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

        21.
        200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ucture which was designed until then had no resistance to earthquake, since enforcement ordinance for seismic design was established in 1988. Most of mid or low story building have no resistance to earthquake, though it is the structure which was designed since then. Prior to this experiment, the experiment, which was repair and retrofit method for seismic performance progress of the reinforcement structure which was not designed to be protected from an earthquake, had been performed and obtained good results. The aim of study is that repair the structure and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the repaired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damaged by earthquake.
        4,000원
        22.
        200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studied the efficiency of retrofitt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hich was not designed to endure an earthquake. The earthquake in Kobe, Japan showed that there was a great possibility of having an earthquake even in big city and the damages were concentrated on mid or low story buildings which were not considered to be protected from an earthquake. This experiment use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hich restrained side-by-side displacement-to test durability against an earthquake. This study deals with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steel materials.
        4,000원
        23.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오래된 원자력발전소의 내진검증과 관련한 USI A-46 문제의 해결에 사용될 수 있는 캐비닛의 내진보강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캐비닛 구조물의 동적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종류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ICRS(In Cabinet Reponse Spectrum)의 저감을 위하여 1) 보강프레임, 2)감쇠기 설치, 3) 동조질량감쇠기 등 세 가지 내진보강방안에 대하여 구조물의 응답을 산정하였다. 해석결과, 가새보강 및 감쇠기를 설치하는 보강방법에서는 보강전의 구조물보다 큰 ICRS가 얻어지는 경우가 발생해 보강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동조질량감쇠기의 사용은 좋은 제진효과를 보였으나 실구조물과 정확한 진동특성을 반영한 모델의 작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4.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후설치앵커는 굳은 콘크리트 부재에 설치되어 구조 부재간의 하중 전달 또는 비구조요소의 하중을 구조부재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국내 후설치앵커는 2007년 콘크리트구조기준 개정에 처음 신설되었으며 기계식 후설치앵커의 설계법만 규정하였다. 2018년 10월 기준 개정에서는 부착식 후설치앵커 설계법도 추가되었으며 특히 부록에서 본문 22장으로 이동하였다. 2020 년 국가건설기준으로 반영되면 법적 기준의 지위를 갖게된다. 내진보강, 구조보강, 증축 및 리모델링을 비로한 구조 요소간 접합뿐 아니라 기계전기설비와 마감재 등 비구조요소를 구조부재에 연결에도 후설치앵커가 많이 사용된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기준의 개정사항을 분석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후설치앵커 설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5.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대규모 지진으로 내진 성능 및 보강에 대한 정부와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재난관리 시장이 사후복구에서 사전예방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시설물의 물리적인 상태등급만을 고려하는 기존의 결정론적 내진성능관리 의사결정기술에 지진의 불확실성 및 사회·경제적 판단요소와 도로망 시설물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고려한 확률론적 내진성능관리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 결정론적 방법에 의한 도로시설물 내진성능관리 우선순위는 물리적인 상태등급에 따라 결정되며, 사회·경제적 판단요소가 결여되어 있어 전체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시설물 내진성능관리 우선순위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도로의 중요도, 노후거동특성, 부재 내진성능, 지진취약도 함수, 내진보수보강효과, 지진복원력 등과 같이 도로시설 및 도로망에 직·간접 적으로 가해지는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기술이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노후도에 따라 지진취약도가 크고 재난 발생 시 파급영향이 큰 도로시설물과 도로망을 식별하기위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내진성능 관리 핵심기술개발이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연구단 과제를 통해서 개발예정인 “노후도로망의 내진성능관리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소개하고자 한다.
        26.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 세계적으로 지진발생이 빈번하고 많은 인명피해와 사회기반시설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지진에 대한 보수, 보강기법에 대 한 연구가 많이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성보강형태로 반복적인 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면 2차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강성보강이 아 닌 연성보강형태의 보수, 보강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 콘크리트 기둥 부재에 적용할 수 있는 보강 공법으로써 폴리머계의 고인성 과 고연성 효과를 나타내는 경질형 폴리우레아를 내진보강용 재료로 선택하였고 재료의 열화 및 내화학적 특성에 대한 내구 성능을 평가하였 다. 내구 성능 평가는 폴리우레아의 산 환경 및 자외선 노출 시험을 실시하였고, 폴리우레아를 도포한 콘크리트의 탄산화 노출 및 동결융해 시 험을 실시하였다. 내진보강용 폴리우레아는 모든 시험을 통하여 내구성능과 저항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내진 보강 재료로써 유 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2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ain characteristics of frame retrofitting grid-type seismic membe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consisted of a cyclic load tests of one story-one bay reinforced concrete frame retrofitting grid-type seismic member.
