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43.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류는 동물플랑크톤 분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황해처럼 조류가 빠른 곳에서 동물플랑크톤 분포를 조사하는 경우에도 조류의 영향을 무시하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황해에서 조류의 영향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변화 자료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시간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가운데 우점하는 Acartia, Calanopia, Calanus, Centropages, Corycaeus, Lab
        4,000원
        44.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지역에서 생성 및 배출되는 자연황화합물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구명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진은 황해에 위치한 덕적도를 주 측정점으로 설정하고 대기 중에 존재하는 DMS의 농도분포를 1999년 4월과 9월 2차례의 집중측정기간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덧붙여 1999년 6월에는 청도-인천간 해상실험을 통해 황해상의 DMS 농도를 측정하였다. 덕적도를 중심으로 시행한 양 측정기간 중 DMS의 농도값은 4월 측정의 경우 평균과 표준오차가 24.0±40.5 pptv(n=40)인데 반해 9월 측정의 경우 61.1±37.9 pptv(n=35)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상실험에서 측정한 DMS 값은 대체로 배경농도에 가까운 낮은 농도범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DMS의 농도분포는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양상을 보였지만, 주변 기상인자의 변화경향과 유사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와 기존의 연구결과 등을 연계하여 잠정적인 연간 배출량규모를 4Gg 대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배출규모는 과거 제주지역 등을 중심으로 측정한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인데, 시간적 및 공간적으로 대표성이 강한 보다 객관적인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측정 자료의 축적이 요구된다.
        4,000원
        4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46.
        199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4년 7월 25일 발생한 황해남부 지진(Mb=5.5)의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였다. 지진원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 지진에 대하여 이전의 연구에서 얻어진 지진발생기구를 사용하였다. 지진발생기구에 의하면, 이 지진은 거의 동서방향의 압축응력장에 주향이동성분이 가미되어 발생한 것을 암시한다. 지진원 요소들은 단주기 및 장주기 P파에 대한 원지장 스펙트럼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지진모멘트(M0), 코너주파수(f0), 지진원 반경(r) 및 응력강하량(\Delta\sigma)은 각각 M0 = 3.18\times1024 dyne-cm, f0=0.3 Hz, r=3.7km, \Delta\sigma=27bar로 구해졌다. 지진모멘트로부터 산정한 모멘트 규모는 5.6으로 나타났다.
        4,000원
        4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차원 순압모델을 사용하여 황해와 동중국해에서 조석잔차류와 춘 하 추 동 4계절의 해상풍에 의한 해수 순환과 이러한 순환에 의한 부유물의 이동 궤적을 추적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황해 해수 순환의 주요 외력은 조석과 바람이라고 생각되어, 조석은 M2 조석으로부터 조석잔차류를 계산하였고, 계절별 바람으로서 1월(겨울), 4월(봄), 7월(여름), 10월(가을)을 사용하였다. 조석잔차류는 한국 남 서해안과 제주도 부근과 중국 양자강 하구역 부근에서 크게 나타난다. 제주도 부근에서는 10 cm/s 이상의 최대 잔차류가 나타나며 시계방향의 순환을 보이지만 전반적으로 남해안을 따라 동향류의 경향이 있다. 또한, 중국의 연운항에서 상하이 사이의 영역에서는 한국의 남해로 향하는 순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바람에 의해 형성된 순환은 북풍의 성격을 띤 1월, 4월, 10월에는 해역에 시계 방향의 순환이, 남풍과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는 7월에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우세했다. 이로 인하여, 한국연안에서는 7월을 제외하고는 남향류가 나타났다. 부유물은 조석 잔차류와 취송류에 의해 이동한다. 10일 동안의 이동에서는 수 십 cm/s에 달하는 취송류가 조석 잔차류보다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수 개월 이상의 이동에 있어서는 수 cm/s의 조석잔차류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4,200원
        49.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a precise analysis of the long-term(1971-1984) hydrographic and wintertime air temperature data gathered in the middle and southern yellow Sea, and together with other supplimentary data from Gteratures, water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YSBCW) and its southward extension are reexamined ; the influence of the wintertime air temperature on the YSBCW temperature and on its spatial distribution also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hitherto defined water characteristics (T, S) of the YSBCW restrict especially the upper limit of salinity to too lower values compared to the real situation, so they are not adequate to describ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water and its southward extension phenomenon. From the present study, the southward extention of the YSBCW through the cold water through west off Chejudo from spring to summer is found highly possible ; it is strongest is April and it can be detected until August. In consequence of such a southward advection of the bottom cold water, the water temperature at 50m depth in the cold water through west off Chejudo shows its lowest values in April, with a mean temperature increase by 0.4℃ only from April to August(compared to 4℃ increase near the axis of the Yellow Sea embayment). The frequently observed cold water mass from the west to the southwest(near 32°N, 126°E)off the island during spring and summer is connected with and influenced profoundly by the bottom cold water from the southern Yellow Sea, showing almost same water.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latter ; it preserves quite well its wintertime water characteristics until summer. Therefore it seems to be quite reasonable to include this cold water mass(found west to southwest off Chejudo) in the definition of the YSBCW. Here, we have suggested a new definition of the YSBCW : T$lt;12℃, 32.2$lt;S$lt;33.5‰ With this new defini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YSBCW from the offshore of the Shandong peninsula to the southwestern area off Chejudo as well as its southward extension from spring to summer can be adequately described. The wintertime air temperatur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eorological factors, controlling the summertime water temperature of the YSBCW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In other words, the bottom cold water formed during a severe cold winter exhibits in summer lower temperatures and also wider spatial distribution toward the coasts and to the south than that formed during a mild winter.
