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0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wo dimensional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2D-QSARs) models concerning the binding affinity constants (p[Od.]50) between 2-cyclohexyltetrahydropyrane and 2-cyclohexyltetrahydrofurane analogues as substrates, and bovine odorant binding protein (bOBP) as receptor were deriv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method and discussed. The statistical quality of the optimized 2D-QSAR model (5) was good (r=0.907). From the model, the binding affinity constants (p[Od.]50) were dependent upon the optimal value ((TL)opt.=2.737) of total lipole (TL) of substrate molecul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high active compounds predicted by optimized 2D-QSAR model (5) were 2-(dimethylcyclohexyl)tetrahydropyrane molecule and their isomer molecules. The binding affinity constants regarding bOBP of the tetrahydrofuryl-2-yl family compounds were dependent upon the hydrophobicity (logP) of whole substrate molecules. In any case of porcine odorant-binding proteins (pOBP), the constants were dependent upon the hydrophobicity (πx=logPx-logPH) of substituents (R) in substrate molecules. Also, from the optimal values of hydrophobic constant, the hydrophobicity for bOBP influenced ca. twice time bigger (bOBP>pOBP) than that for pOBP.
        4,000원
        2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Illicium verum fruit-derived materials against adults of Dermanyssus gallinae were examined using the direct contact application method. Based on laboratory tests, an acaricidal constituent of I. verum fruit was determined because of its potent activit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urrently used acaricides such as dichlorvos, diazinon, and carbaryl. The acaricidal principle of I. verum fruit was identified as (E)-anethole using a GC-MS. Its acaricidal activity was compared with those of 12 compounds having a similar chemical moiety. Based on the LD50 values, the acaricidal activities of (+)-or-(–)-neomenthol were the strongest (0.01 ㎎/㎠]) and (E)-anethole, (+)-or-(–)-menthol, (±)-isoborneol, (–)-menthone, and (1S)-endo-(–)-borneol showed similar results (0.02 ㎎/㎠), and (1R)-(+)-camphor and (+)-menthone also gave good activities (0.03 and 0.04 ㎎/㎠,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showed more toxic acaricidal activities than diazinon and carbaryl, 0.05 and > 0.2 ㎎/㎠, respectively, but were not comparable to that of dichlorvos with 0.0002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 verum fruit-derived materials and tested compounds descried as poultry red mites-control agents could be useful for managing field populations of D. gallinae.
        4,000원
        23.
        2007.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축의 번식과 수요를 조절할 수 있는 생물학적 자극 통제 수단으로 새로운 돼지 페르몬성 냄새 물질를 탐색하고자, 기질 분자로서 2-cyclohexyloxytetrahydrofurane (A), 2-phenoxytetrahydrofurane (B) 유도체들의 설명인자인 물리화학 파라미터와 돼지 페로몬의 수용체 (pOBP)에 대한 결합 친화력 상수(p[Od.]50) 간의 2D-QSAR 모델을 유도하고 검토하였다. 2D-QSAR 모델은 결합 친화력 상수를 약 96.4% 설명하는 매우 양호한 모델(r2=0.964)로서 분자내 치환기의 소수성(SL) 상수에 관한 적정값이 (SL)opt.=1.418일 때 가장 높은 결합 친화력을 나타냄을 알았다. 그러므로 분자내 치환기의 소수성 인자가 결합 친화력 상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었다.
        4,000원
        25.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rmorphin is a hepta peptide(H-Tyr-DAla-Phe-Gly-Tyr-Pro-Ser-NH2)with exceptionally potent and long-lasting peripheral and central activity. Dermorphin analogues, dermorphionyl(DMP)-Lys-NH2 and DMP-Lys-Lys-NH2 have been prepar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opiod activity. Dermorphin analogues were synthesized by the solid phase method. The crude peptide was purified by gel filter on a Sephadex LH-20, characterized with HPLC and amino acid analyzer. Analgesic potency was estimated by writhing syndrome method and Randall-Selitto method. As a result, dermorphin analogues have lower potency than that of morphine.
