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1.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n lumbar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12-week pilates mat exercise of elderly women. The participants are chosen for 17 people who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14 people who is an comparison group who except wastage and pilates mat exercise program was gradually intensify applied three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The peak torque of flexion was increased(p<.01) and the difference of ratio of agonist to antagonist was decreased(p<.001). The total work of flexion and extension had significant increased(p<.001) at 120°/sec. As a result of all these, it was judged as positive effect for body composition, basal physical fitness and lumbar muscle strength after pilates mat exercise in 12 weeks. These positive effects showed that pilates mat exercise could got conclusions that mitigated the musculoskelctal disorders, slow down the progress of disorders, helped as a functions of physical.
        4,000원
        2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effects that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consisting of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sit up, push up) that everyone can easily practice regardless of a time and a place in order to manage practically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aged affects the difference on their body composition and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level. Looking into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of an experimental group, the weight of 2.5kg was reduced after applying complex training for 12 weeks and the body fat mass of 2.65kg was reduced. Also, the abdominal fat of 0.13% was decreased and the muscle mass of 1.56kg was increased. For the change factors of physical fitness,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balance and flexibility excluding agilit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applying complex exercise training. The improvement of health fitness of the aged under this stud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specified body functions which had been lowered by aging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So, it is regarded that their health fitness is the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activity competence required for daily life and to lead healthy living by the improved activity competence. Henceforth, it needs to study more the complex composition of several sports, exercise intensity and the frequenc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In addition, it needs to develop the complex exercise training in accordance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 sex of the aged, an age, a physical fitness level, environment, a disease and the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during training.
        4,000원
        23.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stablish high school male students’ criterionreferenced standards for the Youth Physical Fitness Awards Program in order to suggest standard physical strength levels to be achieved by high school male students in the events
        6,300원
        24.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change in six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grade according to every year for each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and to identify how these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p
        4,900원
        25.
        200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que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test items of primary school student, and supplying a basic data for setting up of scientific examination criteria of individual evaluation through the result ana
        6,400원
        26.
        200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the purpose of disclosing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for health promotion, living activities, and performance abilities of the elderly in the institution, questionnaire survey and physical examination were performed on the subject, aged 65 years or older. The subjects consisted of experimental (33 persons) and control (35 persons) groups, matched with gender and age. The experimental group was put on the exercise program; working their upper and lower limbs for 12 weeks using dumbbell and lead-packed weigh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The mean valu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all variables of physical fitness, in all variables except for living activities, and in all variables of performance abilities after exercise program. 2)The mean valu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variables of experimental group after exercise program, but the mean values were decreased or maintained in most of variables of control group after exercise.
        4,000원
        37.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8주간의 버피테스트 운동이 초등학교 아동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함으로써 아동의 건강과 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운동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0명씩 구분하였으며, 운동집단에는 8주간, 주당 3회의 버피테스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처치 전후에 신체구성과 체력 측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장(p<.001)과 체중(p<.001), 체지방률(p<.01)에서 운동군과 통제군 모두 8주 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BMI는 유의한 증가를 보인 대조군(p<.001)에 비해 운동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체력 측정에서는 20M왕복오래달리기(p<.001),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p<.05), 팔굽혀펴기(p<.01)에서 운동군의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8주간의 버피테스트 운동은 아동의 신체질량지수와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지구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근 아동의 건강과 체력 저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때에, 버피테스트 운동과 같은 짧은 시간의 운동을 접목시킨 운동 프로그램을 학교 교육에서 제공 한다면 아동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38.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이 여성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요인에 미치 는 영향을 분석하여 태권도 트레이닝이 여성 대학생에게 주는 효과를 검증하고 지금까지 상대적 으로 미비했던 일반 성인 여성에게 적절한 운동 방법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었다. 연구를 위해 주요 요인을 조작적 정의하였는데 먼저, 신체조성은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및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 기초체력요인은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및 유연성으 로 설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S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 여성 13명으로 선정하였 으며, 연구대상들은 12주간 태권도 트레이닝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작적 정의된 요인들을 참여전과 참여후에 측정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 출되었다. 첫째, 태권도 트레이닝을 통해 여성 대학생의 신체조성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 타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 트레이닝을 통해 여성 대학생의 건강관련체력 중 근력, 근지구력 및 민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본 연구는 일반 여성 대학생을 위한 태권도 트레이닝이 신체조성에는 유의한 변화나 효과가 없 지만 전반적인 기초체력요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따라서 적절한 태권도 프로그램은 여 성 대학생들의 기초체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39.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fitness on a nonverbal intelligence score and cortical network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twenty four high-fit and twenty one low-fit middle school students. K-CTONI-2 was used to measure nonverbal intelligence less influenced by educational experience and verbal ability. Cortical activation at F3, F4, C3, C4, P3, P4, T3, T4, O1, and O2 has been recorded during intelligence test. Inter-hemispheric and intra-hemispheric coherences were calculated to examine cortico-cortical communication. Results: As the behavioral results, nonverbal intelligence score and accurac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t according to physical fitness. The result of coherence revealed that coherence at right hemisphere which is related to visual-spatial processing was higher in high-fit but coherence at left hemisphere related to verbal-analytic processing was higher in low-fit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e greater neural efficiency during intelligence test in high-fit relative to low-fit group.
        40.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학생 836명(여학생 305명, 남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성, 체력 등급, 체육활동 수준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학교체육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신체활동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지와 한국판 신체적 자기지각 프로파일을 대상자에 맞게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과 t-검증 그리고 ANOVA를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과 그 하위영역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할 만한 결과는 남녀 모두 매력적 몸매에 대한 자기지각 수준이 다른 하위요인들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중매체 등을 통해 확산된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적 기준을 중학생 연령부터 이미 내면화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체력 등급에 따라 신체적 자기지각과 하위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력 등급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지각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남녀 모두 자율적인 체육활동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매우 낮았다. 이러한 체육수업 외 체육활동 수준은 신체적 자기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학교체육 현장의 개선이라는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