        4,500원
        50.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황해와 동지나해의 해수순환에 관한 수치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해저지형을 포함한 1층 모형 바다위에 여덟방위의 바람을 차례로 불려 나타나는 해상순환을 비교하였다. 바람의 영향만을 보기 위하여 해류가 존재하지 않는 폐쇄된 바다 위에 바람을 불린 결과 황해의 순환은 풍향에 따라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대체로 남서풍 성분이 탁월해지면 시계방향의 순환이 우세해지고 북동풍 성분의 풍향하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순환이 우세해짐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지나해의 대륙사면을 따라 쿠로시오 해류를 포함시키면 남쪽 동지나해 부근에서는 풍향에 관계없이 시계방향의 순환이 우세해지고 북쪽 황해내부에서는 풍향에 의한 영향이 감소함을 볼 수 있다.
        4,000원
        51.
        198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ynamical conditions for the fronts around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the oceanographical data and simple numerical experiment. The coastal front developed along the coast inside the Yellow Sea and distinguished the Yellow Sea Cold Water Mass from the coastal water is attributed to the predominant tidal mixing near the coast. On the other hand the southern part of the front of the cold water mass would be explained a a part of the extention of a western boundary current which flows into the Cheju Channel.
        4,000원
        52.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rculation of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s simulated by means of the two layer numerical model with bottom topography: The circulation inside the Yellow Sea is mostly affected by the Kuroshio Current in the case without the wind stress exerting on the surface. The main current is trapped along the continental slope by the characteristics of geostrophy. The second strong current region is appear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the Ghina to the Korea Straits, which is characterized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The circulation inside the Yellow Sea is rotated in clockwise direction even though its magnitude is negligibly small compare with the other current, for example, the tidal residual current.
        4,000원
        53.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황해의 저층에 서식하는 강달이 어장의 형성구조와 그 변동에 미치는 해양환경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안강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1970~1979)와 해양관측재료를 이용하여 어장의 계절별, 경년별 변동을 검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강달이 어획율의 약 70%가 집중하고 있는 중요어장은 대흑산도와 Sokotra Rock 주변해역이었다. 또한 이들 해역은 CPUE가 비교적 크고, C. V.가 0.9~1.4로서 작게 나타나 어황이 안정된 좋은 어장을 형성하고 있었다. 주어기는 2~3월과 6~7월이었으며, 1974~1976년의 주어기 CPUE는 평년의 약 2배 이상이었다. 중심어장의 분포역은 평균수심 50m 내외의 황해저층냉수와 대마난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이었으며, 수온 및 염분은 각각 10~13℃, 32.5~34.4‰ 이었다. 주어장은 주로 황해 저층 냉수괴의 연변에서 형성되고, 이 수괴의 소장에 따라 계절변동을 하고 있었다.
        4,000원
        54.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지나해.황해의 최근 10개년간(1970~1979) 안강망에 의한 참조기.강달이 어획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어장의 경년변동과 저층수온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1970~1976년간의 어획량은 수온보다 2~3년 늦은 위상(Time lag)을 가지고 변화하였다. 1970~1973년은 감소, 1974년 초~1975년 말은 급격한 증가, 그리고 그 후 1976년 말까지는 평형상태이었다. 그러나 1976년 이후에는 어획노력량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위상을 가지는 경형은 명확하지 않았다. 또한, 수온이 평년 보다 낮았던 저수온 년인 1977년의 어장분포는 수온이 높았던 고수온 년인 1972년보다 남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향을 보였다
        4,000원
        55.
