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28

        38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산물 검역통계를 통해서 채소 모종 수출 현황과 채소 접목묘의 일본 선박 수송 시의 온도 및 상대습도 변화를 분석하여 국내 채소 모종 수출 연구와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7~2016년 사이 수출된 채소 모종은 배추, 양배추 등 엽채류 4종, 토마토, 오이 등 과채류 7종, 근채류 1종으로, 전세계 20여 국가에 46,146,536주(총 1,839건) 수출 되었다. 상업적 목적을 위한 채소 모종의 주요 수출국은 일본이었고, 2016년 기준 일본에 수출된 모종은 주로 과채류 접목묘인 가지, 토마토, 오이, 수박 및 고추 등으로 총 2,575,446주가 수출되었으며, 총 수출 금액으로는 0.7~1.6백만불로 추산된다 일본으로 수출되는 접목묘는 도시농업용과 농가용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온도 15~18oC의 냉장 컨테이너를 이용한 선박 수송은 포장 → 선적 → 검역(한국 부산항) → 검역(일본 시모노세키항) → 바이어 수령의 과정으로 대략 24시간 내외가 소요되고 있었다. 일본의 도시농업 발달로 인한 채소 모종 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러시아 등 인근 국가들의 채소 접목묘에 대해 높아지고 있는 관심과 수요는 우리나라 채소 접목묘 수출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채소 모종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정확한 채소 모종수출 정보의 수집 및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수출 전용 모종 생산, 모종 저장 및 수송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38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논문은 새롭게 등장한 감청방법으로서 회선감청이 헌법 및 통신비밀보호법에 어떻게 포섭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선 회선감청의 개념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 회선감청은 통신의 비밀을 제한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헌법적인 측면에서 회선감청의 허용성 여부에 대해 검토하였다. 회선감청은 현대 정보사회에 있어서 테러와 같은 초국가적인 범죄를 예방ᆞ진압하는데 효율적인 수사기법임에 틀림없지만, 현재 통신비밀보호법의 체계 안에서는 국민의 통신의 비밀과 자유를 광범위하게 침해하지 않는 가운데 효율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회선감청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회선감청 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개선방안으로는 1) 대상범죄의 합리적인 검토, 2) 회선감청 청구권자의 제한, 3) 회선감청 허가에 대한 심가 실질화, 4) 회선감청 집행방법의 개선, 5) 감청기록의 관리체계 개선, 6) 집행통지 절차 개선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383.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려동물시장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 관련 법이나 직업에 대한 인식의 수준은 열악하다. 우리나라에서 '동물간호복지사'는 특별한 자격 기준이나 교육과정 없이 취업이 가능 한 상태이며 직업에 대한 관심이 상승하는 반면 그들에 대한 실태조사 등의 정보는 접하기 어렵다. 따라서 그들을 대상으로 근무시간과 업무, 만족도, 그에 따른 요인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SNS와 전화, 직접방문을 통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동물병원에 근무하는 동물간호복지사 1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결과, 급 여와 비교하여 과도한 업무량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직업만족도에는 ‘일에 대해 보람(80.5 %)’이, 불만족도에는 ‘급여’ 부분이 1위(82 %)를 차지하였다. 그들의 업무환경에 관심을 갖고 반려동물시장의 발달과 함께 직업의 전문성 향상과 그에 따른 대우와 인식의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384.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교와 특수학교의 학교 환경에 따른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배포된 설문지는 통합학교 20부, 특수학교 20부 총 40부였으며 이 중 18부(45%)가 회수 되었다. 무응답 또는 다중 응답 문항이 있는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16부, 통합교육 대상자 총 4명, 특수교육 대상자 총 12명의 결과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대상 학생을 4개월 이상 관찰한 교사가 본 연구의 평가도구인 적응행동검사(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K-ABS)와 학교기능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결과 : 통합교육 환경과 특수교육 환경에 따라 SFA와 K-ABS를 비교한 결과, K-ABS의 사회적 적응요인에서 통합교육 집단에서 특수교육 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p<.05). 각 학교 환경에 따른 집단내 SFA와 K-ABS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특수교육 환경에서 SFA와 K-ABS의 하위항목 간 상관관계를 이루는 항목이 더 많았다. 결론 : 연구를 통하여 통합교육 환경이 장애학생의 전반적인 적응능력과 학교생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작업치료사로서 학교작업치료를 위한 보다 체계적인 장애학생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장애학생의 적응행동과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은 교육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작업치료사는 장애학생의 교육의 질과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할 것이다.
