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1.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three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optimal time of blood collection for plasma urea nitrogen(PUN) analysis, to examine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PUN levels in recipient herd and to relate concentration of PUN to conception rate in Hanwoo recipi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PUN level and time postfeeding was examined for 5 individual cows. Mean concentration of PUN rose for 4hrs postfeeding and decreased to PUN level before feeding at 10hrs postfeeding. And then, the blood for PUN analysis was collected at the time before feeding in next experiments. The ratio of cows with PUN concentration of < 12, 12∼18 and 18mg/dl were 50.6, 39.9 and 9.5% in 163 recipients, individually. The pregnancy rate of cows with PUN concentration 12∼16 mg/dl (63.3%) was higher than that of cows with PUN concnetration < 12 mg/dl (46.7%) or > 16mg/dl (42.9%). There results suggest that the PUN test may be beneficial for management of recipient herd in effects to maintain or improve reproductive efficiency.
        4,000원
        42.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for embryo transfer techniques by analyzing several factors affecting in-vivo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Embryos produced in-vivo were transferred into a total of 301 recipients The results obtained in studies on the factors affacting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by condition of recipients were as follows ; 1. The pregnancy rate by age and parity of recipients showed high in 5~8 and over 12 years old(72.7~73.9%), and 3rd~4th parity(82.1%) for fresh embryos(P<0.05). The pregnancy rate did not differ by age and parity of recipients in frozen embryos. The pregnancy rate of frozen embryos tended to be similar to that of fresh embryos(38.5% and 25.0~36.7%). 2. The number of observation for normal estrus cycles of recipients did not differ In pregnancy rate between one and 2 times in fresh embryos(64.9%, 69.8%). The pregnancy rate by transferred frozen embryo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fter 2 times of observation(P<0.05, 16.3%, 37.5%). The pregnancy rate by days open did not differ between fresh and frozen embryos. But the pregnancy rate was slightly higher in 12 months and 6 months of days open for fresh and frozen embryos, respectively(70.1~71.1% and 24.5%, respectively). 3. The pregnancy rate of transferred fresh and frozen embryos into right and left side of uterine horn did not differ(62.1% : 65.9% 25.0% : 24.3%,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 by the grade of CL was not different in fresh embryos, but the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ade A than B for frozen embryos(P<0.01, 43.2%, 16.2%).
        4,000원
        47.
        198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정란이식에 있어서 수란우의 조건에 따른 수태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수 14 ~24개월되는 젖소 처녀우 29두와 한우 처녀우 1두, 그리고 젖소 경산우 3두 계33두의 수란우에 morulae stage부터 advanced blastocyst stage의 수정란을 각각 1개씩 이식하여 이들 수란우의 연령, 이식된 계절, 반복사용 그리고 공란우와 수란우간의 발정동기화 시차 등에 따른 수태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란우의 연령에 따른 수태율은 경산우가 100%로 좋았고 18개월 이상의 처녀우가 78%로 높았다. 14개월 이하의 어린 처녀우가 가장 나쁜 67%를 보였다. 2. 이식한 계절에 따른 수란우의 수태율을 보면 겨울(11월~1월)과 봄(2월~4월)이 각각 100%, 83%로 가을(8월~10월)의 50%보다 좋았다. 3. 1차 이식 후 불임된 수란우의 재사용에 따른 수태율은 1차에 사용된 31두 수란우 중 25두가 수태, 80.7%의 수태율을 보였으나 2차례 이용된 2두는 모두 임신되지 못했다. 4. 공란우와 수란우의 발정동기화의 시차에 따른 수태율은 -(before donor) 12 시간, -6 시간, +(after donor) 6시간, +12 시간, 그리고 +12시간 이상에서 각각 100%, 86%, 67%, 79% 그리고 50%로 공란우보다 빠른편이 수태율이 늦은 우군보다 높았고 시간 이내의 동기화된 우군에서 좋은 수태율을 보였다.
        4,000원
        49.
