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2.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gel filtration, 전기영동 및 분자량측정, 아미노산과 지방산함량을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같다. 연두금파리 암컷성충의 난소단백질은 단백질원을 섭식시킨 후 72시간 이후 빠르게 증가하였고, 완전한 성숙이 일어나는 96시간에 최고의 함량을 나타냈다. DEAE-cellulose와 Sephacryl 5-200으로 gel filtration하고 7.5% native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결과 난소에서 분리된 특이단백질은 0.4에서 혈림프 및 난소와 다른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자량은 110,000 dalton이였다. 분리된 난특이성단백질내 아미노산 조성은 asparagine 외 모두 13종이 검출되었으며, asparagine, glutamic acid와 함께 tyrosine이 특이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은 난소와 함께 난특이성단백질에서 palmitic acid의 4종이 분리되었다. 따라서, 연두금파리의 난에는 지방체에서 합성, 분비된 난황단백질이외에 난소에만 존재하는 특이단백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24.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일원의 양잠 농가의 먼지에서 채취한 45개의 샘플중에서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를 생산하는 13개의 Bacillus thuringiensis를 분리하였다. 이 중 2개 균주는 파리목에 독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독성검정에서 NT0423균주의 수치는 나비목의 배추좀나방이 최소 1.30 CFU/ml이며, 파리목인 빨간 집모기에는 2.88 CFU/ml로 나타났다. 새로 분리된 NT0423균주가 생산하는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는 주사 전자현미경사진에서 전형적인 이중 피라미드모양을 보였다. 그리고 이 내독소 단백질 결정체의 SDS-PAGE 분석에서는 주요한 130kDa의 polypeptide을 나타내었다. 또한 NT0423균주의 총 플라스미드 DNA분석에서는 9개의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어 기존의 유사한 독성을 나타내는 균주들과 다른 패턴을 보였다.
        4,000원
        25.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멧누에(Bomdyx mandarina)chorion 유전자의 형질 발현기구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실험을 실시했다. 멧누에의 난각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마경에 의해 관찰한 결과 매우 특이적인 구조가 인정되었다. 즉 원추상의 불규칙 돌기에 의한 돌기구조층과 이 돌기 구조층을 덮고 있는 한 층의 얇은 덮개 구조층이 그것이다. 2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해 chorion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난각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 성분은 등전점 4~6, 분자량 6~30 kd로 밝혀졌다. 특히 특이난각구조와 관련된 특이단백질 성분을 검출하였으며 이들의 대부분은 고cysteine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멧누에 난각의 특이 구조 형성에 따른 유전자발현기구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가 얻어졌다.
        4,000원
        26.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version 유한요소법을 사용한 바닥 슬래브의 탄성해석은 어떤 종류의 요형모서리, 개구 그리고 손상단면을 갖는 점에서 응력특이성을 수반하게 된다. Reissner-Mindlin의 평판이론에 근거한 C.deg.- 평판 계층요소를 사용한 결과가 이론치 및 참고문헌에 발표된 수치해석값과 비교되었다. h-, p-와 hp-version의 수렴속도는 전체적 차원에서의 자유도 증가에 따른 에너지 노름값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만약에 자유도의 항으로 나타내지는 정확도를 여러 해석방법을 비교하는 기준으로 삼으면 본 연구에서 새로 제안되는 p-version 유한요소해석법의 근사해는 종래의 h-version에 근거하여 현재 까지 발표된 어떤 것 보다 훨씬 효율적 접근방법이라 하겠다. 해석예로는 150.deg. 둔각을 갖는 마름모꼴평판과 손상단면을 갖는 정방형평판이 사용되었다.
        4,200원
        27.
        201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th Korea is the northernmost distributional territory on the Camellietea japonica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the warm-temperate zone) in East Asia. A total of 40 stands were collected in terms of an ecologically-naturalized wild tea population (WTP), and their species composition was analyzed by Zü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with preliminary regard to forest canopy idendtification. Stan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ecological flora’s criteria such as Raunkiaer’s life-form, neophyte, zonal distribution, and nativeness of species. Expansion of WTP distribution into the interior of the peninsula was recognized, than expected. The highest and northernmost WTPs have been recorded at Mt. Palgong, Daegu (390 m a.s.l.) and Iksan Jeonbuk (latitude 36° 03′ 33″), respectively. Altitudinal and latitudinal WTP distribution of Korea under continental climate shows lower than Japanese situation under oceanic climate. Community structure generally involved a few human interferences. Syngeographically WTP distribution was limited on the warm-temperate zone and the southernmost cool-temperate southern·submontane zone. First driving force on distributional expansion of the WTP was anthropogenic, particularly in the northernmost distribution area. We finally confirmed an actual existence of the WTP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a long-term monitoring on the WTPs in national view of in-situ genetic resources with higher frost-resistance.
