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41.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w resistance of the bottom trawl net. The bottom trawl net being used in the training ship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full-scale net, and model nets such as 1/10, 1/25 and 1/50 of the actual net were made. Total resistance of the net part, the height of the net mouth and the flow resistance of components of the net such as wing, bag and cod-end part was measured, converted into full-scale and compared. Additionally, the model rule of Tauti (1934), which has been most frequently used in fishing net modeling experiments, was applied to interpret flow resistance and scale effect of model experiment was investigated. Presumed that the flow resistance R is R=kSr2 against the flow velocity of each net r, resistance coefficient k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R, r and S of the net. From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k decreases exponentially when u increases which makes k=cr-m. Whereas m of each net is ranged between 0.13-0.16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ts. c does not show big difference in 1/10 and 1/25 model and the value itself was relatively bigger than in 1/50 model. The height of the net mouth of 1/25 and 1/50 model net h decreases exponentially according as r increases to make h=dr-n. Whereas d and n values were almost same in two nets. Additionally, when resistance of cod-end, wing and bag part in 1/25 and 1/50 model nets, both nets showed big resistance in bag part when flow is 1m/s as more than 60%. Wing and cod-end part showed almost same value or wing part had little bit larger value. On the other hand, when reviewing the reasons why both models showed difference in 1/50 model while c value against the resistance coefficient k did not show big difference in 1/10 and 1/25 model, it is inferred that the difference occurred not from material difference but from the difference in net size according to scale. It was judged that they are the scale effects concomitant to the model experiments.
        4,000원
        42.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1월부터 1011년 9월에 걸쳐 조선철강 업체가 밀집하고 있는 목포내항, 광양만 그리고 비교구인 신안증도 해역 을 중심으로 저층퇴적물 내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여 지점별 해역별 오염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목포내항에서는 비교구 지점보다 높게 분포하고 있었고 특히, 선박수리 해체 업체의 플로팅도크 주변해역에서 높게 분포하고 있었다. EPA 기준치와 ERL의 기준치와 비교해서는 카드뮴과 구리, 크롬은 높았고 납은 3개 정점이 초과 하였으나 그 외 정점에서는 기준치 이하 농도였다. 아연은 전 정점에서 기준치보다 낮게 분포하였다. 앞으로 광양만과 신안군 증도 해역의 퇴적물내의 중금속 함량과 비교하고 부화지수와 농집지수 등을 통해 퇴적물의 중금속의 오염도를 평가할 계획이다
        3,000원
        4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44.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국내 철골 모멘트골조 접합부는 대부분 공장제작으로 품질관리가 잘 이루어져 연성능력이 상당한 수준이다. 문헌에 의하면 국내 접합부는 미국 철강협회에서 철골 중간모멘트골조에 대해 제시한 성능 기준을 충분히 만족하고 있다. 그런데 이전 설계기준인 KBC2005에서는 철골모멘트골조에 연성모멘트골조 하나만을 제공하였으나 현 KBC2009 기준은 보통, 중간, 특수모멘트골조로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국내 접합부 형식을 그대로 사용했을 때 어떤 시스템이 적합한지 조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BC2005의 연성모멘트골조와 KBC2009의 중간모멘트골조의 거동을 비교하여 국내에 적합한 설계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연성모멘트골조의 설계 계수를 따르더라도 성능목표를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5.
        201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school buildings are not applied seismic code because of small size structures. But it must be designed to show enough structural performance when subject to earthquake. Especially, most of school buildings are generally used as public shelters when th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and earthquake occur. In this study, the seismic risk of the reinforced concrete school building structure was evaluated by using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of low-story RC structures developed in Japan and the required seismic performance index. In this paper,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school building is evaluated by considering this short-column effects, building shape and deterioration.
        4,000원
        46.
        201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shear wall-slab damper system for seismic retrofitting of existing low-rise school buildings wa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is to control the earthquake-induced vibration of the existing building structures using the energy dissipation effect of hysteretic damper inserted between the extended shear wall and existing moment frame. The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ibration control efficiency of the shear wall-slab damper system and to identify the range of optimal yielding strength of the slab damper. In addition, variation of shear force of the extended shear wall with regard to the yield strength of the dampers in a range from 10 to 100 percent of the maximum base shear force of the retrofitted structure was investigated. The numerical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s with the slab damper whose yield strength is equal to 20 percent of the maximum base shear. On top of that, the slab damper system reduced the shear force of the shear wall by about 50 percent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frame-shear wall system with rigid diaphragm slabs.
