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5

        2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역량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 선 행연구는 최고경영자의 특성이 기업전략과 성과 부분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디지털 환경을 고려한 변수는 아직 연구가 이루어지 지 않고 있다. 최고경영자는 디지털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신사업과 의사결정 부분에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역량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함과 동시에 최고 경영자의 디지털 기술 부분에서 자질과 효과에 대해서 실증분석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최고경 영자의 디지털 지식, 활용이 조직 민첩성과 연구개발 투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최고경영자의 디지털 학습이 조직 민첩성, 연구개발 투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기업의 조직 민첩성, 연구개발 투자는 혁신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고경영자가 디지털 역량이 높으면 불확실한 환경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고, 혁신 활동을 통해 새로운 제품이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분석 결과 기존 선행연구에서 미비했던 사회적 현상을 디지털 역량이라는 새로운 렌즈로 살펴봄으로써 기존 선행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부분을 밝혀내는 것과 동시에 현재 발생하고 있는 디지털 환경에서 최고경영자가 디지털 역량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6,900원
        22.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초보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초보간호사 155명을 대상으로 2020년 9월 1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월경곤란증은 2.77점, 임상수행능력은 3.44점 이었고 월경곤란증과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26, p=.002). 임상수행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은 자율신경계 반응이고(β=-.261, p= .001) 설명력은 22.1%였다. 따라서 초보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월경곤란증의 자율신경계 반응 완화를 위한 중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4,000원
        23.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enhance the nurses’ safety competence in administering medications by using simulation training focused on high-alert medication. Method: A total of 30 nurses from 14 teams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training using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or. Medication administration performance and built-in error recovery was observed using a medication administration safety assessment checklist. Medication safety knowledge and confide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imulation training.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paired t-test. Results: There were numerous variations in safe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safety behavior by oral prescription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at by routine medication prescription. Following simulation training, knowledge of medication safety increased significantly, but confidence did not. Conclusion: Nurse educators may consider simulation to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e.
        4,800원
        25.
        202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를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작업 치료사 138명과 작업치료과 재학생 95명이다. 대상자들에게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작업기초능력에 대한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작업치료사와 재학생 두 집단 모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다고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능력을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자신 또한 소유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작업치료과 재학생 집단에서 기술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나타났지만 가장 소유하고 있지 않다고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작업치료사로써 실제 직무수행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4,000원
        2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gulatory mechanism of alpha-linolenic acid (ALA) during in vitro maturation (IVM) on nuclear and cytoplasmic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Basically, immatur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incubated for 22 h in IVM-I to which hormone was added, and then further incubated for 22 h in IVM-II without hormone. As a result, relative cumulus expansion was increased at 22 h after IVM and it was enhanced by treatment of ALA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 < 0.05). During IVM process within 22 h, cAMP level in oocytes was decreased at 6 h (p < 0.05) and it was recovered at 12 h in ALA-treated group, while oocytes in control group recovered cAMP level at 22 h. In cumulus cells, it was reduced in all time point (p < 0.05) and ALA did not affect. Treatment of ALA enhanced metaphase-I (MI) and MII population of oocytes compared with oocytes in control group at 22 and 44 h, respectively (p < 0.05). Intracellular GSH levels in ALA group was increased at 22 and 44 h after IVM (p < 0.05), whereas it was increased in control group at 44 h after IVM (p < 0.05). In particular, the GSH in ALA-treated oocytes during 22 h of IVM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at 22 h (p < 0.05). Lipid amount in oocytes from ALA 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p < 0.05). Treatment of ALA did not influence to absorption of glucose from medium. Cleavage and blastocyst formation of ALA-treated oocytes were enhanc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 < 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ALA could improve oocyte maturation and development competence through increasing GSH synthesis, lipid storage, and regulation of cAMP accumulation during early 22 h of IVM, and these might be mediated by cumulus expansion.
