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

        4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interaction patterns of L2 learners and their native speaker counterparts in EFL classrooms and proximal social setting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an English cafe at a university (i.e., pseudo-natural setting) and from an English conversation class at a university (i.e., classroom setting). Data analysis focused on teachers" question types, feedback patterns, and learners" responses towards feedback. The analysis based on utterance frequency revealed that students displayed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the pseudo-natural settings. With regards to teacher questions, teachers used more referential questions than display questions in both settings. However, there were twice as many teachers" feedback in the pseudo-natural setting compared to the classroom setting, but the frequent feedback did not slow down the conversation and did not always lead to self-repair. In addition, students in two settings differed in terms of their preferences to feedback in different linguistic categories.
        5,800원
        43.
        2008.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mong the functions of ecosystem, nutrients cycle is the most important for sustaining natural system. But in modernized and industrialized countries, the product consumes the resources and make wastes. This means that valuable resources are turning to waste through product. Waste water is one of the product from the valuable resources, so waste water is no more waste and it can be used as valuable resources for other process by using natural ecosystem. By the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the “zero discharge” could not be achieved by several factors. Shortage of resources is one of the reasons. Secondly, by the environmental engineering, the pollutants are only transformed from one medium to another. Thirdly, for eliminating the pollutants, fossil fuel must be used, which means another pollution. Self-designed and solar energy based ecotechnology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which solve the local, regional and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properly should be found out. Already ecotechnology was defined as “the design of human society with it natural environment for the benefit of both”. By using the functions of ecosystem, such as food web, energy flow, nutrients cycles and homeostasis, pollutants can be eliminated, concentrated and transformed to nature. The major purpose of mechanic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is focused on the large quantity of domestic wastewater. But, small quantity of domestic wastewater is not concerned by public treatment because economic and technical difficulty. However,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rivers, the small quantity of domestic wastewater must be purified. Here, some eco-technologi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stalled in Korea are introduced. The artificial wetland, artificial food web and artificial vegetation island are installed in polluted and ecologically disturbed areas. These methods are not perfectly solvi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y are acting as alternative methods for clean up of polluted and restoration of disturbed ecosystems.
        4,600원
        44.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천식물의 자연환경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내 중소규모의 10개 하천(한강수계의 문산천, 곡릉천, 낙동강 수계의 미천, 쌍계천, 남천, 북한강 수계의 가평천, 조종천, 남한강 수계의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선별한 다음에 각 하천의 전 유로연장에서 가장 자연성이 높은 구간 1km를 중점조사구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그 구간에 대하여 2004~2007년 여름에 식물조사를 belt transect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96종이 출현하였는데, 그 중에서 출현빈도가 높은 121종과 대상지의 환경인자(저수로 물로 부터의 거리, 하상재료의 크기, 사주의 개수, 대상지의 고도, 하상경사, 저수로의 폭, 하천수질측정값)간의 RDA (Redundancy analysis) 및 피어슨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입된 식물종들은 대상지의 고도, 하상경사, 사주의 개수의 인자와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하상재료의 크기, 저수로의 폭, 전기전도도와 인산염인(PO4-P)의 농도와는 상관성이 “매우 높은~보통”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 식물들은 현재의 그들의 수환경 조건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방법의 신뢰성에 큰 무리가 없으나, 사례의 다양성 부족으로 다른 사례하천으로의 확대해석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본 자료는 앞으로 하천특성에 따른 식물연구나 하천식물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는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4,900원
        45.
