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21.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plicates the sorting task conducted on Bencini and Goldberg (2000) to examine whether Korean learners of English only concentrate on the meaning of verbs or they also pay attention to constructional meanings in English sentence processing. The results were broadly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tudy―Korean learners of English were able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and utilize the configurations in sentence interpretation. However, the experiment detected discrepancy in learners' understanding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 types. Language learners generally have a sense of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and try to make full use of the representations, but their cognitive ability has not been sufficiently trained to access the internal relation among the constructions. Consequently, the learners feel difficulty in interpreting other types of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except transitive constructions and they tend to stick to the representations. Constructionists regard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as impetus and facilitator in language acquisi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the materials and the instructions provided to language learners need to be developed in a way that promotes the learners' access to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5,400원
        2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Korean sentence-ending suffix (SES) -ketun is used in naturally occurnng sp아<en Korean 이 scourse. Focusing on the question of how the practice of informing implemented by the ketun-utterance provides a basis for the sequentially implemented action of account-giving (Kim & Suh 2뼈), it a n따yzes (i)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marked by -ketun in terms of how it is grounded, (ii) the sequential contexts where the informing sequence that -ketun generates is embedded, and (iii) features of the ketun -marked account with reference to the practices of formulating non-negotiable upshot, evo싸 ng positionally relevant identities, unpackaging information geared to enlightening the address얹. and stance-shifting. These practices are analyzed as being constitutive of the action-organizational features of the ketun-marked account, whose upshot is proposed to be that of evo써 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gap or disparity in knowledge asseπed by the speal<er to exist between the partlclpants.
        7,800원
        2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using practical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can stimulate EFL learners" vocabulary enhancement through making sentences. Language practice with productive lexical output can be a very helpful way for EFL students to integrate their prior linguistic knowledge with newly-gained words, which will enhance their communicative performance. One hundred twenty students (n=120) performed two different activities (sentence-building with instructional feedback and rote-memorization), and their performances were examined by the text length in terms of lexical pro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 experimental group (n=60) with sentence-building with instructional feedback seemed to evoke their lexical input and output together and did better at both than the control group (n=60) with rote-memorization. In vocabulary knowledge enhancemen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at they were likely to transfer a large amount of vocabulary they practiced to their language output effectively. With respect to vocabulary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group formed more meaningful structures with a longer sentence tha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mplies that sentence-building as a language practice can be an effective way to incorporate a learner"s lexical knowledge into meaningful language use, and can lead to better communicative performance in English.
        6,300원
        27.
        200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900원
        28.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사복사 구문은 중국어의 다른 구문과는 분명히 다른 통사적 특징을 갖는 구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동사복사 구문의 통사적 특징을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동사복사 구문의 정의와 범위를 보다 더 분명히 하고자 한다.<BR> 동사복사 구문은 동사복사 구조가 술어가 되는 구문으로 통사형식은 (S)+V1+O1+V2+C+(O2) 이다. 이러한 통사형식을 갖는 동사복사 구문은 연동 구문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연동 구문과는 달리 동사복사 구문의 V1과 V2가 반드시 동형의 동사이어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문법화 과정이나 정보구조의 관점에서 보면, O1은 동사복사 구문 생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에 반드시 출현해야 하는 성분이다. V1과 O1은 이합사로 충당될 수도 있다. 그러나 V1과 O1에 위치하는 성분이 동사성이면서 V2와 부분적으로 동형인 경우는 동사복사 구문이라 할 수 없다. C(보어)도 문장에 반드시 출현해야 하는 강제성 성분으로 C가 없는 구문은 동사복사 구문이 아니다. 결과보어, 정태 보어, 정도보어, 시량보어 등이 C가 될 수 있다. 반면에 S와 O2는 비강제성 성분으로 문장에 출현할 수도 있고 출현하지 않을 수도 있다.<BR> 동사복사 구문은 확장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즉 O1과 V2 사이에 시간부사나 어기부사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형식의 동사복사 구문은 관련 부사가 있는 긴축문과 유사한 형식을 갖는다. 그러나 긴축문은 복문으로 동사복사 구문이 아니다.
        4,800원
        29.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nefactive verbs in Japanese can be classified into 1) ‘site ageru’(「してあげる」, 2) ‘site kureru’(「してくれる」), and 3) ‘site morau’(「してもらう」)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action. ‘Site morau’ sentences ar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similar to passive sentences in the sense that a benefactive of an action is in the subjective position and an agent is in the dative position. However, they morphologically take an active form. Thus, they share characteristics of both the active and passive voic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ondition in which a ‘site morau’ sentence changes into a causative sentence. In addition, it analyzes the seman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ausative sentences and ‘site morau’ sentences. It also shows that ‘site morau’ sentences can be changed into causative sentences, since causative sentences have semantic properties of both ‘giving’ and ‘receiving’. Lastly, ‘site morau’ is subcategorized into 1) typical ‘site morau’, 2) moderate ‘site morau’, 3) causative ‘site morau’, with each type studied in depth.
