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3

        401.
        198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ral authors reported that vegetable proteins cause to decrease serum cholesterol and reported the effect of limiting amino acid balance in dietary protein on the blood compon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growth rate and blood component in 1% cholesterol-fed male rats intake pure isolated soy proteins and methionine for 4 weeks. The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either 20% casein or isolated soy protein as dietary protein sources and methionine as limiting amino acid of isolated soy protein and casein prote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body weight gain was the greatest in casein groups. 2) Serum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asein groups and slightly de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groups. 3)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groups than control group. 4) Serum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groups than control group. 5) Serum glucos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isolated soy protein plus 0.8% methionine than control group. 6)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ll experimental diets groups than control group. Especially, casein groups were the most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diets groups.
        4,000원
        402.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압변압기의 1차측을 제어하고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을 이용한 수중방전음원의 전기음향학적 제특성을 분석.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전시 2차측 전류는 초기에는 Ohm 법칙을 따르다가 전류가 최고 6.3A 흘러 절연 파괴되었으며, 그 순간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2. 전류인가점과 방전음 생성문의 시간차는 약 3ms였으며, 전압이 최고일 때 절연파괴가 일어나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3. 전극의 끝이 뾰족할수록 2차측 전압이 높을수록 음압수준은 높았다. 4. 뾰족한 형태의 전극은 전극간격이 100cm일 때도 방전이 일어났으며 전극간격이 1cm이상부터 비교적 안정된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5. 방전음의 펄스폭은 약 0.15ms인 Shock Wave였으며, 10HKz 이하의 합성저주파 성분이었다.
        4,000원
        403.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엽위별로 형성된 병반수나 병반면적율은 통일계품종에 있어서는 n-1에서 n-3까지 그리고 일본형수수품종에 있어서는 n-2에서 많았으나 통일계품종중에서도 고도로 감수성인 노풍에 있어서는 n-1(지엽)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병반의 분포도와 시비수준과의 관계는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뚜렸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엽위별로 보면 수잉기 이후 이삭도열병의 전염원으로는 n-1에서 n-5까지의 잎위의 병반이 관여하나 주로 n-1엽과 n-2엽의 관여도가 큰 것으로 고찰되었다. 수잉기 이후의 저온역에서의 변온은 잎위의 병반에서의 포자 형성량을 증가시키며 포자의 형성, 이탈, 비산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않고 9월말까지도 다량의 전염원을 수에 공급하고 있었다.
        4,000원
        404.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한요소법에 의한 고체내부 사각열원 주위 열전도특성은 실험에서 구한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으며 열전도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각열원의 중심거리 이동에 따른 열전도에 미치는 중심방향의 영향은 열원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보이며 x=16cm 일 때 model 4에서 θ=0.698 model 3에서는 θ=0.401이다. 그리고 내부로 감에 따라 그 차는 감소한다. x=40cm에서 model 4은 θ=0.907이고 model 6은 θ=0.895이다. 2. 높이방향의 영향은 공기와 접하므로 대류현상이 일어나므로 열원의 크기를 벗어나는 구역은 model 1~3에서는 y=8~12cm model 4~6에서는 y=4~8cm이다. 그리고 두 곳의 온도의 차는 θ≒0.009이다. 3. 열전도도의 변화에 따른 열전도의 영향은 그 값이 클수록 강하게 나타나며 model 2에 대해서 높이 방향의 전 경계에 대한 무차원온도의 변동은 k=7 일 때 θ=0.079~0.054 k=0.3일 때 θ=0.0036~0.0025의 값을 나타낸다
        4,000원
        405.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은 1973년이래 해마다 발병이 증가하여 1975연에는 발병엽율 에 달하였으며 1974년 향나무 재식규제조치이후 감소하였다. 붉은별무늬병원균의 동포자발아 시기는 4월중순부터 5월중순까지 였으며 인공강우에 의하여 그 발아시기를 5일 전에 알 수 있었다. 성숙한 동포자퇴의 포자발아에는 3시간 이상의 계속되는 비로서 상당량의 강수가 필요하였다. 배나무의 감염은 강우중이나 강우직후에 이루워지고 있었으며 강양 24시간 이후의 감염은 없었다. 감염후 배나무에서의 잠복기간은 일이었다. 배나무와 향나무사이의 지리가 100m 이내인 경우에는 거의 모든 배나무가 발병하였으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발병율도 감소하였으며 2km 이상에서는 발병이 없었다.
