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5

        2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s steel structures become higher and more long-spanned, application of high-strength steels is increasing gradually. However, criteria and example for design of high-strength steel are not built up. exiting criteria for structural steels is not proper for economical design of high-strength steel. Moreover, exiting criteria will be decrease the fatigue performance of steel bridge using high-strength steel. Therefore, criterion for application of high-strength steel must be established. In this paper, the behavior of plate girder using high-strength vertical stiffeners was clarified by carrying out layer elastic-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finite deformation theory. In order to optimize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plate girder using high-strength vertical stiffener, criterion for application of high-strength vertical stiffener is proposed.
        4,000원
        22.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량 바닥판 설계에 대한 현 시방규정은 바닥판 슬래브가 처짐이 구속된 거더에 연속 지지되어 있다고 가정하므로, 바닥판 지간 중앙의 정모멘트와 거더 상단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의 크기가 같은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바닥판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는 거더의 처짐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거더의 처짐을 고려치 않는 현 시방규정에 의해 설계된 바닥판은 상부철근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와 유지보수 비용 증가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매크로 요소를 이용해 거더의 처짐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해석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유한요소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이 해석법을 바탕으로 바닥판의 횡방향 휨모멘트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바닥판의 지점부 모멘트는 거더의 간격뿐만 아니라 거더와 바닥판의 휨강성비 교량의 길이, 하중의 재하위치, 거더의 비틀림 강성, 가로보의 휨강성과 배치 간격 등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영향선을 이용해 최대하중 위치를 결정하여 몇 개의 예제교량을 대상으로 지점부의 설계모멘트를 계산해 본 결과, 현 시방규정이 다소 보수적인 값을 나타내고 있다.
        4,300원
        23.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slam충격수 N(T)는 전부수선에서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며, N(T)=1인 위치가 제한점으로 되며, 제한점이 되는 위치이후에서는 충격의 영향을 고려치 않아도 무방할 것으로 고려된다. 2. 충격력을 고려한 수직제한깊이는 계획흘수의 1/10로 잡았고, 충격응력에 대해서는 고려된 단면위치에서 압력작용속도의 상이로 인하여, 각각의 단면위치에서 전부선저의 몰입높이에 따라 각각 추정되어야한다. 3. 주어진 단면에 대한 충격력은 압력을 수직한계 높이까지 girth를 따라 계산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4. 최대충격력은 전부의 선저판의 형상에 따라 그 작용위치가 달라질 수도 있다. 5. 최대충격력의 약 50% 정도의 힘이 전부선저판의 충격에 소비됨으로, 이는 전부선저판의 적정치수 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구조물은 부재를 볼트 연결이나 용접을 이용하여 분절 제작된 부재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볼트 연결된 강구조물의 경우 사용기간 증가에 따라 부분적인 볼트 풀림이나 볼트 이음판 및 볼트의 국부적 부식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거더 복부판에 설치된 볼트의 교체나 복부판의 부분 교체 시 발생할 수 있는 복부판 볼트 제거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강거더의 거동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강거더 실험체를 대상으로 복부판의 볼트 풀림에 따른 거동 변화를 평가 하였다. 다양한 풀림과정을 고려하였으며, 볼트 연결부에 작용하중 상태를 고려하여 볼트 풀림을 강거더 시험체 재하 상태에서 실시하고 그 영향을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26.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of curved orthogonal anisoropic bridge girder oblique plate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load test, and steel non - destructive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ess generated in the oblique plates is within 10% of the allowable stress and that the stress generated in the oblique plates in the actual traffic load state is very small and structurally safe.
        27.
