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xtracts of Cyrtomium fortunei J.Sm. (CFJ)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inflammation in mouse BV-2 microglial cells.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cell viability were measured using the Griess reagent and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cted by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in BV-2 microglial cells with and without CFJ extracts. Subsequentl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antioxidant markers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FJ extrac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 and IL-1) and NO in BV-2 microglial cells that were stimulated with LPS.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phosphorylation of the MAPK family (p38, c-Jun N-terminal kinases [JNK], and extracellularsignal regulated kinase [ERK]) were reduced by CFJ. Also, treatment with CFJ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type 1(SOD1) and Catalase in BV-2 microglial cells. Our results indicate that CFJ has a potent suppressive effect on the pro-inflammatory responses of activated BV-2 microglia. Therefore, CFJ has the potential to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as it can inhibit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activated BV-2 microglial cells.
        4,000원
        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나리 수확 후 처리환경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4개 지역의 미나리 재배농가 9곳을 선정하였다. 미나리 재배농가로부터 다양한 시료를 채취 하여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 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9개 농가의 재배환경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0~7.00, 0~4.25 log CFU/g, mL,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E. coli)은 몇몇 농가의 토양, 관개용수, 세척수 및 작업자의 손에서 양성 반응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반응이 관찰된 농가의 경우 작물인 미나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다. 병원성 미생물 중 B. cereus는 토양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한 농가의 미나리를 제외한 모든 농가의 세척 후 미나리에서 평균 1.2 log CFU/g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세척 후 미나리에서 한 건 정성적으로 검출되었으며, 이외에 다른 병원성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미나리의 경우 손질 및 세척 후에도 오염도가 유사하거나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미나리 생산농가의 수확 후 처리 시설 및 작업자에 의해 미생물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안전성이 확보된 미나리 생산을 위해서는 GAP와 같은 관리제도의 적용이 필요하다.
        4,000원
        4.
        198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loroform:methanol {2:1(v/v)} 추출(抽出)한 참깨기름에 무색(無色), 청색(靑色), 적색투명(赤色透明) 셀로판 필름으로 덮개를 한 실험구(寶驗區)에는 시료(試料)무게에 대(對)하여 각각(各各) 0.02%의 BHA와 BHT를 첨가(添加)하여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하루에 4시간(時間)동안 조사(照射)시켰을 때의 이들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carbonyl가(價), TBA가(價),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통(通)해 관찰(觀察)하였다. 항산화제첨가구(抗酸化劑添加區)의 경우(境遇) BHT가 BHA보다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가 컸으며 BHT나 BHA 모두 조사일수(照射日數)가 경과(經過)할수록 그 효과(效果)는 감소(減少)하였다.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은 강(强)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적색(赤色)이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보다 강(强)한 효과(效果)를 보였다. 이는 적색(赤色)이 청색(靑色)보다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적색(赤色),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과 BHA, BHT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이 BHA나 BHT 보다 저장초기(貯藏初期)부터 지속적(持續的)인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다. 추출(抽出) 직후(直後)의 참깨기름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주로 oleic acid (37.7%), linoleic acid(43.4%)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착색(着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을 덮은 시료(試料)를 하루 4시간(時間)씩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10일(日)동안 조사(照射)시킨 후(後)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살펴본 결과(結果) oleic acid의 함량(含量)이 control의 경우(境遇) 1.7%, 청색(靑色)은 0.6%, 적색(赤色)은 0.2%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으며 linoleic acid는 control이 4.3%, 청색(靑色)이 4.2%, 적색(赤色)은 2.1%씩 감소(減少)하였다.