        4,000원
        406.
        197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te of gravitational quadrupole radiation is derived in the formalism of source theory. It is also shown that gravitational superradiance is theoretically possible.
        3,000원
        407.
        1978.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408.
        196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참깨나 목화에 기생하여 위조병을 일으키는데 Fusarium oxsporum f. vasinfectum의 생육에 미치는 질소원의 종류 및 농도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연구에 착수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로부터 질소원의 종류 및 농도의 차이가 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공시한 4종의 질소원 중에서 Nitrate N나 Urea N가 Ammonia N 또는 Ammonium and Nitrate N 보다 공시균의 생육에 대하여 더욱 알맞는 질소원이었다. 그 중에서도 Nirtrate N는 타른 N원보다 훨씬 넓은 농도범위에서 본균에 의하여 이용되므로 가장 알맞는 질소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Ammonia N는 공시균의 균계생장이나 포자형성의 현저한 감소와 더불어 기형적인 파형균총 또는 염주상균계세포를 농도에 관계없이 형성하므로 질소원으로서의 이용가치가 거의 없다. Ammonia N가 공시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파형균총 또는 염주상균계형성으로 보아 Phenoxy 화합물이 타른 진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흡사하다. Ammonium and Nitrate N도 50meg.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균의 균계생장 또는 포자형성을 감소시키는 한편 파형균총과 같은 이상생육이 다소간음폐되기는 하나 적제 Ammonia N에서 유래하는 파형균총을 유기하므로 알맞는 질소원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Ammonia N 단독 또는 타질소원과 Ammonia N의 결합태는 Fusarium oxysporum f. vasifectum의 생육을 위한 질소원으로서는 부적당하다.
        4,000원
        409.
        202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emission from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in the Pyeongdong industrial complex in Gwangju. In addition, the objective wa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OCs in the ambient air in industrial complexes affected by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The painting facility mainly emitted toluene, acetone, butyl acetate, 4-methyl-2-pentanone, ethyl acetate, 1-butanol, methyl ethyl ketone, m,p-xylene, o-xylene, 4-ethyltoluene, ethylbenzene, 3-ethyltoluene, and 1,2,4-trimethylbenzene. The main emission components in printing facilities were methyl ketone, ethyl acetate, acetone, 2-propanol, toluene, heptane, and butyl acetate. Ethyl acetate, toluene, 2-butanone, acetone, butyl acetate, 2-propanol, xylenes, and 4-methyl-2-pentanone were detected in the ambient air of the Pyeongdong industrial complex, consistent with the VOCs emitted by painting and printing faciliti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easonal TVOCs followed an order of winter > fall > spring > summer, whereas the concentrations of daytime and nighttime TVOCs were generally higher at night than those during the day, and the wind speed was greater during the day than it was at night. Based on a factor analysis of VOCs in the ambient air of Pyeongdong industrial complex, it is considered that organic solvents used in coating, printing, and electronics manufacturing facilities, as well as diesel vehicle emissions played a major role.
        410.
        202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ource identification, and health risk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present in particulate matter 10 (PM-10), in Gwangju. PM-1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21 to August 2022 from three sampling sites, one located in each of the following areas: green, residential, and industrial.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AH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industrial area (9.75±6.51 ng/㎥) than in the green (6.90±2.41 ng/㎥) and residential (6.74±2.38 ng/㎥) areas. Throughout the year and across all sites, five-ring PAH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29.8–34.5%) of all PAHs. The concentrations of PAHs showed distinct seasonal variations,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 observed in winter, followed by autumn, spring, and summer. Source apportionment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diagnostic ratio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hich indicated that coal/biomass combustion and vehicle emissions were the primary sources of PAHs in PM-10. The incremental lifetime cancer risk was estimated for all age groups at all sampling sites, and the results revealed a much lower risk level than the standard acceptable risk level (1×10-6).
