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197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성하고 이에다 를 작용시켜 cadmium pentachlorphenolxanthate(Cd-PCP-xanthate)를 항성 하였다. 2. 시료 I, II, III, IV 및 V를 합성하여 화학분석 한 결과 시료 V가 가장 순도가 높았으며, 이의 분석치는 Cd-PCP-xanthate와 Cd-PCP가 약 씩 함유된 것과 동일하다. 3. 시료 V를 가지고 수화제, 및 분제를 조제하였다. 4. 살균효과시험은 수도의 깨씨무늬병균과 도열병균에 대하여 분생포자 발아 억제시험 및 균사신장억제 시험을 한 결과 포자발아억제효과는 10∼20ppm에서 유효하였고 균사억제효과는 분제 30초 부착구에서 Ceresan 석회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5. 수도에 대한 약해 시험결과는 약해를 볼 수없었다.
        4,000원
        22.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한국각지에서 분리한 수도백엽고병균 30균주를 일본의 4계통의 Bacteriophage를 공시하여 분류하여 본 결과 A' 및 B계통의 다음 2종류로 분류하였다. A' 계통 및 에 감수성이나 , 에는 저항성이었다. B계통 : , 및 감수성이나 에 저항성이었다. A'계통은 에 저항성이나 일본의 A 계통은 에도 감수성이었다는 점이 상이하였다. (2) A' 계통균이 국내에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며, 계통간의 지역별분포상황은A'계통균이 경기이남에 않았으나 B 계통균은 수원 및 그 이북지방에 분포하고 있었다. (3) 동일품종간에 있어 균의 계통분포는 균일성이 없었다.
        4,000원
        24.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마늘 유기재배에서 마늘 잎마름병에 대한 친환경방제제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56종의 친환경방제제를 대상으로 Stemphylium botryosum 포자 발아억제시험을 96 well plate에서 실시하여 그중에서 구리화합물제제, 식물추출물제제, 황화합물제제, 황·탄산나트륨제제 그리고 키토산액 등 5종을 선발하여 2012년과 2013년에 걸쳐서 마늘재배포장에서 잎마름병 방제효과와 마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2년 시험에서 방제효과가 우수한 구리화합물제제와 키토산제제를 대상으로 2013년에 다시 잎마름병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화학약제인 안트라콜의 방제가에 대비하여 각각 54%와 90%의 방제효과가 나타났으며 무처리에 대비하여 16%와 34%의 수량성 향상효과가 나타났다. 구리화합물제제와 키토산제제로 잎마름병 방제시 화학약제 방제에 대비하여 상품화 가능한 마늘은 각각 79%와 93%였으며 무처리에 대비할 경우 수량이 각각 16%와 3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키토산액은 마늘 잎마름병 방제용 친환경제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친환경제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 specific gene family, NAC (NAM, ATAF, and CUC) transcription factors have been characterized for their roles in plant growth, development, and stress tolerance. In this study, we isolated OsNAC69 gene and analysed expression level by inoculation of bacterial leaf blight pathoge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NAC transcription factor family can be divided into five groups (I–V).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analysis, OsNAC69 was fall into group II. OsNAC69 was strongly induced 1 hr after infected with Xoo. To investigate its biological function in the rice, we constructed vector for overexpression in rice, and then generated transgenic rices. Gene expression of OsNAC69-overexpressed transgenic rice lines were analyzed by northern blot. Analysis of disease resistance to pathogen Xoo, nine OsNAC69-overexpressed transgenic rice lines showing high expression level of OsNAC69 were shown more resistant than wild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NAC69 gene may play regulatory role during pathogen infection.
        29.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disinfectant, in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Experimental plot was laid out in split plots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major seed disinfectants were benomyl Wp, 20%, Captan Wp, 50%, Triferine Ec, 17%, Etridia zole Ec, 25%, and Thioplant-mythyl Wp, 50%. Even though seed disinfectant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date of Alisma plantago, dry root yield was increased largely with benomyl Wp, 20%, in seed disinfectant than in the other seed disinfectants and contorl. All seed disinfectant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But all seed disinfectant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On the basis of yield, vegetative and disease paramerer, benomyl Wp (20%) (100g/20l) had shown superior performance, however, all the seed disinfectants are effective as compare to without treatment.
        30.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yield in the cultivation of Job's tears.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Job's tears.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Wp, 75%, chlorothalonil Wp, 75%, dithianon Wp, 43%, difenoconazole Wp, 10%, benomyl Wp, 50%, and propineb Wp, 70%. Dry seed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Wp, 75% (33g/20l),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and control.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Job's tears.
        34.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강" 율무는 1991년에 조숙, 내병성인 후쿠하네를 모본으로 박피, 다수성인 수원6호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F1 (SJ9106)을 얻었고, 이를 모본으로 하여 1992년에 수원 6호를 부본으로 하여 삼원교배를 하여 SJ9201이라는 교배번호를 부여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1993년 하계에 F1세대를 양성하고, 1994~1997에 F5세대를 계통육성하였으며, 1997~1998년 동계에는 온실에서, 1998년 하계에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1999~2001년간에 걸쳐 3년간 "연천5호"라는 계통명으로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한 결과, 조숙, 내병, 다수성 등의 특성이 인정되어 2001년 12월 농림부 주요작물 종자협의회에서 경기도를 중심으로 중부 및 중북부 단작지역의 장려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그 주요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초색은 녹색, 잎은 농록색, 잎의 크기는 중정도, 줄기의 색은 녹색, 줄기의 굵기는 중정도이며, 자술색은 유백색, 종피색은 흑갈색이었다. 2. 출수기와 성숙기는 표준품종인 율무1호에 비하여 각각 10일, 12일 빨랐다. 3. 간장은 205cm로 율무1호와 비슷하였다. 수량구성요소는 상강율무의 주당립수는 336립으로 율무1호에 비하여 56립 적었으나 등숙율은 71.8%로 율무1호에 비하여 6.5% 높았고, 천립중은 118 g으로 율무1호에 비하여 20.1 g 높았다. 4. 잎마름병은 율무1호에 비하여 다소 강하였다. 5. 수량성은 생산력검정 결과 상강율무가 283 kg으로 율무1호에 비하여 3% 증수하였고, 지역적응시험 결과 경기 연천에서는 311 kg으로 17%, 충북 청주에서는 329 kg으로 27% 각각 증수하였으나, 밀양에서는 304 kg으로 4%로 감수하였다.
