg/10a로 크게 나타났으며 2월 10일 피복구 이후에서는 크게 감소되었다.
        3,000원
        2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4월 20일과 4월 30일의 수확시기를, 세구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l' 품종으로 하였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함량은 각각 17.8%로 만기수확시의 20.0% 보다 낮았으나,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는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건물, 조단백질 및
        4,000원
        2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은유아등과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2000년과 2001년에 남부지방의 단감원에서 복숭아명나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고 수확시기의 과실에 대한 피해정도를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조사하였다. 복숭아명나방은 년 3회의 발생피크를 나타내었는데, 제1화기는 6월 중하순, 2화기는 8월 중하순, 3화기는 9월 하순이 발생최성기이었다. 집중방제 과원에서는 방제소흘 과원보다 복숭아명나방이 적게 발생하였다. 조사대상 과수원에서 수확시기의 과실에는 복숭아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들 두 검역해충이 수출용 단감에 존재할 가능성은 아주 낮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감원 주변의 식생과 수확기 과실의 피해율(0%)로 볼 때, 유아등이나 성페로몬트랩에 유인된 복숭아명나방은 주변의 밤나무로부터 이끌려온 것일 가능성이 크다.
        4,000원
        24.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use a variety of methods to determine the optimum time for havesting corn for silage. In addition, adequate dry matter for silage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maturity s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using the kernel milk line to de
        4,000원
        25.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샤일리지용 수수와 청예용 수수-수만그라스 교잡 종의 사료생산에 안맞은 수확기를 안기 위하여 수수 2품종(p 931, P 956)과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1 품종(P 988)을 재배하여, 수수는 출수기부터 1주일 간격으로 6회 수확하였고 재생한 것은 10월 13일에 모두 수확하였다 수수-수단그라스는 출수 1주전부 터 1주후까지 6회 수확하였고, 재생한 것은 2차 혹은 3차 수확하여 수화시기가 사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4,000원
        26.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number of runners developed from daughter plants during seedling on sapling growth and development during phase of first cluster, we examined four treatment groups that had 3–4, 5–6, 7–8, and 9–10 runners. As of June 5th, the group with 9–10 runner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aplings with more than 2 leaves, followed by groups with 7–8, 5–6, and 3–4 runners. Although observation on June 25th and July 15th showed a similar tendency for sapling number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between groups with 7–8 and 9–10 runners. The length of runners in the treated groups was similar to that in groups with 3–4 and 5–6 runners, with lengths of 49.4 mm and 48.0 mm, respectively, but runner length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group with 7–8 runners. Both the thickness and the weight of runners were highest in the group with 3–4 runner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daughter plants and root weight were similar between the groups with 3–4 and 5– 6 runners, whereas both values were lower in groups with 7–8 and 9-10 runners. While stem crown thickness values were 8.7 mm and 8.5 mm in groups with 3–4 and 5–6 runners, respectively, groups with 7–8 and 9–10 runners had thinner stems of 7.1 mm and 6.2 mm, respectively. The fresh weight of saplings decreased as the number of runners increased. From the phase first cluster, leaf area and fresh weight were remarkably low in groups with 7–8 and 9–10 runner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saplings 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studi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number of runners developed from daughter plants on growth and development during the seedling period and the phase first cluster.
        30.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맥주보리의 수확기에 강우가 많았던 제주산 강우피해보리 와 기상상태가 양호하였던 전남, 경남산의 맥주보리의 발아성을 비교하여, 생산된 맥주보리의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종자의 병원균 감염여부와 수발아성을 확인하고 아울러 휴면정도와 발아성을 조사한 결과 수확기의 강우는 발아에 지장을 초래하여 '91년산의 제주산은 46∼71%의 수준으로 불량하였다. 발아율이 낮은 제주산도 발아에 지장을 줄 정도의 병감염은 없었다. 강우피해보리는 포도당과 맥아당의 함량이 높았는데, 이는 곡립의 물질분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지며 수발아현상으로 추정되었다. 제주산 강우피해보리에서 수발이후 휴면하는 종자가 많음을 TZ발아능 예측검사에서 알 수 있었으며 강우피해보리의 경우 저온발아시험에서 발아율이 높으므로 보아 2차휴면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확후 12개월간 저장한 후에는 발아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보아 발아불량은 2차휴면의 결과로 보이며, 월동에 의한 저온처리후에 원료로 사용하거나 수확 직후에 발아력이 50%이상일 경우에는 5 에서 5일간 함수상태 예냉처리로, 발아력이 50%이하로 낮은 경우에는 gibberellic acid 1ppm수준으로 처리하면 발아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발아력과 휴면정도가 다양한 seed lot을 재료로 맥주보리의 발아력향상에 관한 예냉과 gibberellic acid 처리의 효과를 재 구명할 필요가 있겠다.
        31.
        198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깨품종 '수원9호'의 만식재배시 적정수확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성숙후기로부터 주기적으로 sampling하여 수량발연항목들을 조사하고 삭수분함량, 개삭율 및 조직노화상태를 기록하였다. 아울러 작물건조제 Diquat을 살포하여 그의 효과와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개체당 종실수량과 종실수는 9월 18일 수확에 이미 최대에 달하있고, 이들은 그후 점차 감소하였으나 천입중은 9월 29일 수확기까지 증가하는 추세이였다. 2. 수확기가 늦어질수록 삭수분함량 감소하고 반면 개삭율은 증가하였다. 삭의 열개는 수분함량이 70% 이하로 떨어졌을 때 발생하였고 탈입에 따른 수량저하 급격히 증대되는 시기는 수분함량이 65% 이하이고 개삭률이 50 %이상인 때부터이었다. 3. 적정수확기는 종실수가 최대로 확보되고 삭수분함량이 70%이하로 떨어질 때부터이며 엽의 황화는 상위절까지 지전되고 50%삭이 황화되였을 때에 해당하였다. 4. 엽의 탈락이후의 천입중의 증가는 삭의 storage pool로서의 기능으로 보여지며 삭조직중의 약 5%가량이 종실중 증가에 기여하였다. 5. Diquat을 식물체에 살포하였을 때 5 일후에 삭수분함량은 40 % 이하로 떨어지고 7일후에는 90% 이상 개삭이 일어났다. 이는 포장상태 참깨보다 2주이상 건조를 촉진시켰으며 균일화의 효과가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