        411.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restore reclaimed land, it needs to be supplemented with organic matter; this is especially true for Korea, where organic matter constitutes only one-tenth of conventional agricultural soils. The giant Miscanthus, a perennial grass known for its extensive biomass, shows signs of being an excellent source of organic matter for restoring reclaimed land.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 evaluat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giant miscanthus as an organic resource within the context of re-using reclaimed land for agricultural purposes (i.e., potato cultivation), and (ii) determine the optimum fertilization rate for the potatoes while the giant miscanthus is being used as an organic resource. Our results show that after 180 days, giant miscanthus lost 23–47% of its original dry weight, with the extent of the loss dependent on soil salinity. Nutrient concentrations (Mg2+, Na+) continued to increase until the end of the study period. In contrast, potassium (K+) and the ratio of carbon to nitrogen (C/N) decreased until the end of the study period. Specifically, after 180 days, low salinity topsoil treatments had the lowest C/N ratio. In the first year, 150 % of standard N rates were required for the potatoes to achieve maximum productivity; however in the 2nd year, standard rates were sufficient to achieve maximum productivity. Overall, this implies that even though the application of giant miscanthus did eventually improve soil quality, increasing crop yields, N fertilization is still necessary for the best outcomes.
        412.
        202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의 판 내부 기원 신생대 후기 현무암류(백두산, 전곡, 백령도, 평택, 아산, 간성, 울릉도, 독도, 제주도 등)에 대해 그 동안에 보고된 Sr-Nd-Pb-Mg-Zn 동위원소를 포함한 지구화학 자료를 종합정리하고, 그 근원 맨틀 속에 포함된 암상을 파악한 후 필요한 맨틀 단성분의 종류와 그 성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Sr-Nd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EM2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되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EM1형 해양도 현무암의 영역에 도시된다. Pb-Pb 동위원소 상관도에서 제주도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2 단 성분 간의 혼합 배열을 보이는 반면, 다른 지역 현무암류는 인도양 중앙해령 현무암과 EM1 단성분 간의 혼 합 배열을 보인다. 한반도 현무암류는 석류석 러어조라이트와 함께 과거에 섭입하여 맨틀 전이대에 정치하고 있는 해양판 물질(에클로자이트/휘석암, 원양 퇴적물, 탄산염)이 혼합된 맨틀에서 유래되었다. EM1형 단성분의 역할을 하는 물질은 오래전(~2.0 Ga)에 섭입되어 중성 부력으로 맨틀 전이대에 정치되어 있는 (함)K-Hollandite 원양 퇴적물로 추정된다. EM2 단성분은 맨틀 속에 섭입된 후 빠른 시간 안에 재활성된 상대적으로 젊은(아 마도 태평양판의) 원양 점토 퇴적물일 가능성이 높다. 에클로자이트와 탄산염은 EM 구성요소는 아니나 한반도 현무암의 근원 맨틀 속에 공통 인자로 포함되어 있다.
        413.
        2022.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erspective for explaining galaxy rotation curves. We conjecture that there is a gravitational moment of inertia which, together with gravitational mass, contributes to the gravitational potential. We substantiate a formula for the potential created by the moment of inertia. We validate our model by computing orbital rotation velocities for several galaxies and showing that computed rotation velocities correspond to the observed ones. Our proposed approach is capable of accounting for constant gas velocities outside of a galactic disc without relying on the dark matter hypothesis. Furthermore, it addresses several problems faced by the application of the dark matter hypothesis, e.g., the absence of inward collapse of dark matter into a galaxy, the spherical distribution of dark matter around galaxies, and absence of traces of the effect of dark matter in two ultra-diffuse galaxies, NGC 1052-DF2, and NGC 1052-DF4.
        414.
