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7

        21.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understand microhabitat distribution of insect pes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imely management tactics. We investigated within plant distribution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eggs and its’ parasitism by egg parasitoids such as Ooencyrtus nezarae Ishii (Hymenoptera: Encyrtidae) in soybean fields. Sampling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most preferred oviposition site (upper leaf surface, under leaf surface, pod and stem) in different varieties of soybean (Daewon, Cheongja, Taegwang, Daepung, Seomoktae, Seoritae) in Andong, 2007 and 2008. Parasitism was recorded only in 2008. In seasonal total, proportion of R. clavatus eggs deposited within soybean plant was significantly higher on under leaf surface (70-97%) followed by upper leaf surface, pod, and stem (2-29%, 0-8% and 0-2%, respectively) depending on varieties of soybean. In seasonal total, parasitism rate by O. nezarae wa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eggs collected from under leaf surface (61%) followed by eggs collected from upper surface of the leaves (43%), pods (7%) and stem (33%). In conclusion, R. clavatus prefer upper leaf surface the most as a oviposition substrate in soybean, and highest parasitism by O. nezarae on the host eggs was also found on upper leaf surface.
        2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in forecasting populations of R. clavatus in soybean fields using pheromone. The most effective pheromone trap type and height in forecasting populations of R. clavatus were fish trap and 60 ㎝ above ground. Ratio of R. clavatus adults female and male in soybean field was 1.5 to 1 and Piezodorus hybneri was also attracted to the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R. clavatus. Attractiveness of two stink bug species caught on synthesis pheromone of R. clavatus was surveyed with imported production and synthesized production. Imported pheromone attracted only adult of R. clavatus, but synthesized pheromone attracted both adult of R. clavatus and P. hybneri. Change of population of R. clavatus was observed using pheromone trap and sweeping method in soybean field. Adults of R. clavatus occurred from early August and the population reached its peak in early September when pheromone trap was used. In case of sweeping method, its fluctuation pattern was similar to that of pheromone trap.
        4,000원
        2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e adult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release aggregation pheromone (AP) which consists of (E)-2-hexenyl (Z)-3-hexenoate (E2HZ3H), (E)-2-hexenyl (E)-2-hexenoate (E2HE2H), and tetradecyl isobutyrate (TI). Variation in the pheromonal secretion were checked by the factors of age, mating status, seasons, body weight and time in a da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s of AP secretion by mating, body weight, and time in a day. Higher amount of AP was detected from older males than younger ones. The amount of AP detected was higher in the males collected from April to September than in those collected during October. No AP was detected in the males of November and December. These phenomena in the AP secretion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food exploitation and reproductive diapause of the bean bug.
        4,000원
        2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airomonal activity of the aggregation pheromones of Riptortus clavatus for the egg parasitoid, Gryon japonicum , were investigated in soybean field. The parasitism rate of G. japonicum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distances between pheromone traps and egg sites were increased from 0 to 15 m. The active distance of pheromone source for parasitoid attraction was estimated to be ca. 15 m. Under field conditions, the parasitoid wasp population peaked during the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and the parasitism rate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pheromone traps was increased from one to three per 165 ㎡. However, insecticide-treated plots, the level of parasitism recorded is relatively low. Sex ratios in field populations of G. japonicum were female-biased.
        4,000원
        2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o sites on a plant and within a field, to plant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and to different leguminous germplasms was observed. The insect layed its eggs mainly on the back surface of leaf in the upper half of plant in both observation from oviposition cage and soybean field. The egg number in fields were observed at a statistically-same rate in marginal and inside area, and at a median value of one egg per leaf in oviposited leaves. Full seed stage of soybean hardly affected oviposition preference of the insect. A statistically-significant difference in oviposition to different leguminous germplasms was observed.