        4,000원
        2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ngliosides are glycolipids in which oligosaccharide is combined with sialic acids. Our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n interplay between ganglioside GD1a/GT1b and meiotic maturation capacity in porcine oocyte maturation. Furthermore, ganglioside GD1a and GT1b are known for its antioxidant activity, but it is still unclear whether possible antioxidant role of GD1a and GT1b is involved in porcine embryos development competence during in vitro culture (IVC). Here, the effects of ganglioside GD1a and GT1b on the embryonic developmental competence during in vitro culture of porcine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anglioside GD1a and GT1b on the expression of ST3GAL2 were confirmed during embryos development (2-cell, 4-cell, 8-cell and blastocyst) using immunofluorescent staining (IF). As a result, the fluorescent expression of ST3GAl2 was higher in embryos at 4-8 cells stage than blastocysts. Blastocyst development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only 0.1 μM GD1a and GT1b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cellular apoptosis, we analyzed TUNEL assay. In case of only 0.1 μM GD1a and GT1b treated groups, the total number of cells in blastocyst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apoptotic cells. We identified the intracellular ROS levels using DCF-DA st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 ROS pro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lastocysts derived from the 0.1 μM GD1a and GT1b treated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anglioside GD1a and GT1b improve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orcine embryos via reduction of intracellular ROS during preimplantation stage.
        4,000원
        28.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mbarks from a targeted literature review to operationalize classic models of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territory of official Greek tourism websites. The paper explores how cultural awareness is manifested in these spaces through their structure, content and design features vis-à-vis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their users. Key trends are identified and their significance is examined. Through an exploratory qualitative research, the paper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 user interfaces and argues that web possibilities are not adequately exploited to promote the Greek tourism product. Websites often do not sufficiently embed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digital era to address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technology-oriented publics. With this as the backdrop, a novel conceptualization of website evaluation is offered which can be tested empirically and evolved to support functions of cultural adjustment. A concrete structure exemplifies the model and helps illustrate the cultural awareness and sensitivity parameters involved in browsing websites that support the tourism industry. The paper concludes with diagnostic findings and improvement recommendations for destination and professional web spaces to be strategically adaptive to the increasing needs of their diverse audiences.
        5,200원
        29.
        202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포해양대학의 해사대학은 학생들에게 선박과 해양에 대한 특수성에 적응할 수 있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맞춤형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한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학생의 핵심역량 향상과 자기주도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사회맞춤형학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통계분석이 가능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인 TALK+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TALK+ 프로그램은 해사대학의 특수성을 반영한 인사담당자와 소통을 할 수 있게 연결해주는 프 로그램이며, 259개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Likert 척도가 평균 4점 이상으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만족도는 핵심역량 및 자기주도역량과 통계적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만족도는 핵심역량 향상 및 자기주도역량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 < 0.001).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비교과 프 로그램의 개발과 동시에 무엇보다도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및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전국의 임상에서 근무하는 295명의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SNS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총 60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9문항, 대인관계능력 18문항, 감정노동 9문항, 직무스트레스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형태에서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급여가 300만원 이상인 군에서 낮았다. 대인관계능력 전체영역과 그 하위변인인 신뢰감이 높아질수록 직무 스트레스는 낮았고, 감정노동 전체영역과 하위 변인인 감정노동의 빈도 및 감정표현에 대한 주의에서는 그 정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들의 대인관계능력과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사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신뢰감’등 대인관계능력의 증진과 감정 노동의 관리가 필요하며, 앞으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질 관리를 위하여 직무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4,500원
        3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bryos produced with serum show the alterations in their ultrastructure, impaired compaction, abnormal blastulation, aberrant mRNA expression profiles and large calf syndrome with greater incidences of stillbirths and deaths after birth.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scribe in vitro embryo production by analyzing embryo production, fetal production and pregnancy rate in free-serum medium. The OPU-IVP data used in this study from 2016. Approximately, sixteen cows (Hanwoo), which belonged to the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were used. Two experimental group is used in this study. Serum groups were conducted in March to July and free-serum group was conducted in September to December. The recovered cumulus-oocyte complexes were morphologically classified to four grades based on the compaction of cumulus cells layers and homogeneity of the cytoplasm. The number of oocyt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erum groups than that in free-serum groups (29.61 ± 0.63 vs. 15.6 ± 0.62; p < 0.05). Between serum and free-serum groups indicate that average of 1st and 2nd grade oocytes were no difference (2.38 ± 1.67 vs. 2.38 ± 1.48; p > 0.05), but number of 3rd and 4th grade oocytes were greater in serum groups than that in free-serum groups (7.31 ± 7.64 vs. 5.60 ± 6.29; p < 0.05). Embryo cleaved competence was higher in rate in free-serum groups than that in serum groups (62.1% vs. 58.3; p < 0.05). However, blastocyst developmental rat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rum and free-serum groups (33.1% vs. 43.5%; p < 0.05). 986 recipients were used for embryo transfer. Pregnancy rate was indicated that between serum and free-serum group was no difference (54.6% vs. 56.3%; p < 0.05). In conclusion, we developed the free-serum system for production of in vitro bovine embryos in order to meet the developmental and qualitative requirements for large scale commercial use.