        4,200원
        39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 ex Murray)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전국 표고 800m이하의 산기슭, 산중턱뿐 아니라 해변가의 야산이나 섬에도 잘 생육하며, 건조한 석회암 지역에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었을 때 떡갈나무의 생태적 지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교내의 유리온실에서 CO2 농도를 약 1.6배 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와 대기중 CO2 농도를 그대로 반영한 대조구로 나누어 재배한 후, 유식물의 20가지 형질을 측정하고 생태적 지위폭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떡갈나무의 20가지 형질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의 평균값은 대조구에서 수분 구배(0.994) > 토성 구배(0.993) > 유기물 구배(0.985) > 광(0.948) 구배 순으로 나타났고, 온난화처리구에서도 수분 구배(0.994) > 토성 구배(0.991) > 유기물 구배(0.978) > 광(0.947) 구배 순으로 나타났다. 수분, 유기물 그리고 토성 구배에서 대조구보다 온난화처리구가 좁아진것으로 보아 떡갈나무는 지구온난화가 진행되었을 때 수분, 유기물 그리고 토성에 대한 내성이 감소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주성분분석(PCA) 결과,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는 광 구배에서 요인1(66.87%)과 요인2(20.71%)에 의해 구별 되었고, 수분 구배에서는 요인1(42.73%)과 요인2(18.20%)에 의해 구별되었고, 유기물 구배에서는 요인1(51.14%)과 요인2(21.16%)에 의해 구별되었으며, 토성 구배에서는 요인1(47.95%)과 요인2(18.00%)에 의해 구별되었다. 떡갈나무의 각 환경 구배별 분포 유형에 미치는 r >0.5인 형질은 광 구배에서 잎폭 길이, 잎몸 길이 등 10개였고, 수분 구배에서는 지상부 길이, 잎폭 길이 등 13개였고, 유기물 구배에 서는 지상부 길이, 잎폭 길이 등 13개였으며, 토성 구배에서는 지상부 길이, 잎폭 길이 등 11개였다. 이것으로 볼 때 떡갈나무의 생태학적 반응은 다양한 형질이 종합적으로 관여하며 그 중에서 식물의 생산량을 나타내는 형질이 많은 부분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39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북지역에 발생하는 미국선녀벌레는 2017년 익산시 여산면에 식재된 밤나무에 자연 발생되어 피해가 발생했으며 특히, 유기농 농경지의 밤나무, 블루베리, 배나무 등에 피해를 주고 있다. 유기농 재배지에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친환경자재 선발 실험을 실시하였다. 미국선녀벌레의 약충과 성충을 대상으로 친환경자재 500배액을 경엽 살포한 결과, 약충 방제효과는 님오일 82.9%, 계피유 69.5%, 햄프시드 65.3%, 데리스 65.1%, 편백유 56.8%, 녹차씨유 45.1%로 나타났다. 성충 방제효과는 님오일 75.7%, 계피유 68.7%, 햄프시드 67.4%, 데리스 62.1%, 편백유 26.7%, 녹차씨유 44.2%로 조사되었다. 님오일은 미국선녀벌레 약충과 성충에서 방제가가 가장 높았으며 약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유기농 재배지에서 미국선녀벌레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님오일을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39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산림, 하천, 자연 녹지 등 자연생태환경과 격리된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생태적 가치가 높은 생태 환경을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도심 속의 생태적 패치로 다양한 입지 조건으로 조성되어 활용되고 있는 국립과천과학관(경기도 과천시 상하벌로 110일원) 일대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생태적 패치(patch) 입지별 4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각 조사 구역 별 결과에서 곤충상은 Ⅰ구역에서 61과 135종, Ⅱ구역에서 31과 46종, Ⅲ구역에서 31과 42종, Ⅳ구역에서 13과 14종 등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조사구역의 군집 분석 결과, 다양성 지수 4.30, 종풍부도 22.74, 균등도 0.84 등으로 구분되었다. 조사 결과, 수환경과 키 작은 수목을 중심으로 하고 경작 및 원예가 재배되는 Ⅰ구역에서 종 조성이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소규모 생태적패치를 조성할 경우 수환경과 원예화원, 소규모 경작지 등이 분포할때 종 다양성이 높고 생태적으로 안정된 양상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39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충의 발생은 생물적 및 비생물적 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근년의 해충 발생양상은 생물적 요인보다 비생물적 요인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지구온난화로 인해 월동하는 해충 개체군의 증가 및 남방계 해충의 서식지의 북상, 산림 및 농업생태계의 변화로 인한 해충 발생의 다양성과 역동성 제고, 교역량 증가로 인한 외래해충의 유입증가 및 정착에 따른 돌발적 대발생 등을 들 수 있다. 