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0

        48.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8년도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전면 개정됨에 따라 제1종 및 제2종시설물 중에서 사회기반시설물 범주에 해당하는 시설물(이하 ‘성능평가 대상시설물’)에 대해 성능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여 성능등급을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능평가를 통해 도출된 시설물별 성능등급을 시설물 유형별로 성능등급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고 그 결과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4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전기기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설치된 위치에서 발생가능한 지진하중을 고려하여 내진해석을 수행한다. 내진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상기기의 실제거동을 반영하는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전의 내진검증 기술 기준인 IEEE 344에서는 기기의 동적 특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탐색시험을 수행할 것을 권고한다. 탐색시험의 종류는 기저 가진에 의한 방법과 임피던스 방법에 의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원전의 한 대상기기를 선정하고 기술 기준에서 제시하는 공진탐색시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 현장 적용성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50.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 배합을 통하여 확산계수를 평가하고 이를 이용한 염화물 침투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말대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촉진 확산계수를 NT BUILD 492 및 ASTM 1202를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겉보기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 사용배합의 특성과 가장 보수적인 조건인 임계 염화물량과 표면 염화물량을 고려하였으며, Life 365 ver.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벽 및 기둥구조의 내구수명을 평가하였다. 10년 및 15년의 Built-up period의 변화에 대해서는 내구수명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슬래그를 사용한 두 개의 배합에서는 높은 시간의존성 지수와 낮은 초기 염화물 확산계수로 인해 75년 이상의 높은 내구수명이 확보되었다.
        51.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적인 간 초음파영상에서 형태학적인 분류인 간 표면, 간 가장자리, 간 실질을 점수체계로 이용하여 간 조직검사 결과의 경미한 섬유화(F1), 중증도 섬유화(F2), 심한 섬유화(F3) 및 간병변(F4)으로 나 눈 섬유화 단계와 비교하여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반적인 초음파 검사는 경미한 섬유 화(F1)~심한 섬유화(F3)를 검출할 수 있는 민감한 예측 인자로 간 가장자리>간 실질>간 표면으로 나타났으 며, 간경변(F4)를 검출할 수 있는 예측인자로는 간 실질>간 표면>간 가장자리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초음파 검사에서 각각의 변수가 아닌 3가지 변수조합을 활용한다면 간 섬유화 정도와 진행 상태를 평가하는데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52.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statistics that evaluate the results of a precision safety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impact and degree of poor inspection and diagnosis were analyzed by dividing contract amount by rate, implementer, and managing body.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elicit problems and measures in the system.
        53.
        2018.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이 그동안 축적하고 있는 강의평가의 주관식 의견들을 통합하여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서 텍스트마이닝을 적용하여 좋은 강의 특성과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강의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상위(30%)의 과목들을 분류한 후, 10년간 매학기별 강의평가 주관식 의견의 비정형(텍스트)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전공계열별 좋은 강의의 특성과 패턴을 규명하였다. 강의평가 점수 수준별 그룹에서 강의평가 주관식 응답 문장 가운데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들과 그 사용빈도를 추출한 결과 인문 계열은 재밌고, 유익하고, 도움이 되면서 내용이 쉽고, 어렵지 않으며 이해가 잘 되는 수업, 교수님의 열정이 높은 수업이 좋은 강의의 특성으로 규명할 수 있다. 사회 계열은 쉽고(어렵지 않은), 도움이 되며, 재밌는 강의와 이해, 설명, 내용, 흥미, 열정 등이 주요 키워드로서 좋은 강의의 특성이 도출되었다. 자연·공학 계열은 과목 내용의 특성상 쉽고, 어렵지 않으며, 이해가 잘 되는 수업이 우선하여 좋은 강의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예체능 계열은 재밌고, 유익하며, 즐거운, 새로운 수업들이 좋은 강의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교양 계열은 재밌고,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수업이 좋은 강의의 특성으로 규명할 수 있으며, 인문 계열의 특성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54.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대학 학생들은 선원의 훈련, 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기준협약(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STCW 협약)에 의해 1년 항해실습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습 교육 기간에 대한 효과와 더불어 어떤 교육 내용의 성취도가 향상되었는지, 또한 교육 과정 중 미진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실습 기간별로 분석하였다. 대상은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에 승선한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해사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실습 기간별 향상 정도를 조사 분석하여, 학교 실습선 실습 교육의 효율적인 교과 과정 개편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기간에 따른 실습교육 효과는 1년간의 실습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대부분의 실습생들이 핵심 역량 항목에서 향상 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화물관리, 해양환경보호 등과 같은 일부 항목에서는 보통 수준으로 조사되어 실습 교육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5.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상수관로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위해 상수도 기술진단에서 점수평가법으로 도출된 관망성능평가결과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 산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잔존수명은 ‘모델에 의해 추정된 매설 후 최적교체시기까지 경과년수’를 의미하는 ‘내구연수’와 매설 후 경과년수의 차이로 정의하였으며, 내구연수는 관망성능평가기준으로 제시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도달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관망성능평가에 사용된 평가항목들과 노후도 점수를 상수도 관로의 잔존수명 추정을 위한 다중회귀모델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잔존수명의 산정에 필요한 내구연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구축된 회귀모델에 독립변수로 사용된 노후도 점수를 나타내는 변수의 값으로 노후관로 판정기준 점수에 해당하는 값을 대입하였다. 