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20

        467.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의 맥락에서 여학생들이 어떠한 개별정서를 경험하고, 경험한 정서의 빈도가 어느 정도 인지를 확인하며, 여학생들이 경험한 개별정서의 심리 내적인 과정을 Lazarus의 인지평가이론에 따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일기, 면담,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여학생들은 피구수업에서 자부심(3회), 희망(2회), 공포(3회), 두려움(2회), 수치심(1회), 분노(2회), 행복(4회)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허들수업에서 슬픔(5회), 분노(1회), 두려움(3회), 행복(1회)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들의 개별정서 경험은 체육수업에서의 경험에 대한 개인적 의미를 어떻게 부여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개별정서가 유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갖는 교육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468.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 A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저소득층 남녀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6년 12월 8일에서 2007년 2월 16일까지이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총 17회로 구성되었다. 사회적 능력은 전체 원예활동 전 55.3점에서 원예활동 후 64.4점으로 유의하게(p=.01) 향상되어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TP 그림 검사에 의한 대상아동 전체의 정서변화에서도 전체 원예활동 전 4.44점이였으나, 원예활동 후 2.22점으로 유의하게(p=.048) 우울과 불안 요소의 항목들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서 변화의 생리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피부전기활동 측정결과 아동 D의 경우 원예활동 전에는 피부전도도가 4.615㎲로 나타났으나, 원예활동 후에는 1.778㎲를 나타내었다. 대상아동 G의 경우 원예활동 전에는 피부전도도가 10.907㎲로 나타났으나, 원예활동 후에는 2.181㎲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두 아동 모두 불안, 우울하던 심리적 상태가 원예활동에 의해서 안정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활동에 의한 대상아동들의 행동변화 관찰결과 대부분의 아동들이 원예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호응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다양한 원예활동은 정서적으로 불안한 아동들, 특히 저소득층 아동들의 올바른 정서함양, 사회성 발달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앞으로 아동들을 위한 더욱 다양하고 흥미 있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469.
        2008.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 신길동 소재의 D직업전문학교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내재화 영역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위영역에서도 전반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공격성은 근소한 차이(0.21)로 증가추세를 보였다. 그 원인으로 입학 초기에는 서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소극적 교제를 하다가 시설에 적응해 나감과 동시에 긴장이 완화되어 잠재되어 있던 공격성이 표출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실시하여 변화를 관찰하기로 하였으며 특수한 상황에 처해진 청소년들의 공격성 완화를 위해 운동놀이 치료를 접목한 연계프로그램을 계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기술습득을 위주로 하여 평소 식물을 가까이 접할 기회가 없었던 청소년들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시간과 식물이 주는 편안함과 순수성으로 인해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집단의 청소년들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극 적용하면 정체성 혼란의 시기를 슬기롭게 잘 극복해 내리라 사료된다.
        479.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적정 기능역(Individual Zone of Optimal Functioning, IZOF) 모형에서 개인이 경험한 정서의 경험수준과 운동수행의 관계를 설명한 적정 기능역 원칙(in-out of the zone principle)을 검증해보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각 정서의 기능역에 대한 방향성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대학 운동선수 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Hanin(2000)이 개발하여 최영준(2005)이 번안한 개인 정서 프로파일(Individual Emotion Profile, IEP)을 이용하여 총 3차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공한 수행에서는 정서의 경험강도가 적정수행역(optimal zone) 내에 있고, 비기능역(dysfunctional zone) 외에 있으면 운동수행에 좋은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실패한 수행에서는 좋은 영향을 주는 정서인 P+, N+, P+N+ 정서는 예측을 지지하였지만, 나쁜 영향을 주는 P-, N-, P-N-정서는 예측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에 있어서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적정 기능역 원칙(in-out of the zone principle)을 검증한 여러 연구(Syrjä, Hanin, & Pesonen, 1995; Syrjä, 2000)와 동일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근거로 정서의 경험수준과 운동수행력에 대한 관계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각 정서의 기능역인 적정수행역(optimal zone)과 비기능역(dysfunctional zone)에서의 영향력뿐만 아니라, 기능역 미만과 초과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운동수행과의 관계도 알아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8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사회의 급격한 가치관 및 사회구조의 변화로 인해 가정이 와해되면서,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결손가정 아동의 건전한 심신발달을 위하여 원예활동 및 글쓰기 병행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K-HTPF 그림에서는 활동 후 사회성, 안정감 및 역동성 등이 증진되었다. 또한 원예활동 및 글쓰기를 통하여 아동은 자연친화적 태도를 보여 주었다. 그중 자연물에 대한 관찰 및 관심증대, 자연과 식물에 대한 지식증가, 식물을 가꾸고 돌봄에 대한 의식증가 등이 뚜렷하였다. ADS검사결과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으며, 원예활동에 대해 새로운 경험으로 인식, 만족감을 표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