그리하여 해충에 의한 농작물의 안전 및 안정생산이 이전보다 크게 위협받게 되었고, 농업현장에서 해충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실용적 기술개발은 더욱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 노린재류는 2000년 이후부터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여 콩과 및 과수작물 등의 수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주요한 해충으로 인식되어 있다. 두류 및 과수류에 발생하는 노린재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주요 노린재류는 크게 호리허리노린재과(Alydidae)와 노린재과(Pentatomidae)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노린재류는 형태적 차이뿐만 아니라 비행성과 이동성 등에서 뚜렷한 행동적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로인해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통발트랩과 펀넬트랩으로 잘 포획할 수 있으나,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는 유인되지 않는다. 그리하여 노린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노린재류를 잘 포획할 수 있는 트랩개발이 필요하게 되어 로케트트랩(Rocket trap)을 개발하게 되었다. 농업해충 가운데는 양성주광성(Positive phototaxis)을 가져 밤에 불빛으로 모여드는 특성을 가진 해충이 많이 있다. 스마트트랩(Smart trap)은 낮에 태양광을 축전하고 밤에 해충이 선호하는 파장의 램프를 작동시켜 나비목, 딱정벌레목, 매미목 및 노린재목 등의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대량 포획할 수 있는 포충기를 개발하였다. 벼 및 밭작물 재배포장, 과수원, 플랜테이션 농장, 휴양림, 전원주택 및 골프장 등에 스마트트랩을 설치하여 주광성 해충을 효과적으로 포획하는데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약제를 가열하지 않고 나노입자로 분무하여 시설작물, 축사 및 버섯재배사 등에서 문제되는 병해충을 생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비가열식무인연막기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고 있는 단계이다. 아직도 많이 부족하고 어느 것 하나 제대로 한 것 없는 것 같은데, 2018년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 학술발표회에서 제 1회 응용곤충학상을 받게 된 것은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함께 연구해온 동료와 학술적 동기를 유발시킨 한국응용곤충학회 그리고 트랩개발에 적극 협조해준 산업계 등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39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은 우리나라 제주도 및 남부 해안가 암석지에서 자생하는 대극과(Euphorbiaceae)의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등잔모양꽃차례가 황록색으로 3월부터 5월까지 긴 기간 동안 개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암대극을 재배화하고자 우선적으로 제주도의 자생지 환경과 개체군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전역의 해안을 따라서 암대극 개체의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40여 지점에 걸쳐 약 14,817개체가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제주도 본섬의 동쪽에 위치한 우도에 1,075개체(전체의 7.3%), 북서쪽에 위치한 비양도에 952개체(6.4%), 남쪽에 위치한 가파도에 589개체(4.0%)가 조사되었다. 암대극은 주로 제주도 본섬 남동부 해안가 암석지대에 집중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파도, 우도, 비양도의 경우에도 섬 동쪽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었다. 암대극의 생육은 자생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장, 줄기 길이, 줄기 직경은 꽃 크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든 지역에서 꽃이 피는 시기는 3월 말로 비슷하게 개화가 시작되었고, 6월 초에는 대부분의 꽃에서 종자가 성숙하여 탈리되었다. 암대극의 주변 식생은 갯개미자리, 돌가시나무, 순비기나무, 갯강활 등 30여 종이 분포되어 있었고, 초본이 80%를 차지하는 데에 반해, 목본은 20%로서 초본식물이 주를 이루었다. 토양의 pH는 8.3~9.4의 범위에 있었으며, 염분 농도는 0.003~0.017%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은 중문에서 1.9%, 가파도에서 1.4%, 표선면에서 1.0%로 나타났고, CEC는 가파도에서 10.7cmol+/kg, 표선면에서 5.6cmol+/kg, 중문 지역에서 1.3cmol+/kg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중문, 가파도, 표선면에서 각각 0.47dS/m, 0.19dS/m, 0.16dS/m으로 나타났고, Cl-은 57.45mg/kg, 63.01mg/kg, 8.12mg/kg으로 나타났다. 