        2019.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존 선로구조물의 대부분은 준공된 지 상당한 시일이 경과되어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이다. 특히 기존 철도교량 중 판형교는 상당수가 준공으로부터 40~60년 이상 경과된 노후교량이며 도상 없이 거더에 침목이 직결되어 있어서 차량의 주행하중이 교량에 직접 전달되므로 유도상 교량과 비교하여 교량에 가해지는 충격 및 소음이 클 뿐만 아니라 동적인 충격과 진동도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기존선 판형교에 대한 적절한 유지관리 및 보수, 보강기술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선 판형교의 성능개선과 소음, 진동 문제 해결을 위해 기개발된 레일매립궤도 시스템의 특징을 소개하고, 레일매립궤도의 진동 및 소음 저감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길이 5m 침목이 설치되어 있는 무도상 판형교와 레일매립궤도를 적용한 판형교를 제작하여 동일한 가진 조건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응답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에서 얻은 진동응답 데이터를 음향해석 모델의 입력데이터로 사용하여 방사소음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및 해석 결과 레일매립궤도를 적용한 판형교가 무도상 판형교 보다 진동에서는 15.0~18.8dB정도 감소하고 소음의 경우 평균 7.7dB(A)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8.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공용중인 철도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지하차도 등을 위한 공사의 임시 가설구조물 공법으로 하로판형교를 적용하고 있다. 이 러한 하로판형교 형태중 주형과 가로보를 일체화시켜 공사비 절감 및 공기의 단축을 통한 시공성을 향상 시킨 하로판형교를 지점부 일체형으로 개선하였다. 지점부 일체형 하로판형교에 적용하는 가로보는 통상 박스형상을 가지며 주거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측면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박스가로보의 복부판 중앙부 간격에 따른 변화에 대하여 플랜지 및 복부판에 작용하는 응력 및 변위에 관련한 형상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여 향후 지점부 일체형 가로보 하로판형교의 가로보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29.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ddresses to evaluate the reaction of bridge support in associate with analytical parameters of skew angle and radius of curvature in curved bridge, which results in the finding of weakest point in dynamic analysis.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reaction at the support of acute angle area located at inner side of curved bridge has the lowest value which means the possibility of negative reaction when seismic load happens.
        30.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recent days, many damages have been detected in superannuated bridges. Especially, the fatigue problems become serious in the maintenance of the bridge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load bearing capacity of the girder ends ability when some crack damages have occurred in the steel bridge. In this study, typical crack damages have dealt with analytically; one is the crack which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welding of the sole plate, the other is the crack which occurred in the vicinity of the gusset section of the web.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he relation between the load carrying capacity at the girder end and the crack length/direction is discussed. The crack occurred in the part which a tension field forms with cracks of steel girder on which shearing force acts in analysis in case a crack occurs, it turned out that reduction of ultimate shear strength is large.
        3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PC wall gird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s to enhance performance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strength, Load-displacement relation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under the monotonic load tests.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ecimens induced positive moment at connection was steel plate separation from concrete in SPC Wall.
        32.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PC wall gird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walls to enhance performance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strength, Load-displacement relation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under the cyclic load tests.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ecimens was steel plate separation from concrete in SPC Wall induction of tensile crack failure of SPC Wall concrete.
        33.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PC wall girder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PC walls to enhance performance of wall-wall girder connection. The fracture pattern of the SPC wall-wall girder connection was steel plate separation from concrete in SPC W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 analysis on fracture behavior of the SPC wall-wall girder connection under the monotonic load test inducing positive moment at connection. The Plastic hinge theory on steel plate of SPC wall girder is proposed to explain steel plate separation fracture pattern.
        34.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ucture analysis and field instrumentation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ause of crack taken place on a cover plate of a lower flange in plate-girder bridge. A cause of the crack turn out to be fatigue stress so that the bridge is in need of repair and reinforcement such as surface grinding, rewelding after gouging and reinforcement for a part of welding on a cover plate.
        35.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노면조도 및 교량과 차량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수치해석방법을 사용하여 도로교설계기준에 규정된 표준트럭 하중인 KL-510에 의한 강판형교의 동적응답을 연구하였다. 대상교량은 건설부에서 제정한 “도로교 상부구조 표준도”에 수록되어 있는 지간이 20m, 30m와 40m인 단순 강판형교를 사용하고. “보통의 도로”에 대하여 생성시킨 10개의 노면조도를 사용하였다. 차량은 5축 트랙터-트레일러인 표준트럭하중 KL-510을 3차원 차량으로 모델링하고, 교량은 주형을 보요소로, 콘크리트 바닥판은 쉘요소로, 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 사이는 Rigid Link를 사용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이와 같은 노면조도 및 차량을 사용하여 강판형교의 충격계수와 DLA를 구하고 각국의 설계기준과 비교 검토하였다.
