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2

        4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EO의 혁신성, 학습적 문화, 정보 시스템 활용 수준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러 한 혁신성과가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김해시에서 활동하 고 있는 중소제조기업 12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CEO의 혁신성과 학습 문화는 각각 기업의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리고 기업의 혁신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혁신은 대기업의 전유물이 아니며 대기업에게만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자원 이 부족하지만 CEO의 경영 스타일과 학습적 문화와 같이 거대한 자본을 들이지 않는 혁신활동으로도 기업의 혁 신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중소기업에게 있어 혁신이 기업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 에 중소기업의 CEO는 실무적으로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달리 혁신성과를 경제적 성과와 연결하여 살펴보았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6,100원
        42.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2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기술혁신조사(KIS)를 이용하 여, R&D협력과 내부R&D투자와의 양방향성 관계를 규명하고, 내부R&D투자와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주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선 기업의 내부R&D투자와 R&D협력 간의 상호 작용에 관해서는 두 개의 방정식을 설정하고 SUR 모형으로 동시에 추정하였고 내부R&D투 자와 R&D협력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Probit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국내 R&D 활동에 관한 기존 문헌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R&D협력, 내부R&D투자 및 기술혁신과 정의 구조적 체계를 감안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R&D협력과 내 부R&D투자의 관계는 서로 양방향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내부R&D투자는 기술혁신 실현 가능성을 높인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내부R&D투자와 R&D협력간의 양방향성과 보완성이 존재하므로 이러한 기능을 높이는 것이 R&D시스템의 효율성 제 고에 도움이 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6,400원
        43.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들은 점차 수직적 조직구조보다는 수평적 조직구조에서 조직관리의 해답을 찾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서 조직들은 자신의 조직체계 전반에 걸쳐 조직의 유동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계층관리구조보다는 자율관리구조 형태로 점점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이렇듯 수평적 조직구조 형태에서 자율성 강조가 점차 중요시되고 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두되고 있는 리더십이 바로 임파워링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시대에 필요한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 및 직무성과 사이에서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변수로 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의 행동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부하의 핵심자기평가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려 했다. 이를 설문지 방식으로 조사하여 검증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핵심자기평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핵심자기평가가 긍정적일수록 부하들의 직무성과와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핵심자기평가가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4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물로서 창출되는 특허정보의 거시적ㆍ미시적 분석을 통해 기술혁신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허성과의 기술군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이 IT계열 기술군으로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군별 상대적인용도지수(RCI)의 분석은 향후 BT계열 기술군이 부상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또한 상대적시장확보지수(RFI)는 BT계열 및 IT계열과 같은 기술적 파급이 큰 기술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 융ㆍ복합화, 연구개발 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에 대한 신규지표를 설계하고,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기술군 사이의 흡수-파생 관계, 연구개발주체 간의 협력-개방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종기술간 기술 융ㆍ복합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이한 연구개발주체들 사이의 연구개발 협력성과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400원
        4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해당 결정요인들을 바탕으로 실행된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이 다국적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보기 위함이다. 제도적 이론을 활용하여 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규제적 압력과 글로벌 경쟁자 압력이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다국적기업의 친환경혁신전략과 경영성과 간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가설도 함께 제시함으로써 기업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모든 주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친환경혁신전략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통합적인 모형을 나타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PLS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바탕으로 검증 되었으며 자료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다국적기업의 본사 중 식품가공 및 처리를 제외한 제조업만을 한정하여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또한 경로분석에 앞서 수집된 자료의 편의를 없애기 위해 무응답편의 및 동일방법편의 진단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든 제도적 압력 요인들이 다국적기업의 친환경혁신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와 더불어, 본 연구결과는 다국적기업 의 친환경혁신전략이 기업의 경영성과 개선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6,900원
        46.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 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8,900원
        4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impact of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innovation activities of SMEs on their innovation performances in the field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industry. Drawing upon the literature review, internal and external innovation activities are defined and conceptualized, and independent, dependent and moderator variables are developed. We have used survey-based data for this study from the survey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in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was conduct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in 2010.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novation activities on marke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SMEs. On the other hands,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innovation activiti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SMEs. Therefore, in order to make high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companies in the field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industry need to properly implement the internal and external innovation activities by considering their size.
        4,300원
        49.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among CEO’s entrepreneurship/risktaking, innovation resistance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between CEO’s entrepreneurship/ risktaking and innovation performance.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19 compani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ppeared as follow; 1) CEO’s entrepreneurship and risktaking effect negatively on innovation resistance. 2) innovation resistance negatively on innovation performance(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 innovation). 3) innovation resistance mediates partly between CEO’s entrepreneurship/ risktaking and innovation performance.
        4,000원
        5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uppliers and customer participation i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effects of such participation on product innovation since it is getting more and more weight in manufacturing companies. It is also aimed in this study to explore if business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companies might be affected by the suppliers participation as well as product innovation that is realizable by such participation. From the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 suppliers participation in manufacturing companies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upon product innovation (standardized coefficient=0.193, C.R=3.510), implying that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role of suppliers who have intention to realize innovation through participation in manufacturing companies.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at customer participation exercised impact upon product innovation of manufacturing companies (standardized coefficient=0.686, C.R=6.433), suggesting that the more customer participate i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of manufacturing companies, the more manufacturing companies could sharpen their competitiveness. Third, it was made known from the analysis that the product innovation thanks to suppliers and customer participation in manufacturing companies could have influence up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standardized coefficient=0.762, C.R=7.666), signifying that the product innovation of manufacturing companies might depend on the participation of suppliers and manufacturers and, in turn, could affect their own business performance.