        4,000원
        5.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장치형 시설의 하나인 상향류식 여과시스템을 활용하여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초기강우유출수의 처리성능을 평가하였다. 해당유역은 면적이 80ha인 구시가지로서 합류식과 분류식이 혼재하는 관망형태를 가지고 있다. 유역의 포장율이 높고 거의 전량 하수관거를 통해 유출되어 유출시간이 매우 짧아 강우개시 후 단시간내에 초기강우수의 유출이 종료되는 특징이 있다. 설치된 시설은 4000m3/hr규모이고 상향류식 여과시설이며 제외지의 지하에 설치되어 있다. 여과부는 펠렛형 섬모상여재가 충진되어 오염물질 중 미세한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이도록 하였고, 매 강우 종료 후 역세척을 수행하여 여재층에 억류된 오염물질이 세척되어 다음 강우를 대비할 수 있도록 운전되었다. 시설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과 여과시설을 통한 처리효율을 검증하기 위해서 강우개시직후부터 초기우수유출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일정 간격으로 유입수와 처리수를 채수하여 수질을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의 유량이나 농도는 강우강도와 선행미강우일수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초기강우유출은 대체로 1시간이내에 종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과형 시설을 통한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은 원수의 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SS의 경우 40mg/L까지 처리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강우유출이 종료된 후에는 강우유출수의 농도가 낮아져서 별도의 처리없이 활용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의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향후 꾸준한 유출특성분석과 처리성능분석을 통하여 적정 역세척방법과 적정 운전시간 등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6.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trawberries are among the leading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that have superior taste and nutrition. Thus, consumer concerns about the safety of eating strawberries are growing. To evaluate the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according to their cultivation methods (nutriculture, pesticide-free culture and organic farming) and parts [fruit (flesh), stalk (pedunle) and leaf (calyx)], 1,020 parts of strawberry samples were collected at 12 farms in Nonsan-si and quantitatively or qualitatively examined for the indicators of food safety and food poisoning bacteria.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unt in the whole samples was 2.3~6.8 log10 CFU/g, and coliform bacteria were detected in 14.2% of the whole samples with a contamination level range of 2.1~4.5 log CFU/g. E. coli were detected in 0.9% of the whole samples with a contamination level range of 2.1~2.8 log CFU/g. The analysis of the bacterial level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methods showed that the total aerobic bacteria and coliform counts were higher in the strawberries that were grown via organic farming than in those that were grown via nutriculture and pesticide-free culture. However, the E. coli counts of the strawberries that were grown via organic farming and via pesticide-free culture were similar and differed from that of the strawberries that were grown via nutriculture. The analysis of the contamination levels according to the parts of the strawberries showed that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and E. coli counts of the fruits, stalks and leaves of the strawberri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Staphylococcus aureus was detected in two organically grown strawberries, but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and E. coli O157:H7 were not detected in the whole sampl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of the strawberries differed based on their cultivation methods. Thus, a suitable method of reducing the bacterial contamination levels of strawberries according to their farming methods is needed
        7.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irutin-added alcohol fermentation of citrus hydrolysates were investigated to produce functionally improved citrus wine. The pH of narirutin-added citrus wine ranged from 3.38 to 3.51, and the titratable acidity was about 0.55% which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the narirutin quantity. With regard to the color and brown color, with the addition of more narirutin, the a value was decreased while the b value and brown color increased. The sugar content decreased from 24 to 8.0-8.5 ˚Brix after alcohol fermentation, and the alcohol content appeared to be between 14.5 and 14.6% in all the sections. For the free sugar contents, the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in every section. F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t was shown to increase when more narirutin was added. and the 2%-narirutin-added section showed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46.44 mg%).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were that the color, flavor and bitterness increased while the sweet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reduced by the additional narirutin. Functionally improved citrus wine can be produced by using narirutin, but more researches regarding quality improve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overcome the bitterness.
        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감귤 가수분해물에 각각의 당(설탕,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으로 보당하여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함량은 모든 보당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특히 설탕 보당구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감귤와인의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및 malic acid로 총 3종이 검
        9.
        2011.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파프리카(Capsicum annuum var. angulosum)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농산물로서 지속적인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다. 지금까지 수출과채류의 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수출 농산물인 파프리카를 대상으로 미생물오염실태를 모니터링하고, 보관온도에 따른 세균오염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파프리카의 평균 총호 기성균 수는 log CFU/g이었으며, 대장균군은
        10.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참다래 식초 개발을 위하여 초산발효 조건 및 올리고당 첨가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기알코올 농도 6%, 초기산도 1%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켰을 때 총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올리고당 첨가에 따른 영향에서 총산은 올리고당 15% 첨가구에서 5.03%로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참다래 식초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가 확인되었으며 총 유리당은 올리고당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11.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이들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6종의 엽채류 및 4종의 과채류를 대상으로,재배유형(재래농법 및 유기농법)및 유통 경로 (대형마트 및 유기농전문점)에 따른 세균 및 기생충의 오염을 선택 감별배지, 자동 세균 동정 시스템, 현미경 관찰로 조사하였다. 수세하지 않은 농산물에 부착한 세균 집락 수는 농산물 균질액 1 mL(농산물 0.1 g) 당 범
        12.
        200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다래 술(발효주, 리큐르)을 요리용 맛술로 활용하고자 고등어조림과 쇠고기 연육에 처리하여 대한 관능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효소 활성은 참다래 발효주와 참다래 리큐르 각각 91.02와 87.56%로 높게 나타났다. TMA함량은 무첨가구의 고등어조림에서 6.60 mg%로 나타났고, 발효주와 리큐르를 첨가하여 고등어조림을 조리하였을 때 각각 4.80과 5.79 mg%로 나타났다. 고등어조림의 관능검사에서는 참다래 발효주와 리큐르 첨가구간이
        13.
        200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다래 리큐르 제조를 위한 최적 침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참다래를 절편하지 않은 완숙과와 절편구간으로 나누어 45% 주정으로 침출하여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절편하지 않은 완숙과는 8주, 절편구간은 4주간 침출시킨 구간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침출과정에서 당도, pH 및 총산도의 변화는 거의 없었고, methanol과 acetaldehyde의 함량은 절편하여 8주간 숙성시킨 구간에서 24.92 ppm으로 미량 검출되었다.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