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

        21.
        201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oots of Rosa multiflora Thunberg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remedies for rheumatic arthralgia and scabies. In this study, the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 supercritical extract of Rosa multiflora root were investigated in vitro.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supercritical extract,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were examin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xtract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of Rosa multiflora root exhibited low toxicity to RAW 264.7 cells at 100 μg/mL the highest concentration tested. Cells stimulated with LPS produced more nitric oxide than normal control cells; however, cells treated with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 decreased this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inally,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of the roots of Rosa multiflora might be used to develop potent anti-fung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nd may be useful as ingredients for related new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22.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o obtain useful cosmetic resourc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non-saponin fatty acid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collagenase and elastase by treatme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 supercritical fluid extracted oil of the adventitious root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Methods and Results: We performe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t various conditions such as pressure, temperature, time, and use of co-solvents, unlike the n-hexane extraction for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The non-saponin-fatty acid obtained from the oil of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was incresed by treatment with S. cerevisiae. The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as conducted using gas chromatography. Non-saponin-fatty acid content, in the oil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treated with S. cerevisiae for 2 days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oil of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treated with S. cerevisiae was investigated for the anti-wrinkle effect by using collagenase and elastase. The oil of adventitious roots culture treated with S. cerevisiae exhibited higher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than those in the control. Conclusions: Supercritical fluid extracted oil of the adventitious roots culture of wild mountain ginseng treated with S. cerevisiae was found to have decreased ratio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incresed ratio and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Furthermore, it showed anti-wrinkle effects in vitro.
        23.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 (CMPB803-C)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shikonin and acetylshikonin isolated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on IL-1β-induced chondrocytes and monosodiumiodoacetate (MIA)-induced osteoarthritis in rat. Shikonin (50μM) and acetylshikonin (3μM) treatment reduced signifi-cantly the mRNA expression and enzyme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3 and −13 in IL-1β-inducedSW1353 chondrosarcoma cells. The chondro-protective effects of CMPB803-C and acetylshikonin were than analyzed in arat OA model using a singl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MIA (1㎎) in the right knee joint. CMPB803-C (200㎎/㎏) or ace-tylshikonin (5㎎/㎏) was orally administered daily for two weeks starting after 1 week of MIA injection. In the histologicalobservation, CMPB803-C and acetylshikonin clearly improved OA lesions being comparable to or better that control group.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MPB803-C and acetylshikonin as active compound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have astrong chondro-protective effect in OA rats, which likely attributes to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inhibition ofMMPs production.
        2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 의약품에서 항비듬제로 널리 사용되는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와 클림바졸을 초임계 유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를 제조하였다. 초임계 유체로는 임계온도와 임계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산화탄소가 사용되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용해력이 있는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마메이트와 클림바졸을 항비듬제로 선택되었다. 초임계 용액 급속 팽창법을 이용하여 압력과 온도를 변화시켜 입자크기와 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6.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 면역 세포 중 하나인 T세포에 대한 각 시료의 생육촉진 활성은 시료의 1.0 g/l에서 기준물질로 사용한 유향열매의 정유 성분이 T세포의 생육촉진 활성 측정에서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노간주나무의 열매의 정유성분이 줄기 부분의 정유 성분보다 높은 생육 촉진 활성을 보였다. T 세포의 각 cell 당 TNF-α의 분비량을 살펴보면 모든 시료의 정유 성분들이 배양 2일째 최대분비량을 나타내었고, IL-6의 경우는 모든 시료들이 배양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인 MCF-7에 대한 각 시료의 생육 억제 활성은 각 정유 성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낸 시료는 노간주나무 열매의 정유 성분으로 약 84%의 높은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유향 열매와 노간주나무 줄기의 정유 성분들도 약 80%에 가까운 높은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암 세포인 Hep3B에 대한 각 정유 성분들의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도 유방암 세포와 같이 각 정유 성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향 열매의 정유 성분이 약 83%의 높은 생육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 및 면역기능의 역할에 대한 분자수준에서의 검증을 위해 HL-60 세포의 분화도를 살펴본 결과, 배양 시간 의존적으로 분화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향열매의 정유 성분이 Control 군에 비하여 1.38배의 증진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분화도를 나타내었으며, 노간주 열매의 정유 성분이 줄기의 정유 성분에 비하여 높은 분화도를 나타내었다.
        2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적인 향기치료제로 쓰여 온 회향, 유향 그리고 노간주를 사용하여 최근 신기술로 평가되고 있는 초임계 유체추출법을 통해 생체 조절기능을 지닌 기능성 정유 성분을 추출하였다. 기존의 SDE 추출법과 비교하여 추출수율 측면에서 비교적 높은 결과를 얻어내어 정유 추출시 장차 SDE 추출법을 대체할 신기술로 평가되었다. 추출용매를 사용해야 하는 SDE 추출법과는 달리 무색, 무취인 CO2를 이용하여 정유 성분을 분리하는 초임계 추출법은 인체에 무해한 정유 성분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사료되며, 분리된 정유 물질에 대해 성분 분석 결과 대부분이 휘발성 알코올 계열에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유 성분들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결과 항암, 항 돌연변이 그리고 신경활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나 aroma-theraphy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이 정유성분에 대한 in vivo 실험을 통해 기초 의약품으로서 연구가 수행되어진다면 전통적인 치료제로서 사용된 천연물에 대한 현대적 가치부여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28.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임계추출(SFE)를 이용한 초피나무 과피 중 신미성분의 최적추출조건을 조사하였다. 최적 추출 압력은 300kg/cm2 이었으며 온도는 60℃, 추출 부피는 12 ml, flow rate는 3m/min 그리고 modifier로 사용한 methanol의 함량비율은 20%였다. 추출시간은 초반 20분 안에 대부분의 신미성분이 추출되었다. 또한 용매추출법과 비교한 결과 추출효능이 약 40%정도 향상되었고 시간은 20분으로 단축되었으며 유기용매 methanol은 12 ml밖에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요한 추출용매로 무독성 액화CO2를 사용하기에 독성 유기용매의 다량 사용을 피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생각되어 진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