        198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ipients are an integral part of embryo transfer and they are expensive to maintain as a good recipient. Recipient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a successful embryo transfer program. Management includes selection and subsequent care of the animals. A good recipient is basically on "open" cows or heffers whose reproductive tract is capable of receiving one or two embryos and incubating it to term. Potential recipients should be always be healthy and cycling normally ranging from 18 to 23 days. A thorough veterinary examination is recommended for candidate of recipients and cattle for questionable health should be eliminated from the recipient herd. Age and size of recipients are particularly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heifers are used, because of most embryos available for transfer are from large dams and sires. Body condition can influence a recipient's production, reproduction and health. Obese and underconditioned cattle should be avoided for use. Transfer of fresh embryos especially requires precise synchronization of donors and recipients. For estrus synchronization, PGF is injected twice 10 to 12 days apart and short4erm progestagen treatment is applied to potential recipient cattle by coil into vagina (PRID) or ear implant (Synchro-Mate-B). The highest pregnancy results are achieved in recipients at exact synchrony with donors or 12 to 24 hr earlier than donors. Estrus detection is a major factor in breeding efficiency. High accuracy can be achieved by use of heat mount detection alds or by obserbing cattle for 30-minute peroids 3 times daily. Assay progesterone in milk can be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pregnant and nonprenant recipients. Rectal palpation on day 35 to 70 after is an accurate and safe method of pregnancy diagnosis. Embryonic mortality in recipients may be associated with factors such as high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nutritional or lactational stress in early lactation period. Achievement of short calving interval requires concentrated management activity during the first 90 days following calving. Acceptable candidate for a recipient should be routinely vaccinated for infectious diseases. Proper nutritional programs according to NRC requirements and body condition scoring system for recipient cattles are vital to the ultimate success of an embryo transfer program.r program.
        4,800원
        51.
        202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예술작품과 감상자 간 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가까워졌고, 감상자의 적극적 참여가 강조되는 상호작 용예술이 주목받는 현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작품은 감상자가 일정한 규칙을 따르면 그에 대한 결과를 내놓는 다소 한정 적인 경향을 띤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예술의 다변적 결과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공생명 예술을 제시하였고, 그 상호작용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소 생소한 개념일 수 있는 인공생명과 인공생명예술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알아본 뒤 국내외 다양한 인공생명예술 사례를 소개하였다. 보다 명확한 사례분류를 위해 직관적이면서도 단순한 마크베다우의 부드러운, 단단한, 촉촉한 인공생명예술 분류법을 실제 인공생명예술 사례에 적용 한 뒤 각 사례별 상호작용성의 양태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상호작용성의 정도는 상호작용성의 3요소인 속도, 범위, 맵핑의 충족여부를 바탕으로 결정하였다. 이 기준에 따르면 상호작용성이란 사용자가 매개환경에서 얼마나 빠르게 영향력 있으며 자연스럽게 조작이 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그 정도가 결정된다. 사례분석 결과, 부드러운 인공생명예술보다는 단단한 인공생명예술에서, 단단한 인공생명예술보다는 촉촉한 인공생명예술에서 작품과 관람객 간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촉촉한 인공생명 형태에 가까울수록 지속적 진화를 거듭하는 생명체의 특성인 창발성이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창발성은 상호작용성의 3요소를 충족시켜 결과적으로 높은 상호작용성을 이끌어내었다. 다시 말해 관람객 개인 맞춤형 상호작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보다 다변적인 상호작용을 도출해내는데 용이하였다. 본 연구가 상호작용 예술의 다변화를 위한 연구의 밑거름이 되기를 희망한다.
        53.
        2003.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정란 이식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양질의 수정란 생산, 영양상태가 양호한 수란우의 선발, 수정란과 수란우의 발정동기화, 황체발육이 양호한 수란우의 선발과 숙련자에 의한 수정란의 이식 등의 제반사항이 최적으로 이루어 졌을 때에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수란우의 영양상태는 각양각색이라 판단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란우의 사양관리 형태가 수란우 선발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수정란 이식의 효율증진을 도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실험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