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analyzes economic efficiency of strawberries and tomatoes farm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e examine how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farm size affect overall efficiency (OE), allocative efficiency (AE), and technological efficiency (TE). We also survey sample farm households from the Farm Income Investigation database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o investigate management and cultivation techniques and to analyze economic efficiency by techniqu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fficiency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2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Linear Approximated Inverse Almost Ideal Demand System, suggested by Eales and Unnevehr, is estimated with monthly data set of Korean fruits consumption. LA/IAIDS consists of 6 demand equations which correspond to domestically produced Hanrabong, overwintering mandarin, strawberry, melon and tomato with imported or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price and scale flexibilities are negative, as expected. And the significance is that a 10% increase in imported orange quantity is associated with 5.5% declines in the price of Korean Hanrabong while the price of other fruits is minimally affected. In addition, the estimate of scale flexibility of Hanrabong (-2.96) is much smaller than any other fruit. Hanrabong farmer might be in the face of deficit oper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substitution effect if orange would be im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25.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상용 중인 과일 및 채소로부터 췌장베타세포 보호활성을 가지는 추출물의 식물 자원을 탐색해보고자 수행되었다. Alloxan에 대한 총 13종의 과일・채소 추출물에 대한 효과를 햄스터췌장베타세포주(HIT-T15)를 배양한 후 세포생존율, LDH 방출량, NAD+/NADH ratio, 인슐린 분비량 및 4종의 항산화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13종의 과일・채소 추출물은 alloxan에 의해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마늘종(Allium sativum) 등의 11종의 시료는 alloxan에 의해 증가된 LDH 방출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산수유(Cornus officinalis) 등의 9종의 시료는 alloxan에 의해 감소된 NAD+/NADH ratio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또한 3종의 추출물인 마늘종(Allium sativum), 산수유(Cornus officinalis)와 고들빼기(Yongjia sonchifolia) 추출물은 인슐린 분비능을 보호하였고 깻잎 등 5종의 시료는 SOD, GST, GR 및 GPx와 같은 항산화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과일・채소 추출물은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 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마늘종(Allium sativum), 산수유(Cornus officinalis), 자두(Prunus salicina),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및 고들빼기(Yongjia sonchifolia)와 같은 5종의 추출물이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췌장베타세포의 손상을 억제하는 기능성 식품 등의 개발에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26.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tal phenolic content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y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29 fruits and vegetables were determin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plum (1.06 mg GAE/g fresh weight) and cherry (0.95 mg GAE/g fresh weight) were high, whereas those of banana, carrot, and cucumber (each at 0.07 mg GAE/g fresh weight) were low. I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ssay, apple mango extract showed the highest value(92.8%) among the 29 ethanol extracts tested, followed by paprika (75.4%), beet (75.3%), and cherry (75.1%). In the inhibition assay, cherry (34.95% inhibition) and grape (31.03%)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among the 29 fruits and vegetables examined.
        27.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산화염소수 발생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생성원료인 농도(0.01-0.1%)와 gas 투입량(100-1,000 g/hr)에 따른 chlorite, chlorate, FAC 및 chlorine dioxide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Chlorate, FAC 및 chloride dioxide 생성량은 및 투입량이 증가할 수록 생성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염소수 최적 생성조건은 0.1% , 900 g/hr gas 농도였으며 발
        28.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이들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6종의 엽채류 및 4종의 과채류를 대상으로,재배유형(재래농법 및 유기농법)및 유통 경로 (대형마트 및 유기농전문점)에 따른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을 선택 감별배지, 자동 세균 동정 시스템, 현미경 관찰로 조사하였다. 수세하지 않은 농산물에 부착한 세균 집락 수는 농산물 균질액 1 mL(농산물 0.1 g) 당 범
        29.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과채류 152건을 대상으로 아황산염류의 자연함유량과 인위적인 사용실태를 비교하기 위하여 모니어-윌리암스 변법을 사용하여 이산화황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가공하지 않은 14품목 42건에 대한 이산화황 분석결과 평균검출범위는 이었으며, 각 품목별 평균으로는 무가 8.97 mg/kg으로 가장 높았고 양파가 8.04 mg/kg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공한 23품목 110 건에 대한 이산화황 평균분석결과 검출범위는 이었으며,
        30.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thocyanin 색소원(자색고구마, 꽃양배추, 적양배추, 포도, 흑미, 가지, 무화과)의 색가를 조사하고 이들 중 색가가 높은 자색고구마, 꽃양배추, 적양배추 및 포도과피를 선정하여 이들 색소의 안정성에 미치는 금속이온, ascorbic acid, 자외선 및 가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와 포도과피의 색소는 에 의해 색소의 안정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었으며, 적양배추와 꽃양배추 색소는 모두 이온에 의해 안정성이 가장 크게 저하되었다.
        31.
        199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umerous variables affect product cooling rate of pressure cooling system for fruits and vegetables. These include carton vent area, initial and desired final product temperatur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product size, shape and thermal properties and product configuration(whether in bulk or packed in shipping cart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ach of these variables as they affect cooling time. The opening ratio and number of the vent hole were recomended as 4∼10% and 2∼4ea., respectively, for a minimum alt flow resistance and for a uniform air flow pattern. In the cooling experiment for tomatoes and mandarins, optimum air flow rate was 0.04 m3/min.kg in terms of energy saving. The cooling air temperature should be about 2 less than the desired final product temperature for reducing cooling time.
        34.
        199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bactericides and fungicides against fruit & vegetable decay grapefruit seed extract(GFSE) was tested in a dilution solution. GFSE was shown to be effective against decay and rind breakdown and to extend the shelf-life of fruits and vegetables during storage and tiansport. Antimicrobial efficiency of GFSE on a wide spectra of gram + & - bacteria, moulds and yeasts was demonstrated by the measurement of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performed (Bacteria 10-500ppm, Fungi:250-1,000ppm, Yeasts:100-250ppm). GFSE was separated and extracted into water-soluble fraction, water-insoluble and non-dialyzed fraction to isolate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The water-soluble fraction showed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effect.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were isolated by gas chromatography. As the result of the isolation using GC, Peak-D was found to be the antimicrobial compound in GFSE. The identification of the most antimicrobial substance was carried out by using GC-M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