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ssay examines the seventeenth century New England Congregationalists’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half-way covenant.” According to Perry Miller, there is a radical discontinuity between them. Miller points out three major differences. First, the half-way covenant introduced a new internal/external distinction into the early fathers’ church covenant, while the latter had considered their church covenant as a visible form of the internal covenant of grace. Second, accordingly, the defenders of the half-way covenant “drastically separated” the church covenant from the covenant of grace. As a result, the church covenant was “no longer viewed as a direct manifestation of spiritual conversion.” Third, there was a generation gap: While the old generation opposed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the young generation tended to defend it. Miller share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critics’ view of the church covenant--as shown in Samuel Rutherford's polemical works against New England Congregationalism. Rutherford, for example, tended to identify Thomas Hooker’s concept of the church covenant with the Separatists’ view of it which was deeply rooted in their “pure church” ecclesiology. Both Rutherford’s and Miller’s thesis, however, represent a one-sided view. Hooker and his brethren present enough counter-evidence to show that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early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First, the internal/external distinction does not belong to a later development because it was a basic feature for Hooker’s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Hooker clearly sees his church covenant as an external--not internal--covenant. Second, Hooker and his brethren make a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the invisible/inward covenant of grace and the visible/outward covenant of grace. The latter, Hooker argues, is given for the visible church--either an explicit or an implicit form of church covenant. Third, Hooker’s church covenant does not nullify the traditional distinction of the visible/invisible church. On the contrary, it must preserve it. Finally, unlike Miller’s thought, the majority of the early Congregationalists--even in the 1630s--actually favored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The above facts must account for the reason why the defenders of the half-way covenant could claim that they had the fathers of Congregationalism (including Hooker) on their side. In short, the complex reality demands that we should seek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e issue of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the church covenant and the half-way covenant.
        22.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방 약용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추의 효능과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대추 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각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추 추출물의 수율은 미숙 대추가 가장 낮은 11% 내외의 수율을 보였으며, 완숙 대추가 미숙 대추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율을 보였고, 건조 대추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55.67, 65.95%이었다. 대추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모두
        23.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mmune activities of Opuntia ficus indica L. Miller were investigated through aqueous extracts associated with ultrasonification process at 60℃, and showed the highest promotion of human B and T cell growth, up to 52% and 41%,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ecretion of TNF-α and IL-60 was also enhanced by the addition (0.5mg/ml) of the extracts, up to 48%. NK cell activ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up to 1.3 times higher than the case of adding other extracts. It was also found that extracts from O. ficus indica could yield higher nitric oxide production from macrophage than Lipopolysaccaharides (LPS). It can be concluded that, in general, the extracts treated with ultrasonification has higher Immune acitivities than others, possibly by higher yielding immune-modulatory than conventional extraction process.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extraction of O. ficus-indicais water extraction associated with ultrasonification.
        24.
        200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리기다소나무 잎추출물의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이상의 농도에서 뚜렷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광역의 병원성 및 부패성 미생물들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리기다소나무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의 낮은 처리농도에서도 뚜렷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의 생육저해환의 직경도 커졌으며, 알코올추출물에서 좀 더 뚜렷한 항균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리기다소나무 잎추출물은 넓은 범위의 열 및 pH에서 안정성을
        25.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two herbs-Houttuynia cordata Thunberg and Lycium chinese Miller-irradiated with gamma-rays in respect of genotoxicity. Water extracts from the 10 kGy gamma-irradiated herbs were examined in two short -term in vitro tests ; (1)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 (Ames test) in strain TA 98 and Ta100 and (2) Micronuclues test on clutured Chinese hamster ovary(CHO) cells. No mutagenicity was detected in the two assay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 From these results , the safety of the herbs irradiated with gamma-rays at practical doses could be revealed in further tests of genotoxicity in vivo, chronic and reproductive toxicity.