개발된 회귀모델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 상수도 관로의 내구연수 및 잔존수명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지방공기업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연수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56.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work, HPC (High Performance Concrete) samples are prepared with 3 levels of W/B (water to binder) ratios of 0.37, 0.42, and 0.27 and 3 levels of replacement ratios of 0%, 30% and 50%. Several tests containing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passed charge, and compressive strength are performed considering age effect of 28 days and 180 days. Chloride diffusion is more reduced in OPC concrete with lower W/B ratio, and GGBFS concrete with 50% replacement ratio shows significant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in higher W/B ratio. At the age of 28 days, GGBFS concrete with 50% replacement ratio shows more rapid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than strength development, which reveals that abundant GGBFS replacement has effective resistance to chloride penetration even in the early-aged condition.
        5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dition assessment of the road tunnel is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responsible engineer about the expansion joint. The evaluation result is divided into the span unit or the sheet unit when calculating the evaluation result. Therefore, it was divided into span units and sheet units and the actual difference was compared.
        58.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work, HPC (High Performance Concrete) samples are prepared with 3 levels of W/B (water to binder) ratios of 0.37, 0.42, and 0.27 and 3 levels of replacement ratios of 0%, 30% and 50%. Several tests containing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passed charge, and compressive strength are performed considering age effect of 28 days and 180 days. Chloride diffusion is more reduced in OPC concrete with lower W/B ratio, and GGBFS concrete with 50% replacement ratio shows significant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in higher W/B ratio. At the age of 28 days, GGBFS concrete with 50% replacement ratio shows more rapid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than strength development, which reveals that abundant GGBFS replacement has effective resistance to chloride penetration even in the early-aged condition.
        5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groundwater flow was analyzed targeting Dae-jeong watershed, which exhibited the largest variations of groundwater levels at the identical elevation points among the 16 watersheds of Jeju Island. The issues of the methods applied in practice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plans were suggested. This groundwater-flow estimates derived by applying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onto zones of equal topographic ground level were found to be quite different from actual measured groundwater flow. Conversely, groundwater-flow estimates that utilized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applied onto groundwater-level equipotential lines indicated relatively lesser divergences from actual measured groundwater flow. The reliabilities of the two approaches were assessed for 60 randomly selected points o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maps, The method using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applied onto groundwater-level contours turned out to be the more reliable approach for the Dae-jeong watershed in Jeju Island.
        6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was analyzed using 699 monitoring data sets including flow rates and water quality concentrations collected at 195 tributary monitoring stations (the priority management areas: 35 stations, the non-priority management areas: 160 stations) in 2015.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s of all data for BOD, COD, T-N, T-P, SS, and TOC were 30 600 times higher than the lowest concentrations while the highest average loading rates were 800,000 2,700,000 times higher than the lowest loading rates. Because of the very large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and loading rates, the variation of the concentrations and loading rates in a priority management monitoring station for BOD, T-P, and TOC was analyzed using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ratio of the standard deviation value to the mean value. For BOD, T-P, and TOC,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concentration were mostly less than 100%, whereas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loading rate ranged from 31.1% to 232.2%. The very big difference in the loading rates was due to the large variation in flow rates. As a result of this, the estimation of water quality at each monitoring station using the average values of the concentrations and loading rates might be not rational in terms of their representativeness. In this study, new water quality analysis methods using all collected monitoring data were suggest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standard in medium-sized management area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