        4,000원
        47.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붕경사각에 따른 박공형 저층건축물의 외압계수 분포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풍동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는 7개의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풍동실험은 금오공과대학교 소재 토출식 경계층 풍동에서 실시하였다. 경사각 변화에 따른 박공지붕형 저층건축물의 외압계수 분포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용마루 직각방향과 용마루 평행방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4,000원
        48.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복 횡하중 하에서의 기둥부재와 보-기둥 연결부에 대한 구조 성능 확인을 위하여 기 수행된 실험을 토대로 해석모델을 수립하고 사용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실용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콘크리트와 철근의 이력 모델을 비선형 해석 프로그램인 PERFORM3D에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결과로서, 반복 횡하중 하의 비보강 보-기둥 연결부재의 해석과 실험결과가 비교적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입증된 비보강 시험체의 해석 모델에 탄소와 아라미드 섬유시트 그리고 비좌굴 가새를 추가 적용하여 실험결과와 비교.검증하여 내진 성능 보강의 해석모델을 수립하였다. 이는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에 있어서, 해석을 통한 사전 성능 검토에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물질적 측면에서의 경제성 도모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49.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정 축하중과 반복횡하중 하에서 탄소섬유시트와 비좌굴 가새로 보강된 보-기둥 시험체의 횡방향 거동 평가를 통하여 사용된 보강 방법의 구조적 성능을 검증하는 것이다. 세 개의 시험체를 비보강, 탄소섬유보강, 탄소섬유와 비좌굴 가새 보강 방법을 각각 적용하여 제작하였다. 변위에 따른 최대, 최소하중은 하중-변위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평가되어지며, 하중과 강성의 관계는 비교구간의 유효강성 분석에 의해 평가된다. 실험의 수행 결과, 보강을 하지 않은 시험체에 비하여 보강을 적용한 시험체는 최대허용하중과 유효강성, 철근 항복 시 재하 횡하중, 변위연성비 등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4,000원
        50.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업용 건물은 일반적으로 다중 박공지붕의 형태로 많이 건설된다. 본 연구는 독립 및 다중 박공지붕형 저층 건물의 풍하중을 산정하기 위해 풍동실험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독립 박공형 저층건물은 길이 200m, 스팬방향 폭 32m, 지붕면 평균높이 15.7m로 장스팬 저층건물이며, 다중 박공지붕형 건물은 5개의 지붕이 연결된 대규모 저층건물에 해당한다. 풍동실험을 통해 독립 및 다중 박공지붕형 건물의 최대 가스트 외압계수와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을 산정 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지붕면 모서리와 모퉁이 부분에서 계수 값이 증가하여 나타났다. 또한 실험결과를 KBCS 2005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보면 풍하중 기준보다 풍동실험을 통한 결과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4,000원
        51.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stimation of the gear shape and cross section of sweep at mouth of a bottom trawl net was described and applied to the field experiments obtained with the Scanmar system. The shape of the trawl net from wingend to the beginning of codend was assumed to be part of an elliptic cone of which the cross section was ellipse, and that of the float rope be of form yf=afxbf. In case of a bottom trawl with warp 180m long, the radius of ellipse, the cross section of sweep at mouth, the eccentricity of the ellipse, the inclination angle of float rope and the contribution of the side panel to net height were estimated in accordance with towing speed. The horizontal radius of the upper ellipse increased with increasing towing speed, the eccentricity of it became slightly bigger as increasing the towing speed which meant the shape of it being flat.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oat rope was about between 7 and 12 degrees in case of the above bottom trawl.
        4,000원
        52.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pecies composition and population structure of fish, collected 16 times by bottom otter trawl in the coast of Geumo Island, from February 2002 to November 2005, was investigated. The fish species caught by bottom otter trawl from year 2002 to 2005 was entirely 72 species, 41 classes, and 12 orders, and the number of appearance and biomass was 5,999 individuals and 287,902.1g, respectively, being of the Perciformes(31 species and 19 classes; 43.1% in total number of species appeared) as a dominant species. 638 individuals of Leiognathus nuchalis which was 10.6% in total fish were appeared and 465 individuals of Konosirus punctatus(7.8%), 449 individuals of Engraulis japonicus(7.8%). biomass of Sebastes schlegeli was 33,258.7g as a dominant species(11.6% in total fish appeared) and 18,821.1g of Liparis agassizii(6.5%), 16,708.0g of Konosirus punctatus(5.8%). The diversity index of species per months of the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in coastal water of Geumodo from year 2002 to 2005 was 2.860-3.639 and the evenness index was 0.825-0.887 in case of dominance index was 0.224-0.268 against the evenness index. The similarity of community structure per yearly was very high because of the relative difference(0.006), which was the least in 2004 and 2005.
        4,000원
        53.