        2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의 비닐 하우스 재배에서 재배방법에 따른 생육, 수량성 및 병해충 발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청양군 청양농공업고등학교 실습 포장의 비닐 하우스에서 1997년 2월 20일부터 98년 10월5일까지 ‘청양 재래’ 품종을 재식거리, 적심시기 및 적심횟수를 달리하여 재배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가 멀수록 분지수가 적어졌고, 경장, 경직경,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은 증가하였으며, 개화기 차이는 없었다. 2. 재식거리가 멀수록 분지당 화수, 착과수, 생과중, 전과중은 증가하였으나, 총 수량은 단위면적당 총 주수가 많은 재식거리 60 × 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적심시기가 5월5일에서 6월5일로 늦어질수록 생육형질인 경장, 경직성, 분지수,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은 낮았고, 분지당 화수, 착과수, 생과중, 건과중도 모두 낮았다. 4. 적심횟수가 증가할수록 분지수는 많아졌지만, 경장, 경직경,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 모두 감소하였다. 5. 적심횟수가 증가할수록 분지당 개화수, 과립수, 착과율은 감소하였지만, 주당 생과중, 건과중은 증가하였다.
        27.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나무재배시 부산물로 발생되는 구기순을 가공식품 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위해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른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순의 일반성분을 품종과 채취시기에 따라 분석한 결과 조지질, 조단백질, 총당 함량은 청양 재래종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조단백질, 총당환원당은 6월20일에 가장 높게 함유되었다. 2. 무기성분 함량은 청양재래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P2O5, K2O, CaO, MgO, Cu, Mn 함량이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채취시기별로는 5월10일 체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3.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총 지방산의 5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품종에 따른 지방산 함량의 차이는 없었고, 시기별로는 5월10일에 채취한 구기순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4. 아미노산은 19종이 분리되었고, 그 중 glutamic acid는 10.05%~10.94%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leucine 및 lysine순으로 함유되었다. 그리고 아미노산중에서 serine, arginine, methionine, eystine-2, isoleucine은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glutamic acid, tryptophane은 채취시기가 빠를수록 함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의 개발가능성이 확인되었다.
        28.
        199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枸杞子) 재배시(栽培時) 생육환경(生育環境)을 개선함으로써 건전한 생육(生育)을 도모하여 수양성(收量性)을 증대하고 농약방제(農藥防除)에 소요되는 노력을 절감하면서 안전 농산물(農産物)을 생산키 위하여 1992년(年) 비가림 망실재배시험(網室栽培試驗)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平均) 기온(氣溫)은 비가림 망실재배시(網室栽培時) 노지자연재배에 비하여 1~1.9℃가 높았고, 병충해 방제횟수는 비가림 망실재배가 2회, 노지재배가 7회이었다. 2.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은 망실재배(網室栽培)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3. 비가림망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탄저병의 이병과율과 혹응애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4. 수량은 비가림 망실재배시 환기처리 204kg, 미환기처리 218kg으로 노지재배에 비하여 92~106% 증수하였고, 이는 병충해 감소에 의한 주당과수의 확보에 기인하였다.
        29.
        199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最近) 재배(栽培) 면적(面積)과 수요(需要)가 급증(急增)되고 있는 구기자(拘杞子) 재배시(栽培時) 치명적(致命的) 피해(被害)를 주는 구기자(拘杞子) 탄저병(炭疽病)에 대한 약제(藥劑) 시험(試驗) 결과(結果) 1. 탄저병(炭疽病) 발병(發病) 시간(時間)는 7월 중순(中旬)과 8월 중순이 가장 심(甚) 하였으며 평균온도(平均溫度) 25℃ 전후(前後)의 조건하(條件下)에서 발병율(發病率)이 가장 높았다. 2. 운곡면(雲谷面)과 대치면(大?面) 모두 프로피 수화제의 방제가(防除價)가 81.5%와 93.4%를 나타내어 약효(藥效)가 가장 우수(優秀)하였다. 3. 디치돈 수화제와 프로피 수화제 모두 기준량(基準量)과 배양(倍量) 공히 약해(藥害)가 발생(發生)하지 않았다.