        202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dustrial emissions, mainly from industrial complexes, are important sources of ambient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dentification of the significant VOC sources from industrial complexes has practical significance for emission reduction. VOC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uly 2019 to June 2020. A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PMF) receptor model was used to evaluate the VOC sources in the area. Four sources were identified by PMF analysis, including coating-1, coating-2, printing, and vehicle exhaust. The coating-1 source was revealed to have the highest contribution (41.5%), followed by coating-2 (23.9%), printing (23.1%), and vehicle exhaust (11.6%). The source showing the highest contribution was coating emissions, originating from the northwest to southwest of the sample site. It also relates to facilities that produce auto parts. The major components of VOC emissions from the coating facilities were toluene, m,p-xylene, ethylbenzene, o-xylene, and butyl acetate. Industrial emissions should be the top priority to meet the relevant control criteria, followed by vehicular emissions. This study provides a strategy for VOC source apportionment from an industrial complex, which is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targeted control strategies.
        415.
        2020.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요즘 중한 양국 문화 영역의 합작이 심화하고 있다. '원소스 멀티테리토리'모식으로 제작한 중한 영화들을 관객의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용하형경>과 <극한직업>이 개봉하면서 양극화 관영 평가와 현격 한 흥행 차이가 생겼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영화를 중심으로 내러티브, 캐릭터로서 현지화 원소의 운용을 대비하고 분석한다. 같은 스토리는 어떻게 다른 나라의 현지화 사회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살펴보고 더 우수한 중국 영화를 만들기 위해 현지화 원소의 활용 방법을 총결해야 한다.
        416.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English proficiency was a factor to determine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use language copied from a source without attribution. The unattributed copying from a source was analyzed using a quantitative measurement, a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students' perception of plagiaris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 of textual borrowing and the length of strings of words borrowed from a source demonstrat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ficiency levels. The participants' language proficiency also influence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plagiarism. Th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perceiving plagiarism suggest that students with low English proficiency may be somewhat less aware that their heavy reliance on direct copying of a source could be regarded as unacceptable in academics than those with high English proficien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focusing on preventing plagiarism.
        417.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orage sources and their inclusion levels in diet on the rumen fermentation of Korea traditional goat. Timothy and alfalfa were used as forage sources. Forages were mixed with concentrate diet in different ratios. The ratios of forage to concentrate diets were varied to 1:9, 5:5 and 9:1. The rumen fluid of goat was gathered from slaughter house.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decreased and methane production was increased as forage levels in diet was increased. When forage sources, timothy and alfalfa, were compared, groups with timothy showed greater methane production than the groups of alfalfa. Molar ratio of produced acetate and valerate were increased when forage level in diet was increased. In the case of propionate and butyrate, they were decreased as elevated forage levels in die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a basic information for rumen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goat and these information could be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and feeding strategy.
        418.
        2019.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강바닥판 교량의 교면 포장에 240 °C 이상의 온도에서 포설 되는 구스 아스팔트 가 적용되는 경우, 구조물에 발생하는 열 영향의 검토를 수행하지만, 수치해석에 적용 가능한 열원 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단순화된 온도 하중을 절점 하중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스 아스팔트 포장 시 계측된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록 제한적이지만 평판요소에 직접 재하 가능한 열원 방정식을 구성하여 제시하였으며 간략한 수치해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419.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와류형 미필터 비점오염저감장치를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저감장치의 검증을 위해 오염물질을 이용하여 총 12개 형태(3개 강우강도×2개 상태×2개 단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1) 모의유입량 산정(강우강도 2.5 mm/hr: 0.00152 m3/s, 강우강도 3.395mm/hr: 0.00206 m3/s, 강우강도 6.870 mm/hr: 0.00326 m3/s); (2) 오염물질 채취 및 투입(4개 입경 사이즈의 25%씩 혼합); (3) 오염물질 제거효율 측정으로 구성하였고, 장치 초기상태와 운영상태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강우강도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강우강도에서 초기상태 및 운영상태 모두 오염물질 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유입수 대비 유출수 오염물질 제거효율에서도 오염물질을 환경부 기준 80% 이상 제거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제거효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여 약 90%를 상회하였으며, 초기상태보다 운영상태에서 오염물질 제거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와류형 미필터 비점오염저감장치로 효율적인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420.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applying guss asphalt to steel deck bridges, excessive temperature increases caused by pavement may affect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and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However, studies of heat source data applicable to numerical analysis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quation of pavement heat source that can predict the stability of thermal effect by using temperature experiment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