        4,000원
        26.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가, 청자, 대원의 세 가지 콩 품종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육과 생식이 미치는 영향을 실내에서 비교하였고, 또한 이 세 가지 품종 간에 야외 발생소장을 비교하였다. 실내 실험에서 약충의 발육기간은 아가, 청자, 대원콩에서 각각 평균 14.5, 14.0, 14.6일이였고, 약충의 사망률은 각각 40.0, 51.3, 55.7%였다. 발육기간에서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지만, 사망률에서는 아가콩에서 유의하게 다른 두 품종보다 낮았다. 성충의 생식능력으로 7일 동안 암컷이 산란한 알의 총 개수의 평균은 각각 67.8, 68.0, 67.7개였으며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야외조사는 안동시 풍산면 소재 친환경 인증 포장에서 아가, 청자, 대원을 각각 3반복의 라틴방각법으로 배치하여 재배하였다. 7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8회 동안 알, 약충, 성충의 수를 각 처리구에서 임의로 30주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전체 동안 발생 수는 알의 개수가 아가, 청자, 대원콩에서 각각 평균 18.3, 23.0, 23.7개, 약충은 각각 평균 8.0, 11.3, 17.3마리, 성충은 각각 평균 7.3, 21.3, 15.7마리가 조사되었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알과 약충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성충은 아가에서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새로운 품종인 아가콩은 다른 두 품종에 비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유충 생존율을 높였지만 성충의 발생은 다른 두 품종에 비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27.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isolate plant insecticidal factors, a series of survivorship tests were conducted using artificial diets mixed with seed extract of a mungbean variety (Vigna radiata), which gave a high mortality to the bean bug, Riptortus clavatus. Seed flour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ethanol solutions, and then the crude extract was first fractionated with layers of ether, n-butanol and water in solvent/solvent partition. Layers of ether and n-butanol fractions showed insecticidal effects to the bean bug, respectively. The n-butanol fraction was further isolated with several fractions on a reversed-phase column chromatography, and its 100% methanol fraction showed a high insecticidal effect. The fraction was further isolated on a normal-phase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 70% meth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effect. The final fraction was analyzed and fractionated on a reversed-phase HPLC. The active isolates were almost insoluble in any organic solvents and did not show any absorption in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wavelength range. On the other hand, the ether fraction of crude extract was isolated on a normal phase column chromatography, and its hexane fraction showed the activity. The hexane fraction was further isolated on a reversed-phase HPLC and tested for the survivorship of the bean bug.
        2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oencyrtus nezarae Ishii (Hymenoptera: Encyrtidae) is a gregarious egg parasitoid of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nd also attack three other stink bugs in soybean fields. In a previous study the refrigerated R. clavatus eggs were supplemented in soybean fields and found to enhance the parasitism by Gryon japonicum (Hymenoptera: Scelionidae), a sympatric solitary parasitoid of R. clavatus, but not by O. nezarae. Therefore, the R. clavatus eggs refrigerated for 0, 15, 30, 60 and 120 days were evaluated for the parasitization by O. nezarae in the laboratory. The number of parasitized host eggs, number of adult parasitoids emerged, immature mortality, sex ratio, development time, adult longevity, and size of the parasitoids were examined for the parasitoids exposed to or emerged from the refrigerated host eggs. All the attributes examined were not affected by the refrigeration of host eggs for up to 60 days. In addition, refrigeration did not change the reproduction capacity of the emerged adult parasitoids nor the biological attributes of their offsprings. In the evaluation of post-refrigeration period of the host eggs, O. nezarae parasitized the eggs successfully for the first 4 days after the refrigeration at 26.3ºC and 78.7% RH conditions. Since O. nezarae can parasitize the eggs of R. clavatus that were refrigerated up to 60 days, the underlying reason for the no-change in parasitism by O. nezarae in the field supplemented with refrigerated host eggs is in further investigation.
        2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hymenopteran egg parasitoid species, Gryon japonicum (Ashmead) (Scelionidae) and Ooencyrtus nezarae Ishii (Encyrtidae), were emerged from egg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The former parasitoid is first recorded in Korea. Brief morph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rasitism on R. clavatus eggs are described.
        4,000원
        30.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the surveys of 2005 and 2006 in Korea, Trissolcus nigripedius was found in four locations, i.e., Andong, Miryang, Namhae, and Suwon, and one of the major egg parasitoids of Dolycoris baccarum. T nigripedius was also found to parasitize two other soybean bugs, Riptortus clavatus and Piezodorus hybneri, from the field collection in 2005. Host acceptance behaviors of T. nigripedius consisting of drumming, oviposition, and marking were observed and compared on five species of soybean bugs. T. nigripedius showed the complete host acceptance behaviors on the eggs of D. baccarum, P. hybneri, and Halyomorpha halys. But T. nigripedius emerged only from the eggs of D. baccarum (96%) and P. hybneri (75%) after 24 hours of exposure. T. nigripedius did not mark on the eggs of R. clavatus and Nezara antennata during the observation of behavior, hence no egg deposition was made. However, T. nigripedius parasitized 20% and killed 30% of the eggs of R. clavatus when 24 hours were given for parasitization. T. nigripedius would be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of D. baccarum and P. hybneri with ability of giving additional mortality on R. clavatus in soybean field.
        4,000원
        31.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food source in aggregation pheromone trap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was evaluated in terms of the trap attractiveness using water-pan and cylinder-type traps. Water-pan trap baited with pheromone+food (dried soybean+dried peanut+water) attracted significantly more number of females and males than those with pheromone or control trap. Although cylinder-type trap baited with pheromone+food did not show significantly higher attractiveness, it attracted more adults and nymphs than the pheromone and control traps.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trap types on attractiveness is needed.
