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2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 보존용액의 sucrose, 8-HQS, pH 그리고 유기산 등이 수국 ‘Magical Brilliant’, ‘MagicalJewel’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수행하였다. 실험환경은 온도 24±2, 상대습도(relativehumidity, RH) 60~70%, 광도 11µmol•m−2•S−1 PAR로 하였고, 형광조명 16시간으로 하였다. 보존용액에함유된 sucrose와 8-HQS 의 효과에 있어서 ‘MagicalBrilliant’의 경우 절화수명은 3% sucrose+8-HQS 혼용처리에서 9.3일로 대조구 4.7일보다 4.6일 길었으며생체중과 용액흡수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MagicalJewel’에서의 절화수명은 1% sucrose+8-HQS 혼용처리에서 20.0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조구에 비해 12.3일 연장되었고 용액흡수량과 생체중의 변화는 꾸준하게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색유지와 절화수명에 미치는sucrose와 8-HQS의 혼용처리의 효과는 단용처리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났다. 보존용액의 산도에 따른 효과는pH 3.5에서 가장 좋았다. 절화수명일에 있어서 ‘MagicalBrilliant’는 9.0일 그리고 ‘Magical Jewel’은 21.7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존용액의 산도가 중성 쪽으로 갈수록 절화수명일, 생체중 및 용액흡수량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보존용액의 산도가 절화품질에 영향을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유기산 처리의 결과,‘Magical Brilliant’과 ‘Magical Jewel’은 100mg•L−1citric acid 처리에서 각각 절화수명이 12.3일과 22.7일로다른 처리구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절화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Magical Brilliant’과 ‘Magical Jewel’모두 3% sucrose+250mg•L−1 8-HQS(pH 3.5), 3%sucrose+250mg•L−1 8-HQS+100mg•L−1 citric acid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생 산수국의 대량번식을 위하여 삽목에 적합한 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와 침지시간이 삽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생 산수국의 숙지 삽목시 생장조절물질인 IBA와 NAA를 저농도(10~250 mg·L-1) 및 고농도(500~3,000mg·L-1)로 침지시간을 각각 다르게 처리하여 삽목 한 후 42일(6주)째 발근율, 발근수, 근장, 엽장, 엽폭를 조사하였다. IBA처리의 경우 발근수, 근장, 엽장, 엽폭은 저농도(50~250 mg·L-1)일때 우수하였다. 그 중 IBA 50mg·L-1 3시간 침지처리구에서 근수가 90.55개로 가장 좋았으며, IBA 10mg·L-1일때 는 매우 저조하였으므로 산수국의 대량 번식에는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처리에서는 NAA 1000mg·L-1 5초 침지, 2000mg·L-1 3초 침지, 3000mg·L-1 10초 침지 일때 발근율 100%를 보였으나 발근율에 비해 발근수는 오히려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NAA는 저농도(10~250 mg·L-1)보다 고농도(1,000~3000mg·L-1)일때 효과가 높았으며 고농도 중 NAA 2000mg·L-1 5초 침지일 때는 발근수가 105.45개로 가장 많은 발근수가 나타났다. NAA의 고농도처리에서는 농도가 높고, 순간침지는 짧을수록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볼수 있었다. 따라서 자생 산수국의 대량번식을 위한 삽목번식에 적합한 생장조절물질은 NAA보다 IBA 저농도(50~250 mg·L-1)일 때 발근율 및 효과가 높았다. 이와 같이 자생 산수국의 대량번식에 적합한 생장조절 물질은 IBA가 NAA에 비해 발근율 및 발근수 등이 좋았으며, IBA 50mg·L-1 3시간이 삽목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
        2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겹꽃으로 개화하는 한국자생 산수국(Hydragea serrata for. acuminata)을 분화용 식물로 개발하기 위하여 알맞은 삽목시기를 구명하고 월별 삽목시기가 이듬해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2008년 3월부터 9월까지 매월 10일날에 직경 15cm 크기 의 화분에 직접 삽목을 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은 5월에 삽목한 것이 31.7cm로서 가장 컷고 그 다음이 4월과 7월에 삽목한 것 이었으며 8월과 9월에 삽목한 것은 각각 23.6cm와 22.0cm로서 비슷하였다. 그러나 6월에 삽목한 것은 비정상적으로 작았고 생육도 매우 부진 하였다. 잎은 8월 이후에 삽목했을때에 엽폭이 좁아지고 엽장도 짧아져서 엽면적이 감소되었으며 엽병장 또한 짧아졌으나 착엽수는 변화가 없었다. 주당 꽃송이의 수는 5월에 삽목한 것이 4송이로서 가장 많았고 7월부터 9월 사이에 삽목한 것은 3송이가 피었으며 6월에 삽목한 것은 1송이가 착화 되어서 가장 적었다. 화관의 크기는 5월에 삽목한 개체가 직경 10.3cm로서 가장 컷으며 7월이후부 터는 삽목시기가 늦어질수록 화관의 크기가 감소되었다. 착화수나 꽃의 크기, 소화의 수 등의 개화 상태는 5월에 삽목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6월에 삽목한 것이 가장 저조하였다. 그러나 8월과 9월에 삽목을 실시하더라도 이듬해에 관상가치가 있는 정상적인 꽃모양을 가진 꽃이 피었으나 개화시기는 약간 늦어졌다.