        36.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ved girders show very complex behavior compare to straight girders because the torsional moments always act on the structure even if there are no additional loads except self-weight. For this reason, engineers need to consider torsional behavior when design or analyse structure. However, most of curved bridges are designed as a series of straight girders because design specification does not reflect the curved beam theory. In this paper, curved girders are analysed by FEA program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traight girders. Selecting the radius of curvature as a parameter, suitable analysis method for design of horizontally curved girder was suggested.
        37.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shear buckling behaviors of a web panel with local corrosion in a plate girder bridge were numerically examined because severe corrosion damage has been reported in plate girder bridges. The web corroded condition and boundary condition were chang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orrosion condition on the shear buckling behaviors of the web panel.
        38.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속교의 교대부와 교각부에 설치되는 받침 용량은 통상적으로 각 지점에 작용하는 최대수직반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교각부에 더 큰 용량의 받침이 위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격리장치가 적용된 세 가지 받침배치에 따른 사교의 지진거동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연속 사교의 지진성능 향상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기존 받침배치(Case A)를 기준으로 교각부에 설치되는 납고무받침(LRB)의 수평강성에 변화를 주어 세 가지 받침배치(Case A, Case B, Case C)를 선정하였다. 납고무받침 자체의 감쇠효과가 고려된 hybrid response spectrum을 이용한 응답스펙트럼 해석을 수행하여 총 36개의 연속 플레이트 거더 사교들의 지진거동을 조사하였다. 해석결과 교대부에 설치된 LRB와 유사한 수평강성 또는 작은 수평강성을 가진 LRB를 교각부에 설치할 때 훨씬 바람직한 사교의 지진거동이 유발되었다. 즉, 교각부에 설치되는 LRB의 수평강성 변화는 사교의 고유진동주기를 길게 하고 모드형상에 변화를 유발시켜 전체밑면전단력과 교각부에서의 최대밑면전단력 그리고 거더에 걸리는 응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비록 하부구조의 유연성이 증가할수록 받침배치 변경에 따른 지진거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다소 감소되지만, 10m 미만의 교각 높이를 가지면서 지진격리받침(LRB)이 설치된 연속 플레이트 거더 사교의 경우 제안된 받침배치는 지진성능 향상을 가져온다.
        39.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해석의 결과 내부 지점부 보강과 외부프리스트레싱의 도입이 일반 플레이트거더교의 단면보다 단면감소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외부프리스트레싱의 도입으로 얻은 솟음은 교량의 처짐을 감소시켜 사용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거더 개수 별 적용가능 단면을 도시 하였으며, 거더 개수가 4개일 경우에 한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해 회귀식을 제시함으로써 추후에 이와 같은 단면을 사용할 때 응력예측을 가능할 수 있게 하였다.
        40.
        200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LB-Deck 플레이트 합성 거더교의 최적설계에 관한 것이다. LB-Deck 플레이트 합성교의 최적화에 대한 문제는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식으로 이루어지고, 목적함수로는 LB-Deck 플레이트 System이 포함된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 거더 비용의 합으로 전체비용함수를 구성하였으며, 제약조건식은 도로교 시방 규정을 기준으로 유도하였다. 최적설계에 관한 최적화 알고리즘은 SUMT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지간장이 60m로 모두 같은 1경간, 2경간 및 3경간 LB-Deck 플레이트 합성 거더교와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강재 합성교에 대하여 1등교로 최적설계하고, 이를 수치적으로 상호 비교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조해석과 단면설계 및 최적설계를 동시에 수행하고, LB-Deck 플레이트의 거푸집 역할에 의한 시공성과 프리캐스트 부재에 의한 안정성 및 최적설계에 의한 경제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