        4,000원
        26.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천연형(天然形) ABA가 갖는 생물(生物) 활성(活性)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하여 합성(合成)된 ABA 유도체(誘導體)들의 생물활성(生物活性)과 아울러 초기생장(初期生長)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가 있는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 암실(暗室)에서 7일간(日間) 생장(生長)시킨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 신장(伸張)은 3.2ppm의 ()-ABA, 1.2ppm의 (S)-(+)-ABA, 0.6ppm의 ABA-methyl cinnamate ester 화합물(化合物)(AC) 및 0.08ppm의 ABA-umbelliferone ester 화합물(化合物)(AU)에서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80% 이상의 저해(沮害)를 보여 (S)-(+)-ABA가 racemic ABA보다 약(約) 3배(倍), AC와 AU는 (S)-(+)-ABA보다 각각(各各) 약(約) 2.5배(倍), 16배(倍) 더 강(强)한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발아(發芽) 후(後) 생장(生長)이 진행(進行)됨에 따른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의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는 대조구(對照區)에서는 큰 변화(變化)는 없었으나, ABA와 그 유도체(誘導體)를 처리(處理)한 보리 유묘(幼苗)의 지상부(地上部)에서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생장(生長) 저해(沮害) 활성(活性)이 강(强)하게 나타난 고농도(高濃度) [3.2ppm의 ()-ABA, 1.2ppm의 (S)-(+)-ABA, 0.6ppm의 AC 및 0.08ppm의 AU]의 처리(處理)가 저농도(低濃度) [3.0ppm의 ()-ABA, 1.0ppm의 (S)-(+)-ABA, 0.4ppm의 AC 및 0.06ppm의 AU]의 처리(處理)보다 더 높은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었으며, ABA 유도체들은 ABA보다 저농도(低濃度)에서 더 높은 peroxidase 활성도(活性度)를 나타내었다.
        4,000원
        27.
        198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ddition of dipeptides and 1,2-bis (aminoacyl) hydrazine derivatives a level of 250 ppm to corn oil resulted in the retardation of the oxidaitive deterioration of the oil when it was stored in the oven at 70℃ during 5 days.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UV absorbance of the corn oil at the wavelength of 234nm. 1,2-bis (aminoacyl) hydrazine derivatives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normal dipeptides. Dipeptides containing phenyl ring with which is conjugable a-carbon radical showe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2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질 분자로서 2-[(2,6-dioxocyclohexyl)methyl]cyclohexane-1,3-dione 유도체(1-23)들의 분자 내 치환기(R1 및 R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수용체의 저해활성에 관한 2D-QSAR 모델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도된 최적의 2D-QSAR 모델은 Obs.pI50=-0.295(±0.031)TDM -0.120(±0.014)DMZ+0.135(±0.050)DMX. R2+6.382(±0.17)이었으며, 예측성(q2=0.843)보다는 상관성(r2=0.905)이 큰 모델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TDM > DMX.R2≥DMZ 순으로 영향을 미치었으며, 기질분자의 소수성(ClogP > 0)이 크고, R1-치환기의 입체적 크기가 클수록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델을 분석한 결과, 분자 내 R2-치환기 상 X-축 성분의 쌍극자능률(DMX.R2)이 클수록, 그리고 분자 전체의 쌍극자능률(TDM; Total Dipole Moment)과 Z-성분의 쌍극자능률(DMZ; Dipole Moment of Z-Component)이 작을수록 기질분자의 tyrosinase 저해활성이 높아짐을 암시하였다.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은 기질분자 및 R2-치환기의 전자 친화력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므로 저해활성을 증가시키려면 분자 내 극성 그룹을 소수성에 기여하는 비극성 작용기로 대체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질 화합물로써 일련의 4-hydroxybenzyl alchol (4-HBA) 유도체들의 치환기(R1 및R2) 변화에 따른 tyrosinase 활성저해에 관한 3차원적인 구조-활성 상관관계(3D-QSARs) 모델을 유도하고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입체장(S), 정전기장(E), 소수성장(Hy), 수소결합 받게장(HA) 및 수소결합주게장(HD)의 조합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양호한 CoMSIA FF 모델(상관성; r2 = 0.858 및 예측성; q2 =0.951)을 유도하였다. 등고도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질분자의 R2-치환기는 입체적으로 작고 음전하를 띄며, 소수성이면서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지 않는 치환기가 올수록 tyrosinase 활성저해 작용이 용이하다. 