        4,500원
        30.
        200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기계 학습 기법 중에서 메모리 기반 학습을 사용하여 범용의 학습 가능한 한국어 문장 경계 인식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메모리 기반 학습 알고리즘 중 최 근린 이웃(kN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웃들을 이용한 문장 경계 결정을 위한 스 코어 값 계산을 위한 다양한 가중치 방법을 적용하여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장 경 계 구분을 위한 자질로는 특정 언어나 장르에 제한적이지 않고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 는 자질만을 사용하였다. 성능 실험을 위하여 ETRI 코퍼스와 KAIST 코퍼스를 사용하 였으며, 성능 척도로는 정확도와 재현율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적은 학습 코퍼스만으로도 98.82%의 문장 정확률과 99.09%의 문장 재현율을 보였다.
        4,300원
        32.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2년 한문 교과가 독립 교과로 부활되면서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었다. 한문문법의 경우, 통일안이라 할 수 있는 교육부의 해설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설서 자체에도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한문 교과 과정의 한문 문법에 대한 인식이나 체계적인 분류정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동일한 문장을 여러 가지 다른 문장 형식으로 분류하고 있는가 하면, 마땅히 구별되어 사용해야 할 문법적 범주들이 뒤섞여 처리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文章 形式에 대한 기존의 분류 기준과 내용을 검토하고 문형의 문법적 범주와 내용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다.1.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문장의 형식을 정리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서술어의 성질’에 따라 判斷文, 敍述文, 描寫文으로, 둘째, ‘행위의 주체’에 따라 使動文, 被動文으로, 셋째, ‘화자의 청자에 대한 의향’에 따라 平敍文, 疑問文, 命令文, 感歎文으로, ‘화자의 심리적 태도’에 따라 推測文, 假定文, 願望文으로 분류하였으며, ‘명제 또는 동작의 진위’에 따라 긍정문, 否定文으로 분류하였으며, 그밖에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없는 것들로 限定文, 反語文, 比較文, 漸層文 등도 살펴보았다. 2. 용어의 문제에 있어서 나름대로 타당성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다.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한 문장의 종류와 구조를 기준으로 분류한 문장의 종류를 구별하기 위하여 ‘文形’이라는 용어를 제안하였으며, 문형 종류에서 정보 전달에 중점을 둔 문장 형식에 대하여 ‘平敍文’을, 문장의 주어가 제삼자로 하여금 어떠한 행위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문장 형식에 대하여 ‘使動文’을, 주어가 행위 동작의 주체가 되지 못하고 도리어 행위 동작의 대상이 되는 문장 형식에 대하여 ‘被動文’을,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둔 문장 형식에 대하여 ‘感歎文’을 타당한 용어로 제시하였다.3. 문장 형식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첫째,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한문 문장 분류의 기준이 다양하다는 것을 인식시켜야 한다. 현행 교육 과정에서는 동일한 문법 범주에서 취급될 수 없는 다양한 문장 형식들을 하나의 기준으로 적용시킴으로 해서 문장 형식이 혼동되어 있다. 이러한 문장 분류 방식은 학술적인 것이 아니라 초학자들에게 독해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실용적인 측면에서 설정된 것이라 하더라도, 분류 기준의 다양성을 제시하지 않는다면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각종 시험에서도 혼란과 시비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둘째, 혼용되어 있는 용어를 통일시키고, 각 문장 형식에 대한 정의를 엄밀하게 규정해야 한다. 특히 일본 학자나 중국학자들의 용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국어 문법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를 우선적으로 채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만약 국어 문법에 없는 용어라면 영문법 등을 통해 먼저 들어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하여 통일성을 꾀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용어와 정의를 통하여 각 문장 형식의 개념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학교문법이 아무리 실용성을 중시한다 하더라도 문법적 체계성이 결여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고는 기존의 문장 형식을 해체하고 재편성하는 과정에서 아직까지 한문 문법에서 적용된 적이 없는 분류 기준을 적용한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11,600원
        3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South Korean students of Japanese have a gap between their knowledge and usage of Japanese honorifics, and to illustrate misusage of Japanese honorifics by the South Korean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ample sentence, “My father went to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analysis of this paper, native Japanese speakers are influenced by both the UCHI-SOTO relation and the vertical relation of age when they refer to their father. But the students are influenced only by whether “father” is their father or other’s father. Furthermore, the students don’t necessarily recognize the rule in Japanese honorifics, that is, “Do not use the honorifics when you speak of your father to a person outside the family (SOTO).”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gives the following suggestive points to the teaching of Japanese honorifics. First, we have to teach that how to refer to “father” varies with the listener. Second, it is required to fully explain the concept of UCHI-SOTO and to make well-known the rule in Japanese honorifics, that is, “Do not use the honorifics when you speak of a person in your group to a person outside your group.”
