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3.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국 게임시장에서 인기 있는 온라인게임의 전통예술 표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통 중국문화의 미적 특징에 대한 플레이어의 심리 선호도를 반영하는 MMORPG 캐릭터를 디자인함으로써 플레이어가 게임을 즐기는 동시에 시각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전통문화를 배경으로 제작한 중국 온라인게임은 많은 플레이어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지만, 외국게임업계의 중국 게임시장 진입에 따라 더욱 다원화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재의 중국 온라인 게임 환경을 고려하여 중국 MMORPG 중에서 고유한 전통예술 표현을 활용하는 전통 신화 무협 게임을 선택하고, 개인 플레이어를 반영하는 이상적인 캐릭터 조작이나 사회성 등을 분석하여 전통인물의 형태, 복식, 색, 주거환경을 반영한 표현기법, 캐릭터의 이상적인 형태나 전통 신화의 제한된 주제의 재구성, 캐릭터의 독창성이나 개성이 강조된 집합체 캐릭터 특징을 파악하였다. 중국 MMORPG 역사가 길지 않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의 전통 문화 예술과 관련된 신화 무협 MMORPG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플레이어로 하여금 더욱 효과적인 온라인게임의 이해와 만족감을 증가시킬 수 있으리라 본다.
        2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화훼사업이 발달하면서 플라워샵이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 이미 서울의 부유한 강남지역에서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플라워샵의 화예디자인은 갈수록 획일화되어가고, 더욱이 경제난으로 인해 소비자의 발길도 줄어들어 어려움을 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효과적으로 화예디자인을 부흥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명품브랜드와의 전략적 제휴를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예디자인이 명품브랜드의 감성마케팅 측면에서 활용된 사례를 토대로, 설문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어울리는 화예디자인의 요소와 작품을 선정하여, 그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에르메스 브랜드 화예디자인에 가장 어울리는 것으로 선정된 요소들과 작품은 앞에서 분석한 에르메스 브랜드 아이덴티티 내용과 일치하였다. 이로서 화예디자인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명품브랜드와 콜라보레이션 하기에 충분한 요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명품브랜드와 화예디자인의 콜라보레이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하나의 브랜드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추후 다른 명품브랜드의 화예디자인과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25.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 분야에 다양하고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동적 이미지의 시각효과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동적 이미지에 대한 적극적인 조형적 해석을 통해 현대조형의 흐름에 큰 영향을 끼친 퓨처리즘의 조형이념과 그 영향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논고에 있어서는, 퓨처리즘의 조형이념이 당시 이탈리아의 시대적 배경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 영향이 당시대의 작가들은 물론, 다양하게 전개되어 가는 전위예술운동에 까지 미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하여, 이에 관련된 저서나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다각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퓨처리즘의 등장에 직접적 계기가 되는 시대적 배경과 조형이념, 그리고 이후 전위예술운동에 미친 영향 등이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퓨처리즘의 등장 배경에는 당시 유럽의 공업화 흐름과 상대적으로 그 흐름에 소외되었던 이탈리아 공업화의 후진성이 맞물려 있었다. 특히 움베르토 보쵸니 등 5명의 퓨처리스트가 기치를 올린 밀라노는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공업도시였지만, 과거의 전통과 격렬한 사회적 충돌의 개연성이 심각하게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퓨처리즘은, 과거의 뿌리 깊은 전통과 유물이 남아 있던 이탈리아 공업화의 후진적 잔재를 일소하기 위해, 기계문명의 역동성을 조형이념으로 승화시켜 급진적 쇄신을 시도한 것이다. 퓨처리즘의 조형이념은 이후 점차 독일이나 러시아, 동유럽 등으로 확산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작가와 전위예술운동에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특히, 초기에는 큐비즘과 퓨리즘 등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후 페르낭 레제, 로베르 들로네, 프란티젝 쿠프카, 마르셀 뒤샹 등에게 영향을 끼친 흔적이 보인다. 또한 러시아 구성주의와 다다이즘, 쉬르리얼리즘은 물론 앵포르멜, 공간주의, 그리고 환경예술 등에 이르기까지 퓨처리즘의 조형이념과 표현형식의 흔적이 엿보여 퓨처리즘의 영향이 광범위하고 연속적이었음이 시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후 연구과제로서 다양한 전위예술운동의 흐름과 함께 변천을 거듭해 가는 퓨처리즘의 동적 이미지 표현형식에 대한 검토를 실시해 가도록 하겠다.