그리고R1-치환기는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는 치환기 이어서 R1-치환체가 용이하게 탈 양성자화가 일어나야 tyrosinase활성저해 작용을 용이하게 할 것이라고 예상되며, 이를 위해서는 R1-치환기가 비 치환체(H)이어야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30.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질 화합물로써 일련의 phenyl-2,2'-methylenebis(cyclohexane-1,3-dione) 유도체(1-22)들의 치환기(R1 및 R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활성저해에 대한 분자 홀로그래피적인 정량적 구조-활성관계(HQSAR) 모델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에 미치는 구조상 요소들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높은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이는 새로운 tyrosinase 저해활성 분자를 설계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양호한 E-2 모델(상관성; r2= 0.929 및 예측성; q2=0.564)을 유도하였으며 설계된 화합물, P1 (Pred.pI50 = 5.48)는 기준물질로 사용된 kojic acid에 비하여 약 13.4배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31.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질 화합물로써 일련의 4-(R1)-benzyl alcohol 및 4-(R2)-phenol 유도체들의 치환기(R1 및 R2)가 변화함에 따른 tyrosinase 활성저해에 관한 3차원적인 구조-활성 상관 (3D-QSARs) 모델을 유도하고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입체장, 정전기장, 소수성장 및 수소결합 주게장의 조합조건에서 통계적으로 양호한 CoMSIA 2 모델(상관성; r2 = 0.858 및 예측성; q2 = 0.951)을 유도하였다. 등고도 분석결과, 기질분자의 R2-치환기는 입체적으로 작고 음전하를 띄며, 소수성이면서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지 않는 치환기가, 그리고 R1-치환기는 양전하를 띄며 수소결합 주게장을 선호하는 치환기가 tyrosinase의 저해활성이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수소결합 받게장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2.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질 화합물로써 3β-hydroxy-12-oleanen-28-oic acid 유도체들의 치환기(R₁ ∼ R₄)가 변화함에 따른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의 저해활성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CoMFA) 모델을 유도하고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최적의 CoMFA F1 모델은 가장 높은 예측성과 상관성(r²cv.=0.654 및 r²ncv.=0.995)을 나타내었다. 저해활성에 관한 CoMFA장 기여비율(%)의 순서는 입체장(53.0 %), 정전기장(36.2 %) 및 소수성장(10.8 %) 이었다. 등고도 분석 결과로부터 저해활성은 기질 분자 내 R4-치환기에 의존적이었으며 특히 melanin 저해활성이 높은 새로운 화합물(P1 및 P2)이 예측되었다.
        33.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수염에 함유되어 있는 maysin 및 유사 flavonoid 물질의 분리 및 정제법을 확립하여 신품종 육성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reparative C18 컬럼에서 10% MeOH에 용출된 물질은 neochlorogenic acid, chlorogenic acid 및 4-caffeoylquinic acid였으며 30% MeOH로 용출된 물질은 rhamnosyl isoorientin이었고 maysin은 50%의 MeOH에서 용출되었다. 2. Silicic acid 컬럼으로 maysin 조추출물의 1차 정제시 100% ethyl acetate 500m 로 컬럼에 흡착되어 있는 maysin을 용출시켰으며, 이때 수거된 maysin의 순도는 75% 이상에 해당하였고, C18 컬럼(12 43")으로 maysin의 2차 정제시 maysin의 순도는 95% 이상에 달하였다. 3. FAB-MS에 의한 maysin의 분자량은 577M+H m/z이고, fragmentation으로 보아 431M+H m/z은 rhamnose에 해당하였고, 1 H 및 13C NMR에 의한 spectrum을 확인한 결과 분리한 물질이 maysin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있었다.
        34.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BA and SA showed different effect on stomatal closing on same condition. The addition of 1 mM salicylic acid to fully opened stomata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n of 22 % in stomatal aperture. However, 1 mM ABA reduced 73 % of stomatal aperture. The light absorption spectra of the salicylic acid solution showed that SA was degraded within 1 hour. Therefore, SA solution was resupplied to the detached epidermis every 30 min. during incubation and it was found that even at 10 μM SA induced stomatal closing significantly. Its effect was also greatly pH dependent. The reduction of stomatal aperture caused by 1 mM SA was most effective at lower pH (pH 7.2, 5 %; pH 6.2, 40 %; pH 5.2, 78 %). Therefore, if SA was properly treated to the epidermal strips in the medium, the effects of SA on stomatal closing were similar with those of ABA.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