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

        21.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矯導所내에 치료공동체적 접근법(Therapeutic Community Approach)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에 대해 평가해 보고, 보다 적합한 치료적 介入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영등포와 전남장흥교도소의 마약관련 재소자들 중 일년 미만 육개월 이상의 재소기간을 남긴 자로 제한하였으며, 실험통제집단 전후비교설계를 사용하였다. 즉 본 연구에 동의한 대상자 80명 중 무작위로 40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40명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하여 6개월에 걸쳐 치료공동체적 접근법을 적용한 집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개별상담을 원한다면 별도의 시간을 배정하여 개별 상담의 시간을 가졌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려한 요인으로는 단약관련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인식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치료공동체적 접근이 藥物中毒者의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인식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즉,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프로그램 참가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비교하여 藥物사용과 관련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약물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과 문제상황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能力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하여 치료공동체적 접근법의 효과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치료모델을 개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7,700원
        22.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Wonju Public Health Center from Jan. 2000 to Dec. 2002. Ninety-four persons with disabilities dwelling in the community participated and the surveys were completed in an interview during home visits. The respondent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rehabilitation service received, willingness to receive home-visit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the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 Likert scoring system consisting of five agreement-disagreement categories was applied to each item, consisting of Very Satisfied, Satisfied, So-So, Poorly Satisfied, and Very Poorly Satisfi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sed included medical rehabilitation (26.9%),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23.5%), diagnosis by a physician at home (17.3%), medical examination (12.3%), housekeeping services (6.2%), and vocational and educational rehabilitation (3.5%). 2) Of the medical services, the respondents desired physical therapy at home and free rental of rehabilitation equipment, such as wheelchairs, canes, walkers, the most, followed by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nursing services, and oriental medicine service in descending order. 3) Som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so-so satisfaction (50.0%) or dissatisfaction (16.9%) with the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Wonju Public Health Center. These findings should prove useful when planning or extendin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homebound disabled in the community.
        5,500원
        23.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스포츠 손상 선수의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최소 8주 이상의 재활 기간이 남아있는 D 대학교 야구팀 손상 선수 1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요구분석 자료,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긍정 심리 프로그램(오리엔테이션, 음미하기, 감사하기, 강점 찾기, 주의집중력, 루틴, 희망 고취하기, 종결)은 주 1-2회, 50∼6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검사지(PANAS), 자아존중감 검사지(RSE), 행복 검사지(Happiness measures), 재활 능력 검사지(RCQ)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 평가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결과: 양적 검증 결과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스포츠 손상 선수의 긍정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 감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검증 결과는 긍정 심리 프로그램 구성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지지해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긍정 심리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2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조물의 내진보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하는 기관이나 사람은 내진구조 비전공자로 효과적으로 내진보강사업을 발주 및 관리, 감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분석적 계층화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강대상 건축물의 내진보강공법 우선순위를 제안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담당자는 구조물별, 내진성능 부족요인 별 최적의 내진보강공법을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5.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on the emotion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mental disorders, an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ing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as a mental rehabilitation service to promote the soci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In this study, 20 patients diagnosed as chronic mental disorder at Seoul Metropolitan E hospital and 22 as acute mental disorder at Incheon H hospital were divided into 2 groups for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HOT) and Group occupational therapy (GOT). General occupational therapy was provided 4 times a week for the experimental groups of patients with chronic and acute mental disorders, and a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healing garden was provided only once a week, a total of 12 sessi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s. For the control groups of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mental disorders, occupational therapy was provided 5 times a week only. Among the acute mental disorder patients,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and emotional stress scale (ES),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n’t (p<.001). On the other hand, such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seen among the chronic GOT. Futhermore, the chronic HOT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in physical stress scale (PSE).
        29.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 재활에 있어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일상생활 움직임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일상생활동작평가에서 하위 모든 영역에서 평가 점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일상생활 움직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머리와 손의 협응 능력과 관련이 깊은 식사 능력과 사회참여와의 연관성이 높은 대화 능력에서 많은 향상이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김동훈(2011), 이민정(2010), 김순덕(200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로 인해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재활에 미치는 영향은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하였으며 또한 정서적 안정과 대인관계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문적이고 구조화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적장애인의 일상생활동작의 기능을 재활시키고 남에게 의존하지 안의며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통합적으로 신체적 능력의 향상을 기대해 본다.
        33.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자주 다루지 못한 대학에 재학중인 지적장애 재활전공 학생그룹을 대상으로 한 것에 의미가 있으며 원예재활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위해 대상자의 만족 성향이 원예재활 관련 전문 직업 프로그램의 참여의지와 직업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 향후 직업재활로서 원예재활이 융복합적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데 기초자료를 구축한 것에 또 하나의 의미를 둘 수 있다. 또한 원예재활사와 원에재활 보조사로 활동할 수 있는 지적장애 학생그룹과 원예 관련 대학생 그룹간의 차이도 비교분석 하였다. 이것은 일반 프로그램과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보조 프로그램의 단계별 차별화가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비교 분석한 것으로 식물심기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두 그룹간의 유의성이 나타남으로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그룹과 일반학생을 나누어 난이도를 차별화한 프로그램으로 개발해야 함을 파악 할 수 있었다. 또 지적장애이면서 대학에 진학한 본 연구대상자 그룹은 심리적인 특성과 지적 성취 정도가 일반 장애그룹과는 달리 원예를 비롯한 각종 사무직과 사서직, 돌봄 등의 직업에 관심을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으나 개인별로 선호와 관심 정도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원예활동에서의 공통된 특성은 지적장애 학생의 경우 이론과 노작을 통한 원예 접근 보다는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만들기, 꾸미기형 원예 프로그램이 가장 많은 집중과 관심도가 나타나므로 이러한 흥미가 직업관련 교육프로그램 접근요소에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본 연구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지적장애 대학생으로 원예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로 진로모색을 하는 대상자들에게 맞는 원예재활 프로그램은 장식적인 원예 프로그램이 직업에 대한 관심과 접근성을 높이는데 가장 영향을 줌으로 이 점이 프로그램 구성 지침에 반영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후 실제 원예재활 직업프로그램 실행을 위하여는 개인별 적응도와 작업수행 평가 등을 실시하여 원예 재활관련 직업 적합도를 대상자 특성과 연관하여 단계별로 매뉴얼화하고 교육의 전과 후의 적응도의 차이 등을 연구함으로 직업재활분야에 원예재활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정착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40.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dexterity and adaptive behavior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y be opportunities to improve physical integration, coordination, and dexterity, resolve anxiety and stress and set up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making a better human life. Also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of vocaitonal rehabilitation. To perform the study, the subjects consisted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the B School, Bucheon. Maximizing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horticultural programs were applied to them for 44 sessions, 3 sessions per week and 50 to 60 minutes each session and limited to smal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purdue pegboard test, adaptive behavior scale, and psychoscial and emotional behavior test to determine their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Based on results form the test and analysis, the research could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physical dexterity, especially both hands and assemble. Also,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benefit to elevating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s adaptive ability, especially psychoscial behavior. In summar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improved the dexterity and adaptive bahavior for occupational adaptive skill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juvenile in horticultural field is expecte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