        3,000원
        32.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생식생장 단계별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접종하거나, 침으로 꼬투리를 치르는 인위적 가해를 통해 콩 종자 피해를 조사하였다. 착협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리재 성충을 섭식시켰을 때, 빈 꼬투리와 종자로 전혀 발육하지 못한 판형종자의 생성비율이 종실비대성기에서의 가해보다 높은 것이 관찰되었다. 종실비대성기에 섭식시켰을 때는 종자모양은 거의 정상적이나 종피에 피해흔적이 뚜렷한 종자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종자모양이 많이 변형되거나 불완전하게 성숙한 기형종자의 비율은 처리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다른 종자형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착협시 피해에서 생성된 판 종자의 83%, 종실비대성기에 생성된 피해흔적이 있는 종자의 91%에서 종자 표면 위에 실험곤충의 빨대피막이 관찰되었다. 개화기 섭식은 피해종자 생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았다. 종실비대성기와 성숙기에 침을 이용하여 콩 꼬투리를 찔러 물리적인 가해를 하였을 때, 수확기에 건전한 종자들을 발견할 수 없었고, 피해gms적이 있는 종자의 비율이 기형종자 보다 많았다. 종실비대성기에 침으로 찌른 회수가 많은 경우 판형종자와 기형종자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피해흔적 종자 비율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는데 무게감소 비율은 적게 찌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켰다. 그러나 성숙기 인위적 가해에서는 수확종자의 무게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3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망사시험관을 이용하여 20, 24, 28 및 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 및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부화율은 에서 100%였으며, 이 온도에서 멀어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졌다. 난기간은 에서 7일 이었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날기간이 길어져 에서 16.7일이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일로 가장 짧았으며, 영기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점점 길어져 5령에서 일로 가장 길었다. 약충기간은 20, 24, 28 및 에서 각각 38, 30, 23 및 18일 이었다. 우화율은 20, 24, 28 및 32에서 16, 41, 72 및 68% 이었다. 암컷 및 수컷성충의 수명은 에서 각각 63 및 60일로 가장 길었고, 에서 각각 20 및 19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전기간은 에서 11일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짧아져 에서 5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수는 에서 67개로 가장 많았고, 에서 21개로 가장 적었다. 발육임계온도는 알의 경우 였고, 1, 2, 3, 4 및 5령충은 각각 9.3, 12.7, 10.0, 11.0 및 였다.
        4,000원
        34.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계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주가 없는 경상대학교 캠퍼스(경남 진주시)와 기주인 콩이 재배되고 있는 포장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발생양상을 비교하였다. 콩포장에서는 개화기 이전(6월 28일)부터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10월 11일 이후에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에서는 3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혀 유인되지 않다가 10월 11일 이후부터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가로줄노린재의 암수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밀도로 콩 포장에서 유인된다는 것은 이 해충이 기주인 콩을 찾아 적극적으로 이동한 결과로 생각된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10월 이후에 유인되는 성충은 월동처를 찾아 이동하는 성충으로 판단되었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총 유인된 암수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콩 포장에서 6월부터 11월 하순까지 트랩에 유인되었기 때문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가로줄노린재의 비휴면성충과 휴면성충 모두에 유인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의 세 성분인 (E)-2-hexenyl (Z)-3-hexenoate, (E)-2-hexenyl (E)-2-hexenoate, 및 myristyl isobutyrate를 16.7+16.7+16.7 mg 또는 7+36+7 mg으로 배합했을 때,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수는 무처리나 생충트랩보다 많았고, 두 배합성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000원
        35.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경남지방의 대학교 캠퍼스와 콩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연중 발생소장과 난소발육을 조사하였다. 대학 캠퍼스에서 들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년간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제1세대 성충은 7월 상순8월 상순까지, 제2세대 성충은 8월 중순9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제3세대 성충은 10월 상순11월 중순에 발생하는데 난소내에 난이 없는 상태로 성충휴면에 들어가 이듬해 3월 하순부터 활동을 재개하였다. 월동 후 암컷성충의 난소에서 성숙란이 처음으로 관찰되는 시기는 5월 전반기였다. 콩포장(5월 23일 파종)에서는 8월 상순9월 중순, 10월 중순11월 중순의 2회의 뚜렷한 유살시기가 있었다. 이 두 시기는 대학 캠퍼스에서의 제2, 3세대의 유살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36.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진주의 콩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사용하여 난기 생봉인 Ooencyrtus nerarae(Hymenoptera: Encyrtidae)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 설치된 트랩에 유살된 암컷의 수는 수컷 유살수의 317.5배와 103.4배이었고, 2004년 콩포장에서는 12.6배이었다. 콩포장에서 O. nezarae의 암컷은 8월 하순부터 유살되기 시작하여 9월 20일 전후에 가장 많이 유살되었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서는 8월 중하순부터 밀도가 증가하여 9월 상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지역에서 모두 10월 이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세 성분, 즉 (E)-2-hexenyl (Z)-3-hexenoate(E2HZ3H)와 (E)-2-hexenyl (E)-2-hexenoate(E2HE2H) 및 myristyl isobutyrate(MI) 중에서 E2HZ3H 만이 O. nerarae에 대해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E2HZ3H:E2HE2H:MI를 7:36:7로 배합한 것보다는 20:20:10이나 16.7:16.7:16.7으로 배합한 트랩에 더 많은 수가 유인되었는데, 이는 배합된 E2HZ3H의 량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