        197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 1961년(年)부터 1974년(年)까지 (1966년제외(年除外) 13년간(年間)의 열수지(熱收支)를 산출(算出)하고 이 기간(期間)동안 하계동지나해(夏季東支那海)에서의 황해(黃海) 냉수(冷水) 세력(勢力)과의 관계(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황해상(黃海上)의 일사량(日射量)은 동계중(冬季中) 12(月)이 가장 낮아 약 160~190ly/day이고, 1월(月)과 2월(月)로 갈수록 점차 증가(增加)하여 2월(月)에는 250~260ly/day로서 12월(月)에 비(比)하여 79~90ly/day가 컸다. 동계(冬季) 일사량(日射量)의 년별변화량(年別變化量)은 약 50 ly/day 이하(以下)인 것으로 나타났다. (2) 해면(海面)에서의 장파복사량(長波輻射量)이 유효일사량 보다 12월(月)에는 30~70ly/day, 1월(月)에는 27~46ly/day 정도 크게 나타났으나, 2월(月)에는 반대(反對)로 20~30ly/day 정도 작게 나타났다. (3) 일사량(日射量)에서 해면반사량(海面反射量)과 해면복사량(海面輻射量)을 뺀 값은 100 ly/day 이하(以下)이고, 12월(月)과 1월(月)에는 (-), 2월(月)에는 (+)로 나타나며, 3개월간(個月間)의 평균(平均)은 약 -20 ly/day정도이다. (4) 현열방출량(顯熱放出量)과 증발열량(蒸發熱量)을 합한 값은 1963년(年) 1월(月)이 최고(最高)였고 (882 ly/day), 1961년(年) 2월(月)이 최저(最低)였다.(471 ly/day). (5)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 잃어버린 총열량(總熱量)은 1962년(年)이 평균(平均) 588 ly/day로서 최저(最低)이며, 1968년(年)에 716 ly/로서 최고(最高)였다. (6) 1971년(年) 8월(月)에 황해(黃海)와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표층수(表層水)는 여러 종류로 분류(分類)되나, 30m 이심(以深)에서는 수온(水溫)이 6.4˚~13.2℃, 염분(鹽分)이 33.17%˚ 이상(以上)으로서 다같이 저온(低溫)의 성질(性質)을 띠고 있다. (7) 평균(平均) 수온분포도(水溫分布圖)에서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적산수온(積算水溫)을 냉수지수(冷水指數) 50m층(層)의 지수(指數)를 수평지수(水平指數), 32˚N의 20m 이심층(以深層)의 지수(指數)를 수직지수(垂直指數)라 하면, 1962년(年)의 경우 수평지수(水平指數)가 1.86, 수직지수(垂直指數)가 3.18로서 냉수지수(冷水指數)가 5.04였고, 1968년(年)의 경우에는 냉수지수(冷水指數)가 -3.21였다. (8) 냉수지수(冷水指數)에서 11월하순(月下旬)의 황해(黃海)의 수온(水溫)의 표준편차(標準偏差)를 뺀 값 C-T'w와 동계열수지(冬季熱收支)와의 관계(關係)는 C-Tw'=32.06-0.049QT이고, 그상 상관계수(相關係數)는 0.94이다. 또 수평지수(水平指數)에서 초기조건(初期條件)을 뺀값 Ch-T'w/2, 수직지수(垂直指數)에서 초기조건(初期條件)을 뺀 값 Cv-T'w/2와 열수지(熱收支)와의 관계(關係)는 Ch-T'w/2=12.20-0.019QT Cv-T'w/2=18.07-0.027QT이고, 그 상관계수(相關係數)는 각각(各各) 0.90 및 0.97이다. 이 결과(結果)로서 동계(冬季) 황해(黃海)에서의 열수지(熱收支)와의 하계(夏季) 동지나해(東支那海)의 황해(黃海) 냉수세력(冷水勢力)과의 상관계수(相關係數)가 높음이 밝혀졌으므로, 동계열수지(冬季熱收支)를 계산(計算)하고, 11월(月) 하순(下旬)의 황해수온(黃海水溫)만 알면 하계(夏季) 황해(黃海)의 냉수세력(冷水勢力)을 예측(豫測)할 수 있어 어장(漁場) 선정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4,600원
        56.
