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atty polyamide that gives softness, lubrication and bulky property and alkyl imidazoline that gives durable softness and antistatic property were synthesized. then, an O/W-type durable softener (DSN) was prepared by the emulsion of the synthesized fatty polyamide and alkyl imidazoline. Emulsion stability of the DSN was good, and the mixed HLB value was 11.2. From the measurement of softness, lubrication, antistatic property, bending resistance, and color fastness, it was proved that the prepared DSN was a good durable softener for nylon.
        4,000원
        24.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pin finish(SF) for nylon filament was prepared. The influence on the properties of filament obtained by treating the prepared spin finish in this study(SF-2) and foreign-made spin finish(Spinnar N-100) was compared. SF-2 prepared by blending of spindle oil 70g, paraffin wax 10g, glyceryl mono-oleate 5g, POE(6) nonylphenyl ether 4g, POE(10) nonylphenyl ether 4g, POE(10) octylphenyl ether 2g, POE(14) mono-oleate 4g and water 1g was excellent in its characteristics. Some of the properties of Nylon filament treated with SF-2 were better than those treated with Spinnar N-100. Also, optimal physical conditions of nylon filam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 of oil roller were obtained at conditions of 5rpm of number of revolution oil roller, 1.25% of SF-2 oil pick up, and denier 69D.
        4,000원
        25.
        199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epare a O/W type durable softner(OESA), octadecamidoethylaminoethyl dodecate and tetra (2-dodecamidoethyl) urea synthesized as the main components of softner, were blended with polyoxyethylene(20) oleyl ether, sorbitan sesquioleate, and polyoxyethylene(7) stearyl ether in various compositions. Emulsion stability of OESA was good, and mixed HLB value was 9.7, OESA was found was to be good durable softner for nyl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softness, lubriation, antistatic property, bending resistance, and color fastness.
        4,000원
        27.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able softening water repellents for nylon fiber were synthesized, using two compounds: quaternized octadecyl methacrylate-2-di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as a mother resin of water repellent and quaternized fatty carbamide for improving softness and hydrostatic pressure, of which syntheses were studied in the previous papers. They were blended with waxes and emulsifiers in a variety of ratios and synthesized into water repellent PADWC, and it was nylon taffeta treated with and without textile finishing resin. The synthesized water repellents can be used either or without resin. The optimum curing temperature was 150 to 160℃ and the optimum concentration was 3 to 5wt%. In the independent and conjunct treatment, the water repellency of nylon taffeta samples have no remarkable changes between initial value and that after three times washing, so these prove that the synthesized compounds are durable water repellent. The water repellency of PADWC-3 and -4 were around 90. Also, comparison of crease recovery and tear strength after repelling treatment showed that the synthesized water repellents have a very high softening effect.
        4,000원
        28.
        197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Nylon 6 망사의 원사는 대부분 일본에서 수입하여 제망해서 수출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수입하고 있는 원사중 어느 회사의 원사가 우수한지 또한 염색 가공후의 망사의 성질변화에 대하여서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뿐만 아니라 같은 Nylon 6 망사라 할지라도 제조 공정에 따라 망사의 성질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저자들은 일산 Nylon6 망사를 가지고 염색전과 후의 강신도와 염색후의 수축등을 시험 비교해 보았다. 특히 망사는 수중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습윤시의 인장 강도와 신장이 겁습에 비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였다.
        4,000원
        2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is a thermal analysis technique that the mass of sample is measured by time and temperature changes. In this study, TGA was applied for estimating the proportion of Nylon-6,6 nanofibers in the cement paste as well as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Nylon-6,6 nanofibers. An electrospinning process was conducted for producing nanofibers and adding directly into the cement powder. The TGA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pproximately 0.5 % of nanofibers in the composite pastes. Besides, the decomposition temperature of Nylon-6,6 nanofibers was clarified in the range of 300℃ to 410℃.
        30.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순환골재는 다량의 부착모르타르를 포함하고 있어 콘크리트의 강도감소, 내구성 저하, 균열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OPC)에 고로슬래그미분말(GGBFS)을 0 및 50% 대체한 순환 굵은골재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에 대한 나일론섬유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고찰하였다. 섬유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섬유길이가 상이한 두 종류 나일론섬유를 0 및 0.6kg/m3 두 단계로 혼입하여 소정의 재령동안 수중양생하였다. 제조된 콘크리트의 압축 및 쪼갬 인장강도, 투수공극량 및 총통과전하량을 측정하여 섬유보강 부순골재 콘크리트의 성능과 비교, 고찰하였다. 또, 재령 28일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SEM 기법을 이용하여 미세조직구조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순환골재 콘크리트는 부순골재 콘크리트에 비하여 역학적 성능 및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나일론섬유를 혼입할 경우, 나일론 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NF2(19 mm)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NF1(6 mm)을 사용한 콘크리트보다 역학적 성능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RA 콘크리트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31.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발전한 경제만큼 안전하고 편안한 이동과 여가생활을 위해 자동차 및 도로의 보급이 확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폐자동차의 발생율도 높아지고, 도로 포장층이 받는 부담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폐차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일부는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수지, 섬유, 고무 등의 자동차 파쇄 잔재물(ARS)은 재활용할 방법이 마땅치 않아 2차적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어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도로 포장층이 받는 증가된 하중으로 포장층의 파손 발생이 운전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의 피로수명 연장과 파쇄 잔재물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파쇄 잔재물을 활용한 섬유보강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대해 고려하였다. 폐카펫에서 추출한 나일론을 개질재로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였다. 4점 휨 피로시험을 통해 일반 아스팔트 대비 피로수명이 10%향상되었음을 확인 하였으며, 이를 통해 경제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35년간 약 5억 원의 유지보수비용 절감을 기대 할 수 있다. 폐나일론 섬유 보강 아스팔트는 친환경적 공법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과 폐자재 사용으로 환경처리비용의 이점을 가지며, 도로수명 연장으로 운전자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으로 경제적, 사회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32.
        201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분산제 코팅을 통해 성능 개선된(EP)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실험 방법으로 나일론 섬유 길이와 다른 유기계 섬유(폴리프로필렌, 셀룰로오스)를 혼입한 경우 그리고 광물질혼화재(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의 종류를 달리 혼합한 2성분계 및 3성분계의 경우를 가지고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구조물 적용을 위한 Mock-up Test를 성능 개선된 나일론 섬유를 혼입한 자기충전콘크리트 와 일반콘크리트를 비교하여 실구조물 활용 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그 결과 굳지 않은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 경화된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특성 및 내구특성을 종합해 볼 때 성능 개선된(EP) 나일론 섬유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성능 개선된 나일론 섬유에 따른 광물질 혼화재 사용에서는 플라이애쉬 보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