        200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es were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Yeo-ja bay of Korea by every three month(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and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studied in 2005. The catches were 1,187kg and were composed of 115 species with 20 hauls by 5 station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Charybdis bimcaulata, Crangon hakodatei, Parapenaeus fissurus, Oratosguilla oratoria, and Thryssa purava. One hundred fifty species were identified as fish(38%), crustacea(20%), mollusca(4%) and others(38%) which including of Asterias amurensis. The amount of species was high in June and September and low in March and December. The diversity index(H') was about 1.2-2.5 and station similarity of fishes caught among the community was 0.009-0.230.
        4,000원
        54.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하부층에 필로티 구조, 상부층에 전단벽식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내진설계 및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비선형 지진응답해석을 실시하여 각 층의 내력과 연성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이것들의 비율이 건물 전체의 내진성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로티 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특성을 2질점계로 치환하였으며, 하부층인 필로티 구조는 휨파괴형으로 상부층인 전단벽식 구조는 전단파괴형 시스템으로 각각 모델링하였다. 또한 각층의 복원력 특성으로는 필로티 구조는 Degrading Trilinear Model(휨파괴형), 상부층은 Origin Oriented Model(전단파괴형)을 선정하였다. 상기 복원력 특성은 각 층의 보유내력에 의하여 변화를 하며, 지진응답해석용 입력지진파로는 8개의 피해지진의 가속도 성분을 선정하여 이들 가속도 성분의 최대가속도를 0.1g, 0.2g, 0.3g로 표준화 하였다. 각각 지진강도수준에 따라 지진 응답해석을 실시하여 하부층 필로티 구조와 상부층 전단벽식 구조의 내력비와 응답 연성율 사이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특정 연성율을 위한 필로티 구조를 가진 저층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요구내력을 산정하여 요구내력 스펙트럼(Required Strength Spectrum)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요구내력스펙트럼은 특정 지역에서 요구하는 지진수준에 대하여 지진발생시 특정 연성율 이내로 머물게 하는 하한내력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등, 연구결과는 필로티 구조를 가진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식 건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설계의 기본적인 자료로서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2-propanedial 1.5 M 실험구에서는 실험개시시 30\;{\times}\;10^4\;cell/ml이던 것이 3 일 후 138\;{\times}\;10^4\;cell/ml였고, 실험종료시인 5 일 후에는 385\;{\times}\;10^4\;cell/ml로 증식되어 가장 높은 증식률을 보였다. 참굴 D상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생의 성장 및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C에서 73.3%, 10^{\circ}C에서 63.3% 및 5^{\circ}C에서 56.7%로 수온이 30^{\circ}C 이내에서는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염분 30 psu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35 psu에서 90.0%, 25 psu에서 83.3%, 20 psu에서 60.0%, 15 psu 이하에서는 거의 잠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적정 살포를 위한 잠입률은 치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저질종류는 모래 (75%) + 뻘 (25%), 입자크기는 1 mm 모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 노출시간은 짧을수록, 수온은 30^{\ci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4,000원
        5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 저층의 퇴적물에서는 자체 내에서의 물질이동과 변환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질과 수계 자체에서 생성된 여러 물질들이 침강하고 퇴적되고 있다. 또한 퇴적물에서 수층으로 물질들이 용출하는 등 저층의 퇴적물과 수층 간에는 끊임없이 물질교환이 이루어 지고 있다. 수 저층 퇴적물의 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저질은 수 저층의 퇴적물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퇴적물의 오염도를 의미하며 이는 수질과는 달리 시 공간적으로 쉽게 변하지 않아 오랜 기간의 수계 환경의 오염 상태를 알 수 있어 최근 수질조사와 더불어 수 환경의 오염도 평가와 수생생물, 저서생물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주요 저질의 항목으로는 영양염과 중금속 함량, 강열감량(IL), 총 황화물(TS), 산화환원치(ORP), COD, 색, 냄새와 악취, 용출량 등이 있다. 이러한 저질 인자들이 하천이나 호소 및 해양의 과거 및 현재의 오염상태를 알 수 있는 오염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나 퇴적물의 채취방법, 조사 지점 수, 분석방법, 결과의 상호 비교 평가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어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저질조사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질 조사의 중요성과 채취방법, 각 저질 항목의 분석방법, 저질변동과 분석 및 평가에 관하여 소개하고자 하였다.