        4,000원
        2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수국의 종자번식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 고자 수행하였다. 종자를 11월 15일, 12월 30일, 그리 고 1월 23일 채취하여 파종한 결과 최종발아율이 각 각 90.0±4.16%, 84.4±5.52%, 그리고 88.9±2.40%로 휴 면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 온도조건에 따른 발아실험 결과 최적의 발아조건은 온도는 25oC이고, 광 은 명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초장, 엽장, 줄기직경, 근 장, 근수, 생체중, 건물중, T/R율 공히 25/20oC의 주야 변온조건에서 가장 크거나 많았으나 25oC 항온조건과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15oC와 20oC의 비교적 저온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는데, 특히 T/R율이 낮아 지상 부의 생육이 더 억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색광은 유묘의 초장과 절간장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청색광 처 리구에서 총엽록소, 엽록소 a/b 및 카로티노이드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색+청색광 조합처리가 그 다음 으로 높아 청색광이 포함된 광질 처리에서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플러그 셀 수(50, 72, 128, 162, 200cell)에 따른 유묘의 생육실험결과 지상부의 생육은 50공 트레이에서 가장 좋았고 다음으로 72, 128공 순 이었으며 162공과 200공 간에는 유의적인 경향이 일 정하지 않았다. 대체로 셀의 부피가 큰(재식밀도가 낮 은) 트레이에서 자란 유묘의 잎이 컸다.
        4,000원
        2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관상용이나 천연감미료, 생리활성물질의 원료로 활용되는 산수국의 적정 생육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2년생 산수국의 삽목묘를 대상으로 광, 수분 및 시비처리를 실시한 후 8월과 9월에 광합성, 엽록소 함량, 엽생장을 조사 비교하였다. 광도처리별 광합성율의 유의차는 8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9월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관수처리별 광합성율은 주3회 관수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비구가 무시비구에 비해 광합성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엽록소함량은 광도처리별에 있어서는 8,9월 모두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관수처리별에서는 8월에서만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시비처리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엽생장(엽장과 엽폭)은 전광과 주 3회 관수처리 시에 양호하였다.
        4,000원
        28.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Korean Hydrangea was evaluated by using sequenced three chloroplast regions and ITS region, including the 7 taxa. The result of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Korean Hydrangea, 7 taxa formed the monophyletic group. This analysis also revealed that subsect. Macrophyllae of Korea was separated into two groups; H. serrata f. acuminate and H. macrophylla group. The H. serrata f. acuminta group was included with H. serrata f. buergeri and H. serrata f. fertilis. These three species form a monophyletic clade,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ir nucleotide sequences. The H. serrata f. acuminta group showed a monophyletic group with H. serrata f. buergeri and H. serrata f. fertilis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ir nucleotide sequences. H. macrophylla group was an independent clade distinguished by H. serrate f. acuminate group. Subsect. Petalanthe, Heteromallae and Calyptranthae form a monophyletic group. H. petiolaris which is located in Subsect. Calyptranthae was separated into two subgroups; First subgroup: Jeju island (except for Mt. Halla) and Second subgroup: Ulleung island and Japan. Additional studies of two subgroups of H. petiolaris should be conducted a geographical study and add more samples.
        3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for mass cultivation and standardization of hydrangea, experimental result for types and concentration of growth regulator appropriate for cutting and rooting are as follow. During the semi-hardwood and hardwood cuttings of hydrangea, in 100mg·L­¹, 500mg·L­¹, 1,000 mg·L­¹ of each growth regulator NAA and IBA, when sudden soak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the hardwood cutting rather than the semi-hardwood cutting resulted better growth as well as significantly better to initial rooting. The treatment of IBA was better then NAA in the rooting, especially IBA was the rooting percent increased at 500mg·L­¹and root growth was effective at 1,000 mg·L­¹also. It is effective to root growth in NAA 1,000mg·L­¹and percent of rooting increased under high 1,000 mg·L­¹ and it was more effective and higher concentratio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