        2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바이올린 솔로를 위한 소나타와 파르티타》 BWV 1001-1006의 소나타들에 위치하는 푸 가들이 작품집에서 점하는 의미에 대해, 바이올린에 의해 실현되는 바흐 푸가의 새로운 면면 들에 대해 탐구하는 본 논문은 다음의 결론에 이른다. 바흐는 바이올린 솔로로 푸가의 새로 운 패러다임을 구축했다. 거기에서는 대위법적 전개뿐 아니라 바이올린 특유의 기교적, 수식 음형적 패시지들까지 아우러지며, 이로써 그 엄격한 양식과 자유로운 양식의 결합이 작품집 을 가로지르는 의미를 띤다. 또한 바흐의 바이올린 푸가들은 다양성과 유동성의 형식 및 구 성으로 특징지어지는데, 그것은 푸가의 기본 질서에도 침투되어 있다. 다양성과 유동성에 정 교하게 조성되는 통일성과 완결성이 더해진다. 이 특성들은 개별 푸가에서, 세 푸가 사이에 서 함께 나타나고, 이러한 관점에서 푸가들은 BWV 1001-1006의 ‘커다란 코스모스’를 함축하 는, 대위법적 연주의 차원을 개척한 ‘작은 코스모스’로 이해될 수 있다.
        30.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파의 항암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비파를 잎 줄기 과실 종자로 나누어 정상세포와 여러 가지 암세포주를 비교하여 특이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지 여부를 MTT방법에 의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파의 4가지 부위를 MeOH 와 물로 추출하여 정상세포와 암세포 (SNU-1, SNU-C4)에 처리하였다. 이 가운데서 과육의 물추출 분획이 정상세포는 영향이 없이 암세포를 고사시켰다. 2. 과육의 물추출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분리정제하여 9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이 분획들을 사람 정상세포와 7가지 암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9개의 분획중 8번째 분획이 정상세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유방암, 간암, 위암에 특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3. 제 8분획의 생체에서 암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mouse에 복수암을 유발시켜 (10마리) 구강투여하거나 복강에 주사하였다. 암이 유발된 대조구는 10일 부터 13일 사이에 모두 죽었다. 그러나 투여군은 2개월사이에 1마리씩 죽었고 나머지는 모두 생존하였다. 상기는 결과는 비파과육에 는 암세포에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었다.
        31.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안개처리에 따르는 콩의 생육ㆍ잡초와의 경합 양상 및 제초제반응을 검토하여 안개상습지에서 작물피해 최소화 및 잡초방제체계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온실내 포트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안개조건에서 콩의 초장 및 엽영은 전 생장기간에 걸쳐서 비안개조건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파종 후 100일째 최종 콩의 수량은 초장이 14% 증가한데 반해 수당협수, 협당 입수 및 100입중이 각각 오히려 16, 24 및 23% 감소하였다. 주요발생초종은 바랭이, 피, 미국개기장, 흰명아주 및 한련초 등이었으며, 비안개조건보다 안개조건에서 그 발생량이 훨씬 컸다. 안개조건에서 경합기간별 콩의 초장변화는 경합기간이 길수록 감소 정도가 컸으나 비안개처리와의 차이는 경미하였다. 안개조건에서 경합기간별 콩의 초장은 40일 경합기간까지에서는 비안개조건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60일 이상의 경합기간에서부터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안개조건에서 수당협수는 경합기간처리와 무관하게 감소하였다. 제초제별 초장을 근거로 한 약해는 다소 인정되나 안개로 인해서 Qu-izalpfop를 제외한 제초제들에서는 무처리와 유사하게 증가한 초장을 각각 보였다. 수당협수 및 100립종은 무처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안개조건하에서는 비안개조건에 비해 유사하거나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 후 40일제에 생체중을 근거로 한 잡초방제가로 볼 때 토양처리된 Ethalfluralin 및 Trifluralin과 경엽처리된 Sethoxydim 및 Quizalofop는 안개유무에 관계없이 모두 97%이상의 방제가를 나타었다.
        32.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공안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장, 잡초경합양상 및 제초제반을을 검토코자 온실내에서 일련의 pot시험이 수행되었다. 안개조건에서 보리의 초장, 엽령, 엽폭 및 지상부 생체중은 증가하였으나 출수가 지연되고 출수율과 수량 구성요소인 수당영화수, 천립중 및 발아율은 감소하였다. 안개조건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발생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주요한 발생초종은 둑새풀, 새포아풀, 벼룩나물, 점나도나물, 황새냉이 및 갈퀴덩쿨등이었다. 안개조건에서는잡초와의 경합기간이 길수록 초장의 감소가 인정되었으며 1,000립중은 초기경합에서만 감소하였으며 그밖의 보리의 생장은 경합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개조건에서 제초제처리에 따른 보리의 생체중은 공시 제초제 공히 증가되었으나 1,000립중은 오히려 감소되었으며, 그 중 Butachlor 및 Thiobencarb의 약해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처리 후 25일째 생체중에 의한 잡초방제가는 75∼90%로써 안개조건이 비안개조건보다 3∼15% 낮게 나타났으나 60일째는 96%이상으로 대등한 방제가를 보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