중문에서 유효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39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regenerate by improving the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create harmony with the fine natural environment The planning method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draft the basic concept, and set detailed plans by sector. Each process is planned to be implemented based on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The major content of the plan is as follows. First, the use district that is the biggest obstacle for housing rehabilitation was changed into a residential zone from a green zone, and accompanied by street network planning and organization that is essential for an area’s designation as a residential district. Second, district units plan and landscape guidelines were established to enable construction of special buildings with windows facing east that allow a view of the Mangyeong River. Third, a landscape refinement project surrounding Mangyeonggang-ro was set as the key project, to improve the image of the village and pursue common interests in the community of local residents. Fourth, business facilities, rental housing, and residents’ community facilities for young people are comprehensively planned in the downtown area, which has been declining because of the closing of the bus terminal, to reanimate the community’s landmarks, in terms of both function and space. Fifth, the project pursues regional economic regeneration from promotion of tourism based on full utilization of the landscape of the Mangyeong River, which is a local asset. The planning is conducted in a way that enables the refined residential area to work as another tourism resource. Sixth, unused and less used national owned land is actively utilized to allow for a smoother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In addition, plans to reinforce residents’ capabilities, to develop in connection with the KAB, and HUG are pursued, so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can be led by local residents.
        4,200원
        39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병재배 느타리버섯 정밀재배를 위한 최적 생육모델 개발을 위하여 느타리 ‘수한1호’ 농가를 대상으로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하여 생육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실험 농가의 균상면적은 88 m², 균상형 태는 2열 5단, 냉동기는 5마력, 단열은 샌드위치 판넬 100T, 가습기는 초음파 가습기 2대, 난방은 12KW를 사용 하였고, 5,000병을 입병하여 재배하고 있었다. 느타리버섯 재배농가에서 생육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치한 환경센서부로부터 버섯의 생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조도 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한 온도자료를 분석한 결과, 균 긁기한 후 입상 시 온도는 22°C에서 시작하여 버섯이 발생되어 병을 뒤집기를 할때까지 거의 25°C를 유지하고 자실체가 자라서 수확기에 가까워지면 13°C에서 15°C를 유지하면서 버섯을 수확하였다. 습도자료를 분석한 결과, 습도는 입상에서 생육전 과정동안 거의 100%를 유지하였다. 이산화탄소농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입상후 3일까지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거의 2,600 ppm 까지 증가하였고, 6일차부터는 환기를 통해 단계적으로 농도를 낮추어 수확기에는 1,000 ppm을 유지하였다. 조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느타리버섯 입상후 초기에는 거의 빛을 주지 않았고 3~4일차에 17 lux의 빛을 조사하였으며, 그 이 후 주기적으로 115~120 lux의 빛을 조사하면서 생육을 진행하였다. 농가에 재배하고 있는 ‘수한1호’의 자실체 특성은 갓 직경은 30.9 mm, 갓 두께는 4.5 mm이며, 대 두께는 11.0 mm, 대 길이는 76.0mm였다. 대 경도는 0.8 g/mm, 갓 경도는 2.8 g/mm였고, 대와 갓의 L값은 79.9와 52.3이였다. 자실체 수량은 160.2 g/850 ml였고, 개체중은 12.8 g/ 10 unit였다.