        28.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trengthening materials (CFRP sheet, AFRP sheet, embedded CFRP rod)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refore it was constructed and tested seven specimens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using such retrofitting materials. Specimens, designed by retrofitting the beam-column joint regions of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were showed the stable failure mode and increase of load-carrying capacity due to the effect of crack control at the times of initial loading and confinement of retrofitting materials during testing. Specimens LBCJ-CRUS, designed by the retrofitting of CFRP Rod and CFRP Sheet in reinforecd beam-column joint regions were increased its maximum load carrying capacity by 1.54 times an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by 2.36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LBCJ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4 and 7. And Specimens LBCJ-CS, LBCJ-AF series were increased its energy dissipation capacity each by 2.04~2.34, 1.63~3.02 times in comparison with standard specimen LBCJ for a displacement ductility of 7.
        30.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구조성능 개선을 위하여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사용량, CFRP시트 보강 유무에 따라 총 7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 보강 실험체 NER 시리즈의 경우, 표준실험체 NBS와 비교하여 12~46% 내력이 증가하였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를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표준실험체 NBS보다 최대내력이 22~77% 증가하였다. 그리고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으로 보강된 실험체 NER 시리즈는 부착슬립, 피복분리 형태로 파괴되었으나,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과 CFRP시트을 복합 보강한 실험체 NERL 시리즈는 CFRP시트의 연속보강에 따른 콘크리트 구속효과 및 모재와 표면요철 매입형 FRP봉의 부착강도 증가로 인하여 부착슬립의 형태로 파괴되었다.
        31.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bout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through structural function evaluation of an existing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structure reinforcement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usability through structural function evaluation of existing structures, to offer rational measures for earthquake-proof function and to provide help in maintaining safe structures against earthquake. For this purpose,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s an existing school building, earthquake-proof func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and measures to reinforce earthquake-proof function was offered.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first and the second earthquake-proof func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which is a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school building. Through the abovementioned methods, earthquake-proof function evaluat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the measure to reinforce earthquake-proof function were offered(reinforcement brace, RC shear wall reinforcement). The offered measure to reinforce earthquake-proof function was applied to the subject structure, and comprehensive results were derived from earthquake-proof function evaluation regarding before and after earthquake-proof function reinforcement.
        32.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model the pillars was actually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while changing the amount of reinforcement in the top and bottom of the column the FRP sheet. The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reinforced by examining the optimal amount of FRP reinforcement decided.
        33.
        2013.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d on the analysis and test of concrete box structure under blast load, it was found that the blast retrofit by Kevlar/glass hybrid fabric sheet was more effective than retrofit by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sheet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concrete subjected to blast pressure.
        34.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바닥판의 구조상세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표준형의 U-rib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을 뿐, 강바닥판 건설초기의 개단면리브형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용연수 31년된 개단면세로리브형식의 강바닥판 교량의 피로균열 발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교통류하에서의 계측 데이터를 통하여 대상구조상세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세구조해석을 통하여 대상교량을 통과하는 대표트럭하중을 추정하고, 상세영향면해석을 이용하여 대상구조상세의 응력 및 변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에 기초하여 피로균열이 발생된 대상구조상세의 보강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개단면리브에서의 피로균열의 발생원인은 개단면부에서의 전단변형에 의한 응력증가 및 차량의 이동에 따른 교번응력의 발생에 기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부구조상세에 대한 피로설계에서는 구조상세의 거동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상세해석에 근거한 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5.
        2012.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 using high performance FRP materials in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est result shows that retrofitting specimen(LBCJ-CRU, CRS, CRUS) designed by the improvement of seismic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column joints load-carrying capacities were increased 1.30~1.54 times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pecimen.
        36.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적으로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 지진(규모 6.3), 아이티 지진(규모 7.0), 중국 쓰촨성 지진(규모 7.9) 등의 지진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지진규모도 대형화 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에서도 대형지진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 국내 기존 저층건축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적조 건축물의 피해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적조 건축물은 연직하중에 대해서는 상당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으나, 연성능력이 부족하여 지진 등과 같은 횡하중에 대하여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조적조 건축물은 지진에 대한 예방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 조적벽체의 내진성능 평가 및 국내 실정에 적합한 내진보강기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선행연구1)에서 지진취약부 보강을 위한 보강공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내진보강공법의 적용유무에 따른 비보강/내진보강 조적벽체의 파괴모드 및 내진성능을 파악하고 실험결과 분석을 통해 제안된 내진보강공법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조적벽체의 내진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통해 조적벽체의 개구부 유무에 따른 파괴양상과 전단내력의 변화 등을 관찰하고, 제안된 내진보강방법을 적용한 변수 실험을 통해 제안된 공법이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내진보강방법은 지진취약부 보강 위주로 설계되었으며, 기존의 조적조 건축물의 내진보강방법을 조사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 면에서 뛰어난 면외방향 보강을 위한 메탈라스와 지진취약부를 보강하는 강판을 부착하는 형태를 사용하였다. 비보강 조적벽체는 Rocking과 Sliding에 의한 파괴와 개구부가 있는 시험체의 경우에는 개구부 전단균열이 발생하였다. 비보강 조적벽체의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메탈라스와 강판으로 보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내진보강방법을 적용한 조적벽체는 비보강 조적벽체 정적실험에 비해서 강성, 강도, 연성능력 면에서 우수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