        4,800원
        3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examines the use of the ellipsis in 30 telephone conversations and shows the reason for the use of the ellipsis in aspects of functionality in the area of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It also demonstrates if the supplementary of utterance has which type of format at each functionality and if there are the format of the supplementary of utterance repeated. The results below are described in detail 1. The functionality of the ellipsis at the end of sentence in both languages (1) Demanding Behavior: request, recommendation, proposition, (2) Demanding Information: question, confirmation request, (3) Providing Information: self-information, the third person, reason, conveying a story to the others, and (4) Expressing will: revision/ evaluation, self-behavior in future, compliance/support, apology, greeting. 2. The format of the supplementary of utterance of the ellipsis at the end of sentence in both languages. In regard of the format of the supplementary of utterance, Korean has the connection formats, which are「-고」「-ㄴ데」「-니까」and so on, Japanese has「-けど」「-から」「て」「って」and the like. The study shows that formats repeated are existed in the ellipsis at the end of the sentences in both languages.
        5,400원
        35.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Kyu-hyun. 2004. A Conversation Analysis of Korean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ney, -kwun(a), and -ta: Noticing as a Social Action.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Drawing upon H. S. Lee's (1993) cognitively-oriented research on the functions of three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in Korean that are used to express newly perceived information, -ney, -kwun(a), and -ta, this study analyzes the distinct meanings of these suffixes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Sacks et al. 1974). The suffix -ney is used in the context in which the speaker notices a referent/event and makes an assessment on the spot in such a way that the speaker's stance displayed through the action is formulated as something that is to be immediately oriented to and contingently taken up by the hearer. In contrast, the suffix -kwun(a) is used when the speaker is mainly oriented to displaying a stance congruent with the prior talk. The action it organizes is often limited to acknowledging a point of the prior talk or having the hearer acknowledge the speaker's observation, often with a salient topic-curtailing and sequence-terminating import. The suffix -ta tends to orient the hearer to the next stage of the speaker's action (e.g., suggestion, warning, offer, etc.) to whose directive force the hearer is variably implicated as a beneficiary/facilitator. The interactional account offered in this paper is shown to complement Lee's cognitive account, with emphasis placed on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hese suffixes are used as resources for organizing distinct types of social action.
        8,300원
        36.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학교교육에서 漢文課 교육은 漢字가 사용되는 분량이나 또는 사고 단위의 크기로 볼 때, 한자교육, 한자어교육, 한문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중·고등학교에서의 한문 교육은 중학교에서는 기초 독해력을 배우고, 고등학교에서는 기초 독해력을 바탕으로 심화된 독해력을 배양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독해력을 기르는데는 여러 가지 독해요소를 공부해야 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허사를 이용한 끊어 읽기 교육이다. 이는 한문 문장을 어디에서 끊고, 끊어진 단위들을 어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으로 독해력 교육에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행 한문교육에서 제시되는 한문은 이미 어떤 형태로든 구두를 처리한 문장을 제시한다. `他山之石可以征玉`의 문장은 `他山之石 可以征玉`의 형태로 `石`과 `可`의 사이를 끊어서 제시하는데 어떤 원리에 의해서 사이를 끊었느냐하는 원리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물론, 한문은 일상생활에서 한자나 한자어보다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한문에 대한 독해원리를 더 연구하여 교육해야 한다. 한문을 전공하려는 사람은 중·고등학교 때 한문독해에 관한 많은 공부가 없이 전공에 임하다 보니, 독해력을 제대로 갖추는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에서의 끊어 읽기에 대한 교육은 매우 큰 당위를 가진다. 끊어 읽기의 개념인 구두법은 이미 甲骨文에서도 보이고 있으며, 중국 宋나라 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이다. 구두법은 문장 또는 단락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횡선, 직선 등을 말한다. 본고에서는 `之`를 비롯한 여덟 재의 허사를 이용하여 한문을 어떻게 끊느냐를 고찰한 것이다. 끊는 기준은 한문에서의 허사가 앞 뒤 단어와 단어 또는 문장과 문장 사이의 관계에서 연결하는 기능을 하느냐 아니면, 쉼, 종결 등을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연결하는 기능을 하면 끊지 않고 앞뒤의 단어를 연결하여 해석하고, 쉼·종결 등의 역할을 하면 끊어서 해석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古之學者 必有師`에서 `之`의 앞뒤는 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之`가 연결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 `使牛聞之 寧無不平之心乎`에서 `使牛閒之`의 `之 다음에는 끊어야 한다. 왜냐하면 `之`가 `그것을`이라는 대명사로 쓰이고 있으며, 앞뒤를 연결하는 기능은 거의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은 일단 단문 안에서 그 원리를 파악하고, 그 다음은 복문 속에서 즉 다른 문장과 다른 문장 속에서 그 원리를 교육해서 파급효과를 얻게 해야 한다. 물론 한문의 문장론이나 통사론은 그 연구 당위가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하지만 독해력을 신장을 위한 조작적인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본다. 즉 독해력을 기르는데 그의 원리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한문교과가 학생선택으로 위상이 바뀐 이 때, 한문교육을 담당하는 사람들이 더 훌륭한 교수법을 연구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5,500원
        39.
        200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4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7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