        4,500원
        51.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의 혁신전략이 특허생산 및 기업의 기술변화와 신제품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기술성과를 증대시키는 데 필요한 혁신전략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용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의 1~4차년도 자료와 한국신용평가원의 기업재무자료, 특허청의 기업별 특허출원자료를 결합한 자료이다. 특허생산함수는 영과잉음이항회귀모형(ZINB)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기업의 기술성과 결정요인은 특허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2단계 추정방법을 사용하였고, 2단계 회귀식은 순위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혁신전략이 특허생산 및 기업의 기술변화와 신제품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특허생산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인적자원이 중요한 투입요소로 나타났다. R&D집약도가 높을수록 특허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되 한계생산은 체감하였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스톡이 많을수록 신규특허의 생산이 활발하였다. 기업의 인적자원수준이 높고 인적자원투자가 많을수록 특허생산이 활발하였고, 기업이 시장선도전략이나 빠른 추종자전략을 추구할 때 안정형 전략을 구사하는 기업에 비해 특허생산이 많았다. 둘째, 기업의 기술성과 결정요인으로는 인적자원의 역할이 중요하였고, R&D집약도는 대기업의 신제품개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시장선도전략이나 빠른 추종자전략을 택한 기업의 기술성과가 안정형 전략의 기업보다 높았다. 특허생산이 활발한 기업일수록 기술성과가 높으나, 이는 상당부분 특허의 내생성에 기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특허의 생산뿐 아니라 특허와 신제품개발과 같은 기술성과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며, 기업특성에 따른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6,600원
        5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업의 제품혁신 과정에서 기술협력 활동과 전유성의 확보가 제품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협력활동과 전유성의 상호작용 효과 (전유성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과학기술연구원에서 조사한 2010년 한국 제조업의 기술혁신조사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고객과의 협력활동과 계열사와의 협력활동이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유성의 그 자체로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협력활동이 제품혁신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배가시키는, 다시 말해 제품혁신에서 전유성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품혁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제품혁신에서는 기술협력활동뿐만 아니라 전유성의 확보가 혁신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기에 기업에서는 기술협력활동의 활성화 및 기술의 전유성 확보에 힘써야 할 것이며 이러한 전유성의 확보를 위한 기술보호 수단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통찰이 필요하다.
        6,700원
        5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 마케팅 분야에서 제품 전략과 수출 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제품 전략과 수출 성과의 관계는 기존 역량의 활용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혁신활동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기반이론 관점에서 제품 전략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조직학습관점에서 혁신 역량이 제품 전략과 수출 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 수출업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품 품질 전략과 제품 혁신 전략이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적 혁신 역량이 제품 품질 전략과 수출 성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품 전략과 혁신 역량 간 적합성을 통해 제품 전략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이와 관련한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6,700원
        55.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기업들은 환경의 동태성이 증가되면서 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특성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경영혁신이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급변하는 시장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경영환경, 경쟁전략, 조직문화에 의한 인과관계를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식품산업도 예외는 아니어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식품업계에서는 식품의 안전과 위생에 대한 관심은 생활수
        4,900원
        56.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술혁신지향성의 개념이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에 관한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어있지 않고 또한 이에 대한 적합한 변수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한 기술혁신지향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결함을 인지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정립된 개념을 적합하게 포착하는 새로운 측정도구를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을 기술선도 지향성(proclivity to technological leadership)과 기술혁신 개방성(openness to technological innovation)의 두 요인으로 구성된 것으로 개념화하고 그 두 요인으로 구성된 기술혁신지향성의 개념을 변수조작화하기 위한 새로운 측정도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제시된 기술혁신지향성의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또한 그러한 기술혁신지향성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업성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97개의 국내 IT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제안된 기술혁신지향성의 측정도구는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 결과 기술혁신지향성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 기술혁신성과가 기술혁신지향성과 재무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900원
        57.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수의 이론적, 실증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지식재산권 제도와 기업의 기술혁신 및 경영성과간의 일반적 인과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는 산업별 기업 경영성과의 핵심요인이 상이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를 바탕으로 ①지식재산권 강화→연구개발의 투입/산출 증가→매출증가로 이어지는 기본 성과창출경로가 작용하는 제약 산업, ②지식재산권 강화와 연구개발 투입/산출간 관계가 약한 반도체산업, ③연구개발과 매출 간 관계가 약한 조선산업까지 세 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권 제도가 기술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국의 특허제도가 선진국 수준에 이른 TRIPs 이후 15년간의 대기업 패널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고정효과모형을 차분 GMM으로 추정해 동태적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지식재산권 강화가 제약 산업에서는 연구개발의 투입/산출 및 경영성과를 모두 증가시켰지만, 반도체-조선 산업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식재산권 강화를 위한 제도 구축과 정책은 산업별로 맞춤화될 필요가 있으며, 획일적인 강화/약화는 특정산업의 경영성과 제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6,900원
        58.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ganization innovation, personnel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small busines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218 firm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ersonnel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effect positively on all firm performance(sales, profit, market share, custom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innovation effects positively only on market shar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echnical innovation(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effects more positively on sales, pro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than administrative innovation(organization innovation, personnel innovation).
        4,000원
        5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성과작업체계론을 통해 한국 기업의 작업장혁신 실태를 파악하고 나아가 작업장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 그리고 이 관계에 대한 노사협의회 활성화 정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고성과작업체계 및 노사협의회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1,180개 한국 기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기업의 고성과작업체계 수준은 240점 만점에 11
        5,500원
        6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they could be regarded as a most significant drive to prompt growth of a corporation. From this research as core strategy of the enterprise single ppm want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management activity.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successful Single PPM, leadership and corporate culture should be based on. As Single PPM activities factor, Customer Management significantly affects Single PPM Performance. Therefore, to the success of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internal corporate leadership and corporate culture must be formed. And for customer management, should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the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strategically.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