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0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tilization rate for the restrictive gate and required time and walking distance to board are to be a measure for the gate management and passenger's convenience estimation. So, the main purpose of the gate management are maximization of utilization rate and increment of airport terminal user's convenience through the efficient gate management. This study intend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rate on usable gates by concerning about layout, terminal configuration, local passenger of the airport and development of gate assignment algorithm and DSS which maximize the gate utilization and minimize the passenger's walking distance.
        4,000원
        22.
        200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편물의 효율적인 수송을 위해 복합연계수송 개념을 도입한 Multi-commodity, Multi-modal Network Model과 이를 토대로 정식화하고 이를 적용 한 LHGO programming Model를 제안하고자 한다. 구축된 LINGO Model은 응용 Application내에 장착되어지는 Module로 구성가능하며 이를 GIS Tool인 GEOmania를 이용한 우편물 수송 DSS을 위한 Application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3,000원
        2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발생한 몇 건의 대형 해양사고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초기대응이 사고 전개양상과 사고결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해양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전개될 수 있는 시나리오, 적용 가능한 사고 대응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하는 것이 해양사고 초기대응을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기반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의 개념을 제시하고, 해양사고 이후 전개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와 적용 가능한 사고대응 방법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건전개 시나리오 식별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식별된 사고대응 방법들의 적 용으로 인한 피해저감 효과 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건수목분석 (Event Tree Analysis: ETA) 기법을 활용한 사건전개수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사고대응 방법에 대한 상세분석을 위해서는 PERT/CPM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상기 제시한 위험도기반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의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유조선 좌초사고에 대한 사고대응 작업을 예로 간략한 위험도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25.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ystem is made up of two main elements, recovery scenarios and resource allocation. The recovery scenarios provides the system with an optimized restoration process through wide analysis based on various data related with six main infrastructure facilities(dam, slope, bank, and etc) damage around waterside. The best recovery resource could be inferred from the resource allocation module based on the result of recovery evaluation. So, this disaster recovery decision support system offers the appropriate information from both main factors to administrator handling or controlling emergency catastrophe situations.
        26.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물환경 정책 및 계획의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풀어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 투명한 정보공개, 객관적 의사결정과정, 개별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반영 등 합의형성을 위한방법론 또는 도구로서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은 물환경 문제에 대하여 영향력을 가진 특정 집단이 해결안을 제시하여 강요하거나 설득하는 구조 대신에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바탕으로 한 공동적 문제해결 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즉,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서 협상 및 조정과 같은 상호작용을 통해 이해관계를 조정하여 이해당사자들 스스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개발된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탄강댐 건설 사례에 대한 제한적인 롤플레잉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형성 지원시스템의 적용을 통해 정부가 지역사회나 NGO 등과 공론의 장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합의형성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협상의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태풍, 호우등 자연재해로 인한 사회기반시설물 피해를 예방하고 저감시키기 위한 예방 차원의 연구는 다각도로 수행되고 있는 반면, 대응 및 응급복구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피해복구를 지원하고자 피해복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의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해복구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은 복구자원 관리, 복구 우선순위도출, 피해복구 종합계획 수립 및 복구 지원 요청의 세부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복구자원관리 부분은 여러 개의 DB 엔티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구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포함한다. 복구자원(인력 및 장비)은 복구공법과 연계되어 피해복구 종합계획 수립에 사용되며, 복구자원관리 모듈을 통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그와 더불어, 시스템 아키텍처, 복구자원 현행화 방안, ODATA 활용, DB설계, Map을 이용한 자원 정보 표출, 그리고 복구계획 및 실시에 대한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기반시설물에 재해가 발생했을 때 보다 신속하게 복구하여, 2차 피해확산을 방지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8.