        4,000원
        3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key competence and learning competence in particular are promoted in the high school English classes attended by Chinese students. Eight hundred and thirty five college freshmen at a comprehensive four-year university in Jilin Province were surveyed on their experience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es. In part 1 of the survey, we found that high school English instruction in China tends to be exam-focused rather than emphasizing the development of key competences. In part 2 of the survey, we found that three aspects of learning competence –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meta-cognitive awareness concerning one’s own English learning, and knowledge about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 are not consistently instilled in high school English classes. Virtually no differences between ethnic majority and minority students were observed in survey. We believe that because English instruction in Chinese high schools is exam-oriented so that instructors do not have enough time to enhance learning competences. Our conclusion is that reform of instructional methods needs to include greater attention to the aspects of learning competence.
        5,800원
        33.
        201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능력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를 매개효과와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하기 위하여 만 3세부터 만5세 유아 501명과 교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인 사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능력 사이에서 교사·유아관계는 부분매개 즉,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와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정서조절이 교사·유아관계를 경유하여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 조건부간접효과가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유아관계의 중요함을 증명하였고 이때 교사·유아관계를 유아의 자아 존중감으로 조절될 때 보다 효과적이라는 점을 동시에 규명 하였다는데 있다.
        7,800원
        3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flow, and nursing student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nd examin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communication, and the effect of flow on competence in communication. Method: Data of 123 fourth-year nursing students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flow, and competence in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final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and flow accounted for 31.4% of the variance in predictions of competence in communication. Additionally,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clusion: The study supports a strategy to improve self-efficacy in communication and flow by improving nursing students’ competence in communication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4,000원
        35.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 기질 및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유아 341명을 대상으로 기질검사와 놀이성 검사, 사회적 유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독립 표본 t-검정, 피어슨의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적 유능감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 및 놀이성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기질 중 활동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낮아지고 놀이성 중 주도적 참여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 기질의 각 하위요인들은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요인과 전체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기질의 나머지 하위 요인과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성별, 기질,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성별, 활동성, 주도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설명하는데 성별, 기질과 놀이성은 중요한 예측요인이며 놀이성이 기질보다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900원
        36.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이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C북도 G군 소재 J대학교와 G도 P시 소재 P대학교에서 건강사정 교과목을 수강하는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35명, 대조군 34명에게 각각 시나리오를 통한 실습교육과 전통적 실습교육 수행 전ㆍ후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시나리오를 통한 건강사정 실습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전통적 실습 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 능력(t=2,797, p=.007), 비판적 사고 성향(t=2,406, p=.019), 정보수집능력(t=2,977, p=.004), 문제인식능력(t=3.58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그러므로 간호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 사고 성향, 정보수집능력 및 문제인식능력 향상을 위해 건강사정 수업 시 시나리오를 통한 실습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3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hyaluronidase during IVM on oocyte maturation, oxidative stress status, expression of cumulus expansion-related (PTX, pentraxin; GJA1, gap junction protein alpha 1; PTGS2, prostaglandin-endoperoxide synthase 2) and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FADS1, delta-6 desaturase; FADS2, delta-5 