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tting frequencies (3, 4 and 5 cuts per year) in relation to fertilization of mineral nitrogen on crude protein yield and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acid detergent fibre in orchardgms(Dac
        4,000원
        22.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 (3, 4 and 5 cuts per year) and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on dry matter yields, in order to estimate optimum level of fertilizing mineral nitrogen in orchardgrass(Dacry1is glome
        4,000원
        23.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2, 3: one time grazed after 2 cuts, 3, 4, 6 cuts per year) and nitrogen fertilization(0 and 120 kg per ha and year) on botanical composition of permanent grassland at the "Federal
        4,000원
        24.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ing stage, cutting frequency and the level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the change of carbohydrate reserves in reed canarygrass(Pha1aris arundinacea 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4,000원
        25.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파된 영년채초지에서의 예취빈도와 질소시비가 뿌리의 수량과 심층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식생구조에서의 뿌리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상층 20cm까지에 그 대부분이 존재하였다. 2. 뿌리의 양은 우점종에 관계없이 모두 높았지만 Arrhenatherum elatius 우점초지에서 가장 낮았고 Alopecurns pratensis우점초지에서 가장 높았다. 3.뿌리의 양은 예취빈도간에는 그 차이가 없었으나 적당한
        4,000원
        27.
        199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y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NO3-N leaching losses under 12 years mixture permanent meado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4,000원
        28.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y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th change of vegetation and the yield of dry matter on the different mixture combination of permanent pasture. 1. DM yield was increased as the increas
        4,000원
        29.
        198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characteristic of mixture sowing combination on the develop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was conducted for 12 years on the meadow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Festuca pratensis lost the expected positi
        4,000원
        30.
        198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고랭지(高冷地) Timothy 우점초지에서 목초(牧草)의 적정(適正) 예취회수(刈取回數)와 최종(最終) 예취시기(刈取時期)를 구명(究明)하고자 DM 생산량(生産量), 월동후(越冬後) 초기생육특성(初期生育特性), 다음해 1차수량(次收量)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섬유(粗纖維) 생산량(生産量)을 조사(調査)하고 그들간(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생육(初期生育)이 개
        4,000원
        32.
        198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혼파초지(混播草地)에 있어서 Italian ryegrass(Lolium multiflorum)의 파종비율(播種比率)과 예취빈도(刈取瀕度)가 첫번째 수확년도(收穫年度)의 목초(牧草) 총(總)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식생(植生) 구성비율(構成比率)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수행(遂行)되었다. Italian ryegrass의 파종량(播種量)을 10a 당(當) 0.3kg 및 1.0kg으로 하여 주구(主區)로 하
        4,200원
        34.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Asian dust occurrences and the factors related to dust rises in the source region using the MODIS Land Cover data, WMO SYNOP data, and climate index data. All dust rise cases at sites which experienced more than 20 time dust rise events during the 21 years from 1997 to 2017 are analyzed. The most frequent dust rise occurred over the barren region followed by grasslands and croplands. It i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Asian dust event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s on which wind speed exceeds the threshold value. It is also found that the number of days over the threshold wind speed in the barren reg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intertime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and that the number of days over the threshold wind speed in grassland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El Niño/Southern Oscillation (ENSO) in spring.
        35.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climate regime shift using statistical change-point analysis on the time-series tropical cyclone (TC) frequency that affected Japan in July to September.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1995 and since then, it showed a trend of rapidly decreasing frequency. To determine the reason for this, differences between 1995 to 2012 (9512) period and 1978 to 1994 (7894) period were analayzed. First, regarding TC genesis, TCs during the 9512 period showed a characteristic of genesis from the southeast quadrant of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western North Pacific and TCs during the 7894 period showed their genesis from the northwest quadrant. Regarding a TC track, TCs in the 7894 period had a strong trend of moving from the far east sea of the Philippines via the East China Sea to the mid-latitude region in East Asia while TCs in the 9512 period showed a trend of moving from the Philippines toward the southern part of China westward. Thus, TC intensity in the 7894 period, which can absorb sufficient energy from the sea as they moved a long distance over the sea, was stronger than that of 9512. Large-scale environm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ause of such difference in TC activity occurred between two periods. During the 9512 period, anomalous cold and dry anticyclones were developed strongly in the East Asia continent. As a result, Korea and Japan were affected by the anomalous northerlies thereby preventing TCs in this period from moving toward the mid-latitude region in East Asia. Instead, anomalous easterlies (anomalous trade wind) were developed in the tropical western Pacific so that a high passage frequency from the Philippine to the south China region along the anomalous steering flows was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omalous cold and dry anticyclone developed in the East Asia continent were also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sensible heat net flux showing that most regions in East Asia had negative values.
        3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관측홍수량 자료의 불확실성이 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강유역 내의 17개 수위관측지점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인 지수홍수와 분위수를 중심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관측자료의 특성에 따라 3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수위자료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평창강 유역의 수위관측지점을 대상으로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를 분석하면, 평균홍수량에 대한 오차는 0.240으로 평가되었다. 두 번째로 레이팅 적용에 따른 관측자료의 불확실성이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당연도에 개발된 레이팅을 각각 적용한 결과와 가장 최근 개발된 레이팅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해보면, 평균홍수량에 대한 오차는 평균 0.246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위적으로 유량이 조절된 댐하류의 통제된 흐름영역에서의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를 유추하였다. 댐하류에서의 홍수량 거동은 댐운영에 의해 조절된 것으로 댐상류의 자연유역에서의 비유량 지역화 결과를 연장할 경우, 댐하류의 조절유역에서의 비유량 거동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37.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평가체형과 체력수준 및 운동빈도가 중학생의 사회적 체형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남녀 중학생 총 410명(남: 194명, 여: 216명)이 배경정보를 묻는 설문지와 자기평가체형검사지 및 사회적체 형불안검 사지에 자기평가기입 법으로 응답하였다. 자료처리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과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중학생들의 사회적 체형불안은 성별(p<01), 비만도(p<001), 체형왜 곡정도(p<01), 자기평가체형(p<001), 체력수준(p<01), 및 운동빈도(p<0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찰할 때 학생들의 올바른 신체상 정립과 사회적 체형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히 요구된다.
        39.
        200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은 미계측유역에서의 빈도분석을 위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을 평창강유역 내 총 6개 소유역에 적용하여 보았다. 보통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은 크게 강우 모형, 강우손실 모형, 그리고 유출 모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ectangular Pulse 모형-SCS 유효유량 산정방법-지형 기후학적 순간단위도(GcIUH)방법으로 이루어진 동역학적 홍수빈도분석 모형을 이용하였다. 입
        40.
        199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지에서 white clover의 존속과 우점 모두가 문제시 되고 있다. 본시험은 white clover의 방목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예취적기의 장?단(1주, 4주)과 이들의 교호가 white clover의 예취수량 및 형태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pot 시험으로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취적기 4적에 비하여 1적에서는 예취수량 및 주당엽면적과 엽수, 엽병장, 주당포복경장이 감소되나 g당포복경장과 Specific Leaf Area는 증가되었다. 2. 예취적기 1적와 4적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1적 또는 4적로 계속예취한 것의 중간정도이었으나 초기에 4적로 예취한 것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3.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잎과 관련한 형질은 예취적기의 장단에 따라 변하였으나 포복경과 관련된 형질은 교호전 예취적기의 영향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었다. 4. 예취적기를 교호할 경우 예취수량은 주당 엽면적, 엽수 및 포복경장과 정의 상관을. SLA와 g당포복경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