        2010.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SD) 방법론에 입각하여 상수도 시스템의 운영에 내재된 피드백 루프 메커니즘(feedback loop mechanism)을 상수관로의 유지관리와 연관하여 규명하고, 관로 상태의 변화가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포함한 상수도 시스템의 운영지표를예측하여 상수도 시스템의 효율적인운영 및 유지관리를 지원할 수 있는 SD 컴퓨터 모의 모형(simula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2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저수지의 탁수 장기화는 몬순기후대의 많은 나라에서 물 공급시스템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홍수시 유입하는 탁수의 실시간 감시와 예측을 통해 탁수의 최적조절 대안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인 RTMMS를 개발하였다. RTMMS는 실시간 계측자료를 수집하여 저장, 조회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 모델의 입력 자료를 자동 생성하기 위한 예측모듈, 2차원 저수지 탁수예측 모델, 그리고
        3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 침수 사고의 경우, 선박의 운용 책임자가 취할 수 있는 대응방안이 한정되어 있어 정확한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기존의 안전관련 시스템을 활용한 효율적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수밀 및 준수밀 문, 격벽 밸브, 배수 펌프 등과 같이 침수 사고 시작동하는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침수가 선박 전체로 전파되는 것을 막도록 충분한 구획분할 정도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침수 시나리오가 파국적이지 않다고 가정하더라도 발라스트 탱크의 사용은 침수 전파 방지와 선박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침수 손상 시 최적의 대응방안을 위해 채워져야 하는 발라스트 탱크들을 선정하고, 각 발라스트 탱크의 수위를 결정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31.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tional Agricultural Pesticide Risk Analysis (NAPRA) World Wide Web (WWW) 시스템 (http://danpatch.ecn.purdue.edu/~napra)은 다양한 영농방법에 따른 농약과 영양물질의 지표수/지하수 유실량을 웹에서 모의하고자 개발되었다. 단일 토양에 대해서 모의할 수 있는 Single Field 버전의 많은 기능이 개선되었고, 행정구역/수계 경계에 대해서 모의할 수 있는 County/Watershed 버전을 확장시켜, Web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버전의 NAPRA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Web GIS 툴을 이용하면, 모의하고자 하는 지역을 마우스로 디지타이징 한 후, 그 지역에 대해서 영농방법에 따른 영향을 모의할 수 있다. 모의결과를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지도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데스크탑용 GIS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제공한다. 모델을 운영하기 위하여 방대한 양의 입력자료가 필요하고, 일반 사용자가 준비하기 힘든 데이터들이 있는데, NAPRA WWW 시스템은 이러한 입력자료를 서버측 GIS 데이터 베이스, NAPRA 데이터 베이스, 강우 및 온도 모델 예측치에서 추출하여 모델을 운영한다. 또한, 모의결과를 방대한 양의 텍스트 파일이 아닌, 차트나, 테이블, 또는 지도형태로 보여주기 때문에, 농부와 같이 전문지식이 없는 사람이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영농 방법 중에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관리기법을 찾아낼 수 있다.
        32.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design of th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container terminal ship planning and to introduce the implemented system. The ship planning in container terminals consists of three major decision processes -the working schedule of gantry cranes the discharging sequence of inbound containers the loading position and sequence of outbound containers. For making these decision the proposed system can provide two ship planning modes the interactive planning mode with user-friendly GUI and the automated planning made. To implement the automated planning routine we acquired the planning rules from the expert planner in container terminals and developed an expert system based on the rules. Finally we evaluated the system developed and the potential for commercialization by using container terminal data.
        33.
        1999.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knowledge-based real-time decision support system to support decision makers for efficient berth operation of Inchon Port. In these days the berth operation problems have been many studied. The berth operation rules differ from port to port and the problem is highly dependent on natural geographic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 of port. In Inchon Port the ship’s entrance into port and departure from port is extremely affected status of dock. In this paper we analyzed some effects of dock a specific character of Inchon Port with a real data of ship’s in Inchon Port. And reconstruct a previous expert’s knowledge of berth allocating problem in Inchon Port. Also the mechanism for the efficient berth operation has been studied by repeatedly dispatching in order to obtain a best effect of berth allocation, with real-time updated information for delay at service time of a specific berth and changing of a working-berth. The system is developed with graphic user interface(GUI) concept using user interactive approach. And this system will be provide decision support maker with an efficient and fast way to berth allocating and reduce wastes of time space and manpower in Inchon Port operation.
        34.
        199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ynamic DSS (Decision Support System) interfaced with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griculture information network, In this study, DSS was developed to assist services which required tremendous and real time data in national scale.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by the agriculture network were stored in DBMS (Data Base Management System) and analyzed by GIS. GIS and databas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RC/INFO 7.1.1 and INFORMIX 4.0. ACSAS (Agriculture Calamity Service Asist System) by the system prototype was constructed to solve the problem about the drought counterplan service which was to take the responsibility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It was easy to transfer, process, and analyze the information using the system. Specially, the meteological, the reservoir storage rate and the drought counterplan information were spatially analyzed by the functions of GIS.
        35.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essles in the world merchant fleet generally operate in either liner or bulk trade. The supply and the demand trend of general cargo ship are both on the ebb, however, those trend of tankers and containers are in slight ascension. Oil tankers are so far the largest single vessel type in the world fleet and the tanker market is often cited as a textbook example of perfect competition. Some shipping statistics in recent years show that there has been a radical fluctuation in spot charter rate under easy charterer's market. This implys that the proper scheduling of tankers under spot market fluctuation has the great potential of improving the owner's profit and economic performance of shipping. This paper aims at developing the TS-DSS(Decision Support System for Tanker Scheduling) in the context of the importance of scheduling decisions. The TS-DSS is defined as the DSS based on the optimization models for tanker scheduling. The syste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life cycle of systems analysis,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be user-friendly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has been tested and examined by using the data edited under several tanker scheduling scenarios and thereby the effectiveness of TS-DSS is validated satifactorily. The authors conclude the paper with the comments on the need of appropriate support environment such as data-based DSS and network system for succesful implementation of the TS-DS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