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3

        381.
        199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적으로 이온화된 N과 증기상태의 Ga을 300~730˚C의 온도 범위에서 직접 반응시켜 (001)Si과 (00.1)사파이어 기판 위에 GaN박막의 성장 초기 단계에서는 GaN의 성장률이 증가한 후, 결정 핵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서 성장과 합체에 의하여 성장률의 변화가 일정 값에 달하였다. 이 연구에서 성장한 GaN박막에 대한 XPS분석 결과 낮은 온도에서 성장된 GaN박막은 진공 chamber 내의 산소가 성장된 박막 내에 많이 혼입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낮은 온도, 짧은 시간 동안 성장된 표면은 Ga덩어리들도 도포 되었다. 그러나, 기판온도와 성장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들은 피라미드 형태의 결정들로 성장된 후 원형고리 형태의 결정으로 합체되었다. 특히 N-소스의 공급이 충분한 경우에는 판상의 결정으로 성장되었다. 20K의 온도에서 측정된 PL스펙트럼에서는 3.32eV와 3.38eV에서 불순물과 관련된 발광이 관찰되었다.
        4,000원
        382.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Mb=5.5)의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였다.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 지진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얻어진 지진발생기구를 사용하였다. 지진발생기구에 의하면, 이 지진은 거의 동서방향의 압축응력장에 주향이동성분이 가미되어 발생한 것을 암시한다. 지진원 요소들은 단주기 및 장주기 P파에 대한 원지장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지진모멘트(M0), 코너주파수(f0), 지진원 반경(r) 및 응력강하량(\Delta\sigma)은 각각 M0 = 3.18\times1024 dyne-cm, f0=0.3 Hz, r=3.7km, \Delta\sigma=27bar로 구해졌다. 지진모멘트로부터 산정한 모멘트 규모는 5.6으로 나타났다.
        4,000원
        383.
        1997.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38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forage experimental plots,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h m 1995 to 1996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gume residues as a N source and N fertilizer on corn (Zea mays L.) silage yield, N uptake, and availability
        4,300원
        38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ues of roughages available in Korea on feed intake and digestibility of Korean native goats and consequently to apply its results to the feeding system of Korean goats as a basic information. The results are as f
        4,000원
        387.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도 및 기주종류별 담배거세미나방의 난 및 유충발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담배거세미나방 난과의 부화율은 온도에 관계없이 천연기주에서 100% 부화하였으나, 인공 사육용 갱지에서 약 65-87%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난기간은 , 및 에서 각각 약 4.4일, 3.9일 및 3.0일 이었으며, 기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유충발육기간동안 유충무게는 와 의 경우 발육초기에는 고구마 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으나 중기이후에는 콩잎과 들깨잎을 식이한 유충이 무거웠다. 하지만 의 경우 유충발육 12일까지 고구마잎에서 사육된 충이 다른 기주에서 사육된 충보다 무거웠는데, 이는 가 와 32에 비해 저온으로 유충의 발육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기 때문으로 여겨졌다. 유충의 사망률은 온도별로는 에서 가장 높았고, 에서 가장 낮았다. 하지만 기주별 사망률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유충발육이 진행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경항이었다. 유충기간은 에서 약 23.6-30.4일, 에서 18.6-22.3일 및 에서 약 14.5-18.0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유충기간이 ?아졌으며, 기주별로는 콩잎에서 가장 짧았고 다음이 들깨잎 및 고구마잎 순 이었고, 인공사료에서 가장 길었다. 난과 유충의 발육임계온도는 각각 평균 약와 였다.
        4,000원
        390.
        199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각종 전자부품에 이용되는 백금막의 밀착력과 응집화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온도저항계수(TCR)의 열화 없이 밀착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AI, Si의 산화물을 adhesion promoting layer로 이용한 결과 매우 우수한 밀착력과 TCR을 보였다. 질소분위기 600-900˚C의 온도범위에서 행한 열처리를 통해 응집화현상을 관찰한 결과 응집화는 기판거칠기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Si3N4등의 기판거칠기가 작은 adhesion promoting layer를 이용한 시편의 경우 고온인 900˚C에서 응집화 현상이 발생되었다. 표면거칠기가 큰 AI-Si 산화물을 adhesion promoting layer로 이용한 시편의 경우 비교적 저온인 600˚C에서 응집화 현상이 발생했으며 800˚C이상의 열처리의 경우 중앙응집체와 응집체고갈지역이 형성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4,000원
        391.
        1995.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ist of radio sources in the field of Abell 2256 is presented at 1420 MHz. Also presented is the source count based on the list. This source count is taken with the sources above 7σ level at 1420 MHz.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 is consistent with that of a field where no galaxy cluster presents. The excess of radio sources due to the cluster is examined in the source count but it turned out to be unnoticiable as expected.
        4,500원
        392.
        1995.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일 이온원을 사용하는 이온빔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Mn-Zn페라이트 박막을 증착하였다. 기판은 1000Å의 산화막이 입혀진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고 타깃은 (110)Mn-Zn 페라이트 단결정위에 Fe 금속선을 부착한 모자이크 타깃을 사용하엿다. 산소의 유입없이 성장된 박막은 금속선으로부터 스퍼터링된 금속이온들에 의해 상대적인 산소결핍을 나타내어 Wustite 구조를 가졌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판주위로 산소를 유입시켜 증착시킨 결과(111) 우선배향성을 가지는 스피넬 페라이트 상의 박막을 얻을 수 있었다.박막의 성장속도는 이온빔 인출전압, 이온빔 입사각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기판과 타깃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낮은 이온빔 인출전압에서는 인출전압의 증가에 따라서 박막의 결정화가 향상되었지만, 매우 높은 인출전압에서는 이차이온의 에너지가 너무 높아 박막에 손상을 가하게 되므로 인출전압이 증가할수록 박막의 결정화는 오히려 저하되었다. 스피넬 구조를 가지는 페라이트 박막들은 페리자성을 나타내었으며 박막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자화용이축을 가졌다.