        200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of the extensive areas in the lower parts of the Nakdonggang River are characterized as zones of the diversely geomorphological features: the riparian wetland and floodplains, the riverine sand island on the river channel and riverine wetlands along the river. It aims to introduce the floodplains of the Nakdonggang River and its tributary (Hwapocheon Stream), and to evaluate their utilities in the process of the watershed management and the stream restoration in future. The lowland floodplains are developed over the 1,000 ha area beyond the riverbank in the middle and lower parts of the river. Furthermore, the 19 sand islands distribute on the river channel and the riverine wetlands are situated over 11 locations along the riverside. The most floodplains along the river had been converted to agricultural and other land uses, especially paddy fields, and two wetlands - the Hwaponeup Wetland in the Hwapocheon Stream and the Wooponeup Wetland in the Topyeongcheon Stream - barely keep in existence of the natural type one. In the Hwapocheon Watershed, the lowland below the 50 m elevation covers 61% of the basin area and the wetland interiorly spread along the stream bank. The area of the Hwaponeup Wetland is 250 ha to rank second level next to Wooponeup Wetland in sizes or scopes of inland ones. The Hwaponeup Wetland displays a unique landscape with the various willowtree population and waterside plants to have the high biological diversity. The 448 ha floodplain area in the lower zone and the 259 ha area in the mid-zone of the stream had been already reclaimed i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the lowland floodplains around the stream-type wetland had been exclusively occupied with the paddy farms. In recent year, as the wetland and floodplain restoration have emerged as a key component in local watershed management programs over the world, these lands should have the greatest potential for future ecosystem recovery and restoration because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Hwapocheon Stream could increase more than those of the other areas. The restoration, creation and enhancement of the wetl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lving existing flood control or erosion, ecological habitat or biological diversity, other water resource problem. In these context, the network systems to connect the stream channels and riparian floodplains are a basic concept in the watershed management. In view of the natural resources, the Hwapocheon Stream will have the better advantage to control the flooding and water quality in the process of the stream restoration or watershed management in the local area.
        4,000원
        46.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인시 석성산은 북위 37˚15'15'~37˚17'00', 동경 127˚09'30'~127˚11'00'에 걸쳐 위치한다. 군집분석 결과 B지역에는 170종류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어 조사지역 가운데 가장 식생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C지역은 140종류의 관속식물을 갖고 있어 다음으로 식생이 풍부하다. 그러나 관속식물의 유사도 지수는 B지역과 D지역이 53.7%로 가장 높은
        4,000원
        4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불암산도시자연공원의 친자연적인 공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로 자연생태계 현황, 과도한 이용과 공원시설물 조성에 따른 훼손 및 주변생태계의 영향 등 환경생태 현황을 정밀하게 조사분석하여 친자연적인 공원조성 및 관리방안을 제안하고 공원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현황 조사, 분석, 생태적 평가, 공원관리계획 수립 단계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 단계에서는 일반적 개황, 자연환경, 자연생태 등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생태적 평가에서는 조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식물생태계를 유형화한 비오톱유형, 야생동물 서식처, 자연경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리계획 수립에서는 친자연적인 공원관리를 제안하고자 평가자료를 활용하여 양호한 생태계 및자연경관 보존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생태계 및 자연경관 보존계획에서는 생태계 및 자연경관보존지역, 생태계 보호지역, 생태계 복원지역(이용가능)을 지정하였고, 훼손지 복원 및 복구계획에서는 훼손된 숲생태계 유형에 따라 식생복원 목표로 제안하였다.
        5,200원
        49.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겨울철 저온에 의한 식물의 반응 및 생리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문주란(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을 대상으로 엽록소형광과 항산화효소 찬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O-J-I-P곡선을 분석한 결과 겨울철에 J, I, P-단계에서의 형광세기가 현저하게 간소하였다. 문주란 잎의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 즉 Fv/Fm은 겨울철의 온도변화 추이와 유사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어 겨울철 저온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4,000원
        51.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러 자연공원의 환경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하여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된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이용하였다. 식물군의 각 등급의 중요도에 따라 V등급을 구성하는 식물에는 20점, W등급 10점, III등급 5점, II등급 3.3점 그리고 I등급의 식물군에는 2.5점의 점수를 각각 부여하였다. 조사된 자연공원지역의 식물군에 따른 전체 평가점수의 순서는 한라산, 설악산, 지리산, 덕유산, 울릉도, 소백산, 오대산, 팔공산, 치악산, 태백산, 속
        4,000원
        52.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공원시설의 정의와 친환경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자연공원내 시설과 관련된 기본법인 자연공원법과 기타공원시설물의 관련법규들 중에서 용도지구 내 시설설치 허용기준과 공원시설의 정의 시설물의 종류 및 시설물의 설치.관리 등 관련 법제도를 친환경성 측면에서 검토하여으며 미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의 친환경적인 자연공원시설물 관련법규를 살펴보고 국내.외 법제를 비교분석하였다 친환경적 측면에서의 자연공원시설의 설치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종합해 보고 이에 따른 친환경성을 고려한 자연공원시설의 법.제도와 관련하여 공원 시설종류의 일부 삭제 및 추가와 시설기능 변경안이 포함된 공원시설물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현행 자연공원 법령(법.시행령.시행규칙)의 개정안과 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 취락지구 등의 용도지구 내에서의 허용행위기준과 집단시설지구 내 녹지기준의 개정안을 제시하고 시행규칙상 시설물의 신설을 권고하였다.