desaturase; PPAR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mRNA, and embryonic development of porcine oocytes. The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were incubated with 0.1 mg/mL hyaluronidase for 44 h. Cumulus expansion was measured at 22 h after maturation. At 44 h after maturation, nuclear maturation, intracellular glutathione (GSH)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were measured. Gene expression in cumulus cells was analyzed using real time PCR. The cleavage rate and blastocyst formation were evaluated at Day 2 and 7 after insemination. In results, expansion of cumulus cells was suppressed by treatment of hyaluronidase at 22 h after maturation. Intracellular GSH level was reduced by hyaluronidase treatment (p < 0.05). On the other hand, hyaluronidase increased ROS levels in oocytes (p < 0.05). Only PTGS2 mRNA was enhanced in COCs by hyaluronidase (p < 0.05). Population of oocytes reached at metaphase II stage was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hyaluronidase treated group (p < 0.05). Both of cleavage rate and blastocyst formation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hyaluronidase group (p < 0.05). Our present results showed that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orcine oocytes could be reduce by hyaluronidase via inducing oxidative stress during maturation process and it might be associated with prostaglandin synthesis. Therefore, we suggest that suppression of cumulus expansion of COCs could induce oxidative stress and decrease nuclear maturation via reduction of GSH synthesis and it caused to decreas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mammalian oocytes.
        4,000원
        38.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J소재 3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 375 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사회 적 지지, 대인관계능력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는 대인관계능력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대인관계능력은 내현적 자기애와 간호전문직 관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 문직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을 강화하기 위해 대인 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5,100원
        3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은 경쟁우위 확보를 통한 지속적인 성과 창출로 생존과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지식경영 시대 를 맞아 우수한 인적자원 확보와 유지는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고 있다. 이에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그 중요성과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 기업의 여건을 고려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 간의 Black Box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조직차원에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조직역량의 개선과 관련한 체계적인 논의나 실증 연구한 것은 거의 없다. 따라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역량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조직수준에서의 자원기반이론을 토대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역량(조직민첩성, 전략실행력, 기술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나아가 조직역량이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대상으로 한 1차 설문조사와 경영성과 측정을 위하여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으로부터 기업별 3개년의 당기순이익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민첩성, 전략실행력, 기술역량 모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민첩성, 전략실행력, 기술역량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직민첩성, 전략실행력, 기술역량 모두가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직수준에서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역량이 갖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함께 논의한다.
        7,800원
        40.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코칭역량에 대한 코치 개인의 주관성 연구로서 Q방법론의 소개와 코칭역량에 대한 주관성연구의 연구설계를 제시하였다. 코칭역량에 대한 인식은 코치의 주관적 준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코칭 진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코칭역량에 대한 Q방법 론적 접근을 통해 코치역량에 대한 코치의 주관성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Q방법론은 인간의 주관성 연구를 위해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는 접근 방법, 연구 방법이며 분석방법이다. Q방법론은 소수의 표본을 적용하여 개인 간의 차이가 아닌 개인내의 차이의 중요성을 다루며 소규모 표본분석과 수용자 분석 면에서 유용한 연구방법으로 특정대 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다. Q방법론을 적용한 코칭역량에 대한 연구절차는 문헌연구 및 표적집단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와 결과분석, Q모집단 구성 및 추출, P표본 선정과 Q분류 및 결과처리, 해석 및 유형화, 결론의 다섯 가지 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특정대상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주관성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인 Q방법론은 코칭역량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라 코칭의 모든 분야에서 개인적인 주관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특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국내 코칭연구에서 Q방법론을 활용한 연구가 확대되고, 다양한 주제의 코칭 연구와 논의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심층적으로 활발히 수행되길 기대한다.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