        30.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breed the Boxthorn varieties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in 1984 to 1986(3 years).The character of "Yu seong 1"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and "Yu seong 2"with good quality and high yielding potential are fellows;1, The plant type of "Yu seong 1" was semi-elect type but became to electtype after 60C" rediation and yield was decreased because of the number of flowers.2. The yield of "Yu seong 2" was the highest of all varieties.3. The quality(Extract and Betain contents) of "Yu seong 2" was the best ofall varieties and visible character was good.The results of this experinent showed that "Yu seong 1" should be promisinglines in south area because of resistance Anthracnose and "Yu seong 2" should bepromising lines in north area.hracnose and "Yu seong 2" should bepromising lines in north area.orth area.
        31.
        198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약식물로서 중약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구기자의 전지정도에 따른 품질 및 수량반응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2 ~ '83년 2개년에 걸쳐 "진도재래"를 공시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개화반응은 맹모 - 황엽 - 낙엽 - 개화의 일련의 단계를 거쳐 개화되었고, 2. 무전지구에 비해 전지구가 간장이 길고 그에 따른 절수도 많았으며 총 유효분지수가 많아 수량에 영향을 주었다. 3. 무전지구에서는 과정이 짧아 과실이 잘고 전지구는 과정이 길고 굵은 충실한 과실이 생산되어 상품가치가 높았다. 4. 10 a 당 수량은 무전지 방치구(76kg)에 비하여 지표면 전지구와 지표면 10 cm 전지구에서 38 ~ 39%의 증수효과가 있어 구기자는 모년 무전하여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5. 구기자 수확회수별 수량은 2회 수확으로 생산량의 85%를 수확할 수 있어 수학노력 절감이 앞으로의 과제라 하겠다.
        32.
        1986.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육종의 수량형질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형 상관, 유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해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기자의 수양형질중 생과중, 건과중 및 생근중의 유전분산이 가장 크고 년차간의 변동이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변동은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건과율 및 건근중률을 제외한 모든 수양형질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연차간변동도 적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생과중, 건과중, 생근중, 건근중 및 지골피수량양에서 매우 높았고 연차간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생과중과 건과중, 생근중과 지골피, 생근중과 지골피비율, 건근중과 지골피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도 높고 연차간의 변동도 적 었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 간접으로 효과를 크게 미치는 형질은 생근중이었다.
        33.
        198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 육종의 지골피수량에 대한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전력, 표현상관, 환경상관 및 경노계수에 대한 연차간변동을 알고자 1979년, 1980년, 1981년, 3개년간 생산력검정 시험성적을 이용하여 연차간 유전통계량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구기자의 실용형질중 경장, 1차분지장의 유전분산이 가장크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으며 기타의 형질도 유전분산이 환경분산보다는 컸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2. 3개년간 전품종들을 Pool로 한 분석에서 연차와 품종 및 이들의 교호작용은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의 형질들이 연차간과 품종간에서 고도의 유의차가 있었으며 연차와 품종간의 교호작용에서도 경장의 형질에서 만이 높은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3. 광의의 유전력에서는 모든 형질들이 유전력이 매우 높았고 연차간 변동도 적었다. 4. 유전상관에서는 지골피의 수량과 경장, 1차분지장, 주경과실수간에는 정의 상관이며 연차간변동도 적었고 지골피와 근중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다. 5. 경노계수의 연차간변동은 대체로 적었으나 3개년간 모두 지골피수량에 직접효과가 크게 미치는 형질은 경장, 1차분지장 및 근중이었다.
        34.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약식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구기의 육종자료를 얻고자 한국에 분포되어 있는 구기 지방종을 수집하여 품질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품질에서는 남부 지방종들이 단백질, 조지방, Oleic acid, Linoleic acid, Vitamin A, Alcaloid 함량이 많아 우수하였다. 2. 무기성분인 Ca, P, Fe의 함량도 남부 지방종이 높은 경향이었다. 3. 구기엽의 분석에서 N,P2O5,K 의 함량은 경하부에 착생한 광엽이 경상부에 착생한 세엽에 비하여 낮은 반면에 Ca, Mg, Fe, SiO2 등은 광엽에서 높았다. 4. 구기엽의 엽색변화 시기에 따른 성분함량은 N,P2O5,K 는 제1차 광엽기에, Ca은 제1차 낙엽기에 Mn과 Cu은 각각 제2차 신엽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