        35.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quence-tagged site (STS) markers tightly linked to the bacterial leaf blight (BLB) resistance genes, xa5, xa13 and Xa21, were us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polymorphisms between the resistant and susceptible germplasm in rice. 500 of Korean varieties and 100 of landrac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STS marker, RG207 was used to having xa5 resistance gene of rice germplasm. 27 varieties of Korean germplasm showed resistant for xa5 gene. The RG136 an xa-13 marker resulted in a single band of approximately 1kb in all the rice accessions studied. In order to detect polymorphism, digestion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 was performed using a restriction enzyme Hinf Ⅰ. The resistant lines resulted in two bands 0.5kb on digestion with Hinf Ⅰ, while the same enzyme did not digest the PCR product of susceptible lines. No polymorphism was detected in Korean varieties and landraces, indicating that they probably do not contain xa13 gene. pTA248 an Xa-21 marker detected a band of 1kb in the resistant lines and bands of either 750bp or 700bp in the susceptible lines. Among germplasm tested, there are no varieties and landraces with Xa21 resistant gene. The results of the germplasm survey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parents in breeding programs aimed at transferring thes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from one varietal background to another.
        37.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Alisma plantago.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Wp, 75%, chlorothalonil Wp, 75%, dithianon Wp, 43%, difenoconazole Wp, 10%, benomyl Wp, 50%, and propineb Wp, 70%. Dry root of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Wp, 75%(33 g/20),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and control.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38.
        200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율무 주산단지인 연천지역에서 율무 종자전염병인 잎마름병 및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 실태와 종자소독제 처리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율무의 잎마름병 종자감염율은 연천지역 농가에서 수집한 종자를 검사한 결과 32.7~45.7%였으며, 율무종자 소독기간은 율무 1호가 0~7일, 연천 재래종이 0~20일이었다. 농가별 종자소독기간 분포 비율은 무소독 20%, 1~5일 20%, 6~10일 55% 그리고 11일 이상이 15%였다. 종자소독처리제인 후루디옥소닐종자처리액상수화제의 잎마름병에 대한 종자소독효과는 97%, 깜부기병에 대한 종자 소독효과는 93.4% 로 높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39.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월 하순부터 1개월 간격으로 작약의 잎과 줄기에 인위적 고사를 유도하여 지상부 고사가 뿌리의 발달, 수량,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작약의 잎과 줄기를 고사시키는 주 병원균은 점무늬병균, 녹병균, 흰가루병균, 검은무늬병균, 탄저병균, 갈색점무늬병원균이었다. 2. 점무늬병과 흰가루병은 4월 하순에서 5월 중순경에 발병되었고, 녹병은 6월 상 순부터 발생되어 시일이 경과할수록 발생율이 증가하였다. 3. 작약 지상부의 고사는 5월 하순부터 시작되어 8월 하순경에는 50% 이상의 고사율을 보였다. 4. 수량은 정상주에 비해 6월 하순 및 7월 하순 고사가 31~35% 감수되었고, 8월 하순과 9월 하순 고사가 7~12%의 감수를 보였다. 5. 직경 10mm이상 상품성이 있는 뿌리수는 6월과 7월 고사가 8월이후 고사에 비해 적었고 주성분 Paeoniflorin 함량은 조기에 고사된 작약 뿌리 가 오히려 높았다.
        40.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on the resistance of varieties bred by crossing with Asominori to bacterial leaf blight. Nakdongbyeo and Dongjinbyeo which were susceptible to HB 9011, 8 resistant varieties including Ilmibyeo derived from Asominori and Asominori, Hwangok, 13 varieties including Chukoku 45 which were resistance to HB 9011, HB 9022 and HB 9033 were used to screen their res ponce depending on the various screening methods such as the true resistance, the secondary infection resistance and the disease common field test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13 varieties tested, 11 varieties including llmibyeo showed tme resistance to HB 9011. Less than 1.0cm of disease lesion were developed on these varieties. Disease lesion was not developed on most of the Asominori lines including Daechongbyeo against IIB9011 and 1lmibyeo was also resistance to HB 9011, on this variety disease lesion area rate was 1.2%, and 7 varieties including Hwajinbyeo showed field resistance to HB 9022. Disease lesion area rate were 19.6% on Nakdongbyeo. 15.6% on Dongjinbyeo, from 3.0% to 2.4% on Asominori lines, and 0.5% on the Asominori when screened at disease common area. Disease was not developed on Keumnambyeo.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ces were found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test methods of the true resistance, the field resistance ancl the field resistance at disease common field tests on Asominori lines, but in some cases, even the varieties on which disease lesions developed, showed field resistance to HB 9022 and HB 9033.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