        4,000원
        56.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odel experiment using circulation water channel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bottom trawl net which can be used in sea mount of North Pacific. Hydrodynamic resistance and shape variation according to the flow velocity and angle of hand rope transformation for net were measured, and experimental value was analyzed as the value of full-scale bottom trawl net.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At the 30˚ of angle of hand rope to net, hydrodynamic resistance varied from 0.5kgf to 2.68kgf as the flow velocity increased between 0.31m/s and 0.92m/s, and formula of hydrodynamic resistance for the model net was Fm=3.04 · r1.53. At the fixed angle of hand rope, Net height was low and Net width was high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low velocity, and in addition, vertical opening was low and Net width was high by the increase of angle of hand rope at the fixed flow velocity. At the 30˚ of angle of hand rope to net, net opening area was 0.214m2 as flow velocity was 0.61m/s, and formula of net opening area for the model net was Sm=-0.22r+0.35. At the 30˚ of angle of hand rope to net, catch efficiency seemed to be highest as 0.319m3/s of filtering volume at the 0.76m/s(51kt's) of flow velocity. Shape variation of net showed the gradual laminar transform for the variation of flow velocity but there needed some improvements due to the occurrence of shortening at the ahead of wing net.
        4,600원
        57.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풍팬스의 설치에 의한 저층건물 주변의 풍압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풍압실험을 실시하였다. 방풍팬스의 다공율은 0%와 20%을 중심으로 하였다. 방풍팬스와 저층건물의 거리는 1H-9H까지 범위안에서 측정을 하였다. 사용된 풍속은 6m/s로 일정하게 하였다. 저층건물의 측압공 위치는 정면과 측면 후면을 중심으로 총 54개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다공률 20%일때는 측정거리 1H-3H일 때 다공률 40%일 때는 측정거리 4H-6H일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4,000원
        58.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estimate the effective horse power(EHP) in towing net of a bottom trawl ship, the ship's resistance was calculated by using a series data of Yamagata and Wigley formula. Also the effective horse power for a ship(EHPs) was estimated versus the ship speed in sailing and the propulsive efficiency was calculated with the brake horse power and the effective horse power. Then the effective horse power for a ship and a trawl net were estimated in the application of the propulsive efficiency in towing net. The total effective horse power(EHPT) was average 187.6kW and the effective horse power for a 1.awl net(EHPn) was average 176.7kW at a smooth sea state in towing net. The ratio of EHPn to EHPT was about 94.0% and the value was higher slightly than was already informed at a smooth sea state. The power for keeping up a townet speed was required more about 20% of a maximum continuous power at a rather rough sea state than a smooth sea state. In the future, if the residual resistance is considered with a sea state, EHPn will be estimated more correctly Also the data of EHP estimated by this method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design a trawl net.
        4,000원
        59.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catches of vertical bottom longline fisheries in the sea mount of central northern Pacific(30˚-42˚N, 170˚-175˚E), during the period of July 1 to August 25,2004 by commercial fishing vessel. The number of 57 test fishing was carried out in the central northern Pacific during 43 days and the total catches were 21,092.4kg as 19 fish species, CPUE/day and catches/day were 185 baskets and 490.5kg, respectively. Main fish species caught from the experimental fishing were Squalus mitsukurii (66.3%), Coelorhyrchus asperocephaius (11.7%) and Helicolenus avius (9.8%) and, average inside diameter for fish mouth was 4.0cm over. Catch ratio according to each fishing ground was the order of F, D, J, B and C. Catch ratio fur water depth was the order of 450-500m, 350-400m, 300-350m, 400-450m, 1000-1100m and 500-550m and, main species by water depth was Squalus mitsukurii for 300-400m, Etmopterus lucifer for 300-550m, Coelorhyrchus asperocephaius far 1,000m over. Catch ratio according to the kind of hooks was higher at the hook no.6 for Squalus mitsukurii and no. 5 for Etmopterus lucifer and, catch ratio by baits was higher at squid for Squalus mitsukurii, saury and eel for Helicolemus avius and saury for Etmopterus lucifer.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extension of fishing hours is needed with the reduction of damage and loss for fishing gears during fishing operation.
        4,200원
        60.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the experiment of bottom trawl fisheries in the sea mount of central northern pacific(30˚-40˚N, 170˚-175˚E), during the period of July 1 to August 25, 2004 by commercial trawl ship.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bottom trawl, with the codend of 110mm mesh size. The number of 101 test fishing was done in the sea mount of central northern pacific during 56 days and the total catches were 198,593kg as 18 fish species, and CPUE/day and catches/day were 8.3 hours towing time and 3,546kg. Catch ratio according to each fishing ground was higher with the order of B, C, and E, and catches for B was 7,171.0kg during the towing time of 13.2 hours. Main target species were Pseudopentaceros richardsoni and Beryx splendens, there was 14.9% of damage ratio for fishing gears on catching the target fishes inhabiting on the rough sea bottom. Catches by water depth was the order of 300m below, 301-350m, 451-500m and 351-400m.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no problem on the mesh size because most of fishes caught from the experimental fishing was 30cm over.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