        4,000원
        39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measuring instruments for SHM of structures has been developed. In general,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sensor signals, compared to its wired counterpart, is preferable due to the absence of triboelectric noise and elimination of the requirement of a cumbersome cable. However, in extreme environments, the sensor may be less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s a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and data logger. This may compromise on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and instrument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free vibr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wireless MEMS sensors at an actual site. Measurement was assessed in time and frequency domain by changing the temperature variation at(- 8℃, - 12℃ and - 16℃) and the communication distance (20m, 40m, 60m, 80m).
        4,000원
        398.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research, the change of Korean middle-school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s is investigated through analyzing eighth graders’ survey data collected over the past 20 years of TIMSS. We extracte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that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on changes of Korean science education, and have been surveyed more than 3 study cycles up to TIMSS 2015. The selected educational context variables include school resources and school climate from the school principal’s questionnaire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from the teacher’s questionnaires. For each context variable, we analyzed its trend over TIMSS cycles,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in light of Korean educational policy and curriculum changes.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ed several ways that help to impro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light of lab assistants, computer availability,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middle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4,000원
        399.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IVET) has emerged as a relevant technology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with increased use in the retail context (O’Brien, 2016). As its use increases, there is a need to better understand its impact on consumer behavior and the experience that it deliver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search model that captures the key constructs in understanding consumer acceptance behavior of the innovative technology used in marketing and how it impacts the brand experi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antecedents (i.e., message fit and personal innovativeness) that may impact user’s attitude toward the IVET advertisement and self-image congruence, and 2) the transfer of positive or negative IVET advertisement attitude to behavioral intention. Survey was distributed at a large Southern university in USA. Out of 213 survey completed, 143 was usabl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AMOS 23). The results showed that message fit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ad attitude and self-image congruence. Personal innovativeness had positive impact on ad attitude, but not on self-image congruence. Ad attitude had no effect on self-image congruence while having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offline store and online store visit intentions. Lastly, self-image congruence influences both offline and online store visit intention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evaluation of the virtual world brand experience (i.e., attitude toward the IVET advertisement) is a strong predictor of user behavior toward the brand. A consumer’s interactions with a brand in the virtual environment may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consumer’s desire to develop a relationship with the brand in other marketing channels, and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he marketer to assist in the buying process. Further, personal characteristic such as personal innovativeness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 their attitude toward the IVET marketing which further leads to consumer’s decision to visit the online and offline store. In addition, self-image congruence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user’s intention to visit the stores, such that consumers who perceive their brand experience as more consistent with their self-image are more likely to consider purchasing the brand in the real world. The results suggest that some consumers may tend to behave in ways that are congruent with their self-identity across marketing channels.
        400.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arrival of multimedia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dvertisement surrogacy type and structure are diversified. This advertising agency is a situation that requires a commission system idea suitable for changing environments. Especially in Korea, there is no legal standard of advertising agent fee. Principles such as the fee rate and the burden body of the fee that depended on this custom are also considered part. In particular, government advertisements, where advertising costs are in short supply compared to private companies, need to establish a more efficient system of subsidies. Currently, the compensation system for advertising agencies in Korea is based on commission However, there are many opinion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gross fee system that is necessary for acting as an advertising agency, and there is a strong tendency for actual global advertising companies to pursue the agency fee system. We propose the feasibility of the fee system by analyzing the commission system suitable for the multi-media environment, focusing on the commission, the fee system,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fee system of the domestic advertising market It can become a method that can complement the market, and it is also a direction for domestic advertising companies to seek in a market where global competition is intense.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dvertising agency fee system of Korea and the comparison of the fee system of the global advertising agency with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 advertising market in major overseas countries, , Where basic information such as surveys of prisoners are used together. This result will serve as a guide for efficient advertising by means of marketing communication using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