        4,800원
        53.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식물상 항목에서 내제되어 있는 여러 문제점의 대안으로써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을 제시하였다. 이들은 어느 특정한 지역공간의 자연환경 우수성의 정도와 종보존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구계분석을 통하여 선택된 식물군은 그들의 분포범위에 따라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제V등급은 고립하거나 혹은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식물로 41과 76속으로 83분류군이 이에 해당한다. 제 IV등급은 1개의 아구에만 분
        8,400원
        54.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산복원사업 대상지의 생태계 회복을 위한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부지 내 식생조사를 통해 자연환경을 평가하였다 현존식생도 녹지자연도 및 Hemeroby 등급을 통해 자연성을 평가한 결과 많은 면적이 산림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인공화된 지역이었다. 식생이 존재하는 지역 중 산림의 형태를 유지한 지역은 아까시나무군락을 유지하고 있었고 기타 지역은 휴경지, 논.밭 잡초군락이며 동시에 ruderal 식물군락으로 판명되었다. 성과주변에 식재한 수목은 총 67종 1,243개체였으며 그중 자생종이 27종(40.3%) 544개체(43.8%)였고 도입종과 귀화종 재배종이 각각 17%, 8.8%, 15.4%로 나타났다. 생활형 분석에서는 1,2년생 초본식물이 47%를 차지하였고 귀화율은 24.1%로 나타나 매우 불안정하고 교란된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55.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개발의 압력을 받고 있는 충청북도 영동 민주지산을 대상으로 산림의 질을 평가하고 관리대상을 제시하고자 73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27개의 식생과 지리정보변수를 마련하였다. 자료의 양을 줄이기 위해 ordination 기법과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변수를 축소시켰다. 식생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DCA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요인분석에서는 13개의 변수가 5개가 요인으로 압축되었는데, 요인 1은 수종의 풍부도, 요인 2는 건중량, 요인 3은 밀도, 요인 4는 임령 그리고 요인 5는 지리적 특성으로 나뉘어졌다. 천이상황를 예측하는 모형은 다중회귀로 표현되었고, 주요 변수로는 유기물의 깊이, Shannon의 종다양도 그리고 흉고직경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GIS를 이용한 산림관리의 의사결정과정을 도출하였다.
        4,800원
        56.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발이 허용된 지역이라도 개발로 인해 발생되는 기존의 환경파괴에 대해 외국의 경우 보상계획을 통한 개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개발지역내의 환경계획은 주로 개발용도에 따른 법적 테두리안에서 녹지면적을 채우는 것으로 일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프로젝트의 한 사례를 중심으로 대상지의 환경을 Hemeroby등급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파괴에 따른 보상계획을 제시하였다. 대상지는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에 계획된 대단위 아파트단지 개발지구이다. 우선적으로 개발전의 대상지를 Hemeroby등급으로 평가한 후 아파트단지 개발안, 즉 LG빌리지안을 Hemeroby등급으로 비교평가하여 LG빌리지안에서 보상되지 않은 기존 환경 파괴에 따른 보상안을 양적인 측면에서 산출하였다. 산출근거는 개발전의 대상지는 β-/α-euhemeroby가 전체의 80.1%였는데 LG개발안은 β-/α-euhemeroby가 43.7%로 낮아지면서 meta-hemeroby가 개발전 17%에서 56.3%로 증가하였으므로 보상안은 LG개발안의 건축물을 수용하되, β-/α-euhemeroby비율을 올릴 수 있는 보상계획, 즉 하천복원, 지상주차장의 녹화, 옥상녹화 및 절토면의 녹화 등을 제안하였다.
        4,000원
        57.
        199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59.
        198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ies in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in West Antarctica have been briefly reviewed, It is sure that human being can live a normal life in the Island, although the insufficiency in space and water resources might be a hampering factor to further human activities in the Island. It seems necessary to protect natural environment against the recent frequent visit of human beings to the Island.
        5,400원
        60.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venty-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Norwegian polar explorer Roald Amundsen put the first human footprint on the South Pole in his South Pole Expedition in 1911. Natural environment, petroleum, and mineral resources of Antarctica are briefly reviewed. No petroleum or mineral deposits with economic value are discovered yet in Antarctica. However, it is thought that petroleum (and probably including minerals of Dufek stratiform gabbros) would be most promising in several decades. International stewardship of Antarctica associated with systematic investigations strengthened by modern techniques and facilities will show further possibility in other minerals.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