        4,000원
        393.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가지 종류의 곤충 중장에 있는 주요 해독효소인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의 활성을 그들의 먹이종류 및 섭식여부와 연관시켜 분석하였다. 담배나방유충을 인공사료로 사육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중장의 cytochrome P-450 monooxygtenases(MFO)활성이 지방체의 경우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고추열매나 인공사료를 공급하여 사육하였을 때보다 담배잎으로 사육하였을 때 담배나방유충의 중장 MFO는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흰불나방의 경우염주나무잎이 MFO활성을 가장 높게 유기했다. 담배나방, 파밤나방, 희불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등의 유충들을 각각의 인공사료로 사육하였을 때 광식성이며 동시에 살충제저항성을 보유하고 있는 파밤나방의 MFO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000원
        394.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홀스타인 암소 육성우에 옥수수사일리지와 볏짚을 급여하면서 영양수준을 80, 100 그리고 12%(NRC 요구량 대비)로 급여할때 육성우의 중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성우 30두를 각 처리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로 공시히여 체중 400kg까지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사일리지 및 볏짚급여시 육성기 최대 일당중체량은 각각 체중 200과 250kg 일때였다. 2. 체중이 증가할수록 DM, CP 및 TDN 요구량은 증가되
        4,000원
        395.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관분화(器官分化)된 유채의 조직으로부터 재분화되는 식물체의 획득빈도를 높이고자 이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의 종자, 무균배양(無菌培養)된 자엽(子葉), 하배축(下胚軸) 및 엽절편(葉切片)배양에서 명상태에서 보다는 암상태에서 캘러스의 생장이 왕성하였고, 하배축(下胚軸)과 자엽조직(子葉組織)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shoot 분화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자엽(子葉) 및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의 캘러스형성에는 2, 4-D 단용보다 2, 4-D와 kinetin 또는 BAP를 혼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엽조직(子葉組織)의 경우는 2, 4-D(1.0 mg/)와 0.1mg/의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 형성된 캘러스를 0.1mg/의 NAA와 2.0 mg/의 kinetin이 첨가된 배치에 이식하였을 때 shoot 분화율이 1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에서는 1.0mg/의 2, 4-D와 0.5mg/의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0.1mg/의 NAA와 4.0mg/의 kinetin이 혼용된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shoot 분화율(分化率)이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엽(子葉) 및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의 캘러스 형성과 shoot분화능력의 유채 품종간(品種間) 차이는 매우 뚜렷하게 인정되었고, 자엽(子葉)보다는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shoot 분화능력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4,000원
        396.
        198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resents the specific rule governing the image configurations of an extended source for micro lensing of the two body gravitational lens system developed by Chang and Refsdal (1979). Various topological situations of a source a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regions bounded by the so-called critical curves.
        4,000원
        397.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ametric 음원을 어탐에 응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본 실험에서는 parametric 음원의 특성을 조사하고 이 음원으로 어체에 대한 표적 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200KHz의 단일주파수 음원으로 측정한 결과와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KHz인 단일주파수로 구동할 때의 지향각은 5.0˚였고, parametric 음원의 주파수가 5KHz, 10KHz, 16KHz, 20KHz일 때의 지향각은 각각 4.3˚, 2.2˚, 3.0˚, 2.5˚로서 주파수 저감비가 감소할수록 지향각이 예리하였으며 부엽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 parametric 음원의 주파수가 5KHz, 10KHz, 16KHz, 20KHz일 때의 음파변환효율은 각각 0.9%(Parametric 이득은 -41dB), 0.55%(parametric 이득은 -45dB), 0.1%(parametric 이득은 -60 dB), 0.04%(parametric 이득은 -68 dB)로 주파수 저감비가 감소할수록 음파변환효율은 급격히 낮아졌다. 3. parametric 음원으로 측정한 어체의 표적강도는 200KHz의 단일주파수 음원으로 측정한 표적강도에 비하여 단일어체일 때는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서 5 dB씩 낮았으며 어체수가 2~3마리 일때는 머리부분과 꼬리부분에서 1~3 dB 정도 낮았으나 측면부분은 비슷하였다
        4,000원
        399.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rthquake source parameters of Daegu and Incheon Earthquakes occurred on July, 1985 are re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by Central Meteorological Office of Korea(CMO). Instead of the travel time table used in CMO, the seismic velocity structure calculated from the explosion seismic record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is adopted in determining source parameters, P-wave and S-P wave arrival times obtained from seismograms recorded in the networks of KIER and JMA including CMO are used. The discrepancies of determined epicenter and focal depth between CMO and the present work appear to be 6∼8 ㎞ and about 10 ㎞,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potential error included in epicenter of the Korean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is supposed to be about 10 km for the earthquakes(M$gt;3) occurred within the CMO network. However, the error will probably be more than 10 ㎞ for smaller earthquakes or earthquakes of the outside of the network.
        4,000원
        400.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the origin of Nong Jung Shin Pyun ( 農政新編 ), a book of agricultural manual. This book was edited by An Jong-Soo who translated the agricultural manual of Japan and China, both were writted in Japanese. This book might be used not only as text book for agricultural workshop but as reference book for peasants.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