        26.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인해 다변화 되고 있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디자인 교육체계에 대한 연구 제2보로써, 조형에 대한 깊은 통찰을 토대로 과학적 객관성과 테크놀로지의 합리성을 융합한 새로운 디자인 교육체계를 추구했던 게오르기 케페슈(Gyorgy Kepes)의 조형이론과 표현체계의 검토를 실시했다. 논고에 있어서는. 케페슈의 조형이론과 표현체계가 그래픽디자인 분야는 물론, 회화나 포토그래피 등과 같은 다양한 조형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표현영역 또한 광범위하다는 것을 주목하여, 이에 관련된 저서와 관련문헌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케페슈의 조형이론과 표현체계는 주로, 조형의 시각적 요소와 이들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심적 요소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조형요소의 조직적 종합화론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형의 시각적 요소와 심적 요소의 상호관계에 대한 내용에서는,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의 강력하고 효과적인 수단으로써, 시각을 중심으로 한 심적 메커니즘의 체계적인 분석과 활용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케페슈의 생각은 조형요소의 조직적 종합화론에서 가시화되는데, 그는 다양한 조형요소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무기적인 것이 아닌, 그것들 사이에 존재한 유기적 상호관련성에 의해 해석되고 의미가 부여되어 인식된다는 것을 부각시켰다, 따라서 시각 메시지의 정확하고 효과적인 전달에는, 조형요소에 내재하는 다양한 특성의 분석과 그것들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전제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케페슈의 분석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토대로 한 조형이론과 표현체계는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갈수록 다양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는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디자인 교육체계의 구축에 일정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 이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7.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ver the fifty-year history of computer graphics, there have been continuous changes and advances that have significantly affected our daily lives and educatio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education has been especially influenced by computer technologies
        28.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화훼장식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문헌에 나타난 예술의 정의, 특성, 목적, 요건, 범주, 종류를 통해 화훼장식이 예술의 한 분야에 속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의미와 정서 전달, 인식의 다양성, 표현의 다양성, 제작과 관리의 기술, 그리고 미와 선의 추구가 주요 내용에 속하였다. 이와 같은 예술의 보편적 요건들 속에서 화훼장식의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점들은 화훼장식의 정의 속에도 이미 내포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화훼장식이 예술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는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2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day’ culture movement puts great importance on well-being which consists in nature-fulfillment and focuses on healthy, psychological secure living. In addition, floral art design, as an element to stimulate a human emotion, is widely applied as a decoration in the center of an eating and drinking table with regard to consumers’ emotional expectations, today’s trends. Color which helps people recognize visually was consider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best design preferable to the public, and orange color was the best among the colors because it stimulate appetite. As the preferable image with regard to colors is considered as a romantic image, it represented that people prefer emotional atmosphere and image based on emotional consumption elements. Cut flower is the most popular among cut paper, cut leaves, cut flower, plants in flower-ports for plant materials in decorating eating and drinking tables, and among them, ros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lisianthus, carnation, hydrangea , and gerbera. Hydrangea and peony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imported plants, and imported plants corresponded to low frequency preference. Differences followed by various colors, high quality, luxurious and exotic images are the important factors why people prefer imported plants, an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plant materials in Korea and plant materials imported were colors, followed by rareness, price differences, uniqueness, quality, fitness for creating atmosphere, purchasing difficulties, unique shape, flower shadow, various breeds. European style, Western style, Oriental style are classified in floral art design, and finally, blank beauty, the wonderful, rich designs which consider natural basic principle rather than gloomy space, and the style which expresses the feel of materials and colors differently are preferable in the style and hard, experimental, abstract styles different from curved and stable styles are not preferable. Grouping technique, which makes it easy to create formation and represents a powerful movement of colors, forms, and a feeling of materials visually, was preferable.
        31.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Interior landscape design was proposed for the high school culture center in mansu- dong, Incheon. Today users of culture center ask plans for improving the indoor spatial quality of their school environments. Indoor to meet the user's needs, various effeorts and works should be implemented as soon as feasibl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to high school student by the creation educational space Recently one of the mainstream design approaches in space emphsizes to be synchronized with the nature and its basic attitude is the revival of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The interior landscape design covers the following: a survey of the present status, a site analysis, a schematic design, and design development. To create the interior landscape space , the sit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that, we proposed educational space by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hich transform plan into the system of nature image. The high school space is designed to have educational spaces like water space, voice space, color space and the sense of smell space which are designed to be flexible in accommodating different time and events. We found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organize environmental art program in the interior land sacape space. Through the high school space created by this plan, the high school student will have more opportunity of contact with the nature. It aims to prove the fact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s the design which connect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space with natural environment.Key word; interior landscape design, highschool, environmental art educatio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