        197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rge two-boat trawl is of importance in Korean fishery. It occupied 12.8% of total catches in 1974. The author analysed the reports of six large two-boat trawlers operated at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in the term from September 1975 to March 1976.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1,710 of total hauls are operated in the term, and the total catches amounted 559, 181kg. Then, 325kg of catch per unit effort (C. P. U. E) are obtained. The catches are specified into 28% of soles, 12% of shrimp, 8% of yellow corvenia, hair tail, kang-dari, and the rest of miscellanous fishes. (2) C. P. U. E. of the southern sectors of the Soheaksan Is. represented superior catches to compared with others sectors. (3) The monthly variation of C. P. U. E. between sea eel and yellow corvenia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whereas between sole and shlimp, between hair tail and rays revealed nega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4,000원
        57.
        2023.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자연유산은 자연이 인류에게 가져다 준 소중한 자원이다. 중국 옌청황해습지 (中国盐城黄海 湿地)가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후 인지도가 급속히 높아져 유산 지역을 보호하고 합리적으로 개발 이용하는 것이 관심의 초점으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옌청황해습지의 개황과 의미, 가치를 서술하는 기초위에서 이 유산 지역의 관광 상품화의 현황과 문제점을 좀 더 분석하고 관광 제도, 정책 지원, 브랜드 이미지 정립 및 마케팅 강화 측면에서 관광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5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eo-tsunamis are tsunamis that are typically caused by strong atmospheric instability (e.g., pressure jumps) in low pressure systems, but some meteo-tsunamis in winter can be caused by local atmospheric instability in high pressure systems (e.g., the Siberian Hig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meteo-tsunami event related to a high pressure system that occurred during winter on the Yellow Sea in 2005. Sea level data from tidal stations were analyed with a high-pass filter, and we also performed synoptic weather analyses by using various synoptic weather data (e.g., surface weather charts) collected during the winter season(DJF) of 2005. A numerical weather model (WRF) was used to analyze the atmospheric instability on the day of the selected event (21 Dec. 2005).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meteo-tsunami triggered by the high pressure system occurred because of dynamic atmospheric instability induc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iberian High.
        59.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체현미경과 전계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에너지분산형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화학 분석을 통하여 황해중앙이질대에서 채취된 46개의 표층 퇴적물 시료 내에 포함되어 있는 중광물의 종류, 함량, 광물 특성 및 분포를 연구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조립질 퇴적물의 기원지를 유추하였다. 황해중앙이질대 표층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중광물들은 녹렴석군 광물, 각섬석군 광물, 석류석군 광물, 저어콘, 금홍석, 스핀 순으로 산출하는데, 특히 녹렴석군 광물과 각섬석군 광물의 비율이 50% 이상으로 매우 높다. 녹렴석군 광물은 녹렴석, 각섬석군 광물은 에데나이트, 석류석군 광물은 알만딘이 대부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중앙이질대를 124°E 기준으로 구분할 경우, 동부지역이 서부지역에 비해 녹렴석 및 풍화에 강한 (저어콘 + 금홍석)의 함량은 높고, 풍화에 약한 각섬석의 함량은 낮게 나 타난다. 이는 서부지역의 퇴적물은 기원지에 가까운 곳에, 동부지역의 퇴적물은 기원지로부터 먼 곳에 퇴적되었을 것임을 시사해준다. 추후 황해로 유입되는 강 퇴적물과 해양 퇴적물에 대한 추가적인 중광물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기원지와 퇴적과정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60.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환황해권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항만선택 계층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 및 AHP분석을 시행 하였다. 17개의 요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 결과 항만서비스, 항만운영 및 입지적 조건, 배후지와의 연계성, 항만비용, 항만으로의 접근성 및 항 만시설 등 총 6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AHP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요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항만비용, 항만서 비스, 항만시설, 배후지와의 연계성, 항만으로의 접근성 및 항만운영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AHP분석을 통하여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항만인센티브가 환황해권 항만을 이용하는 화주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인센티브제도를 검토한 결 과 환황해권 항만의 군산항, 대산항, 목포항이 화주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였으며, 평택·당진항은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즉, 군산항, 대산항, 목 포항은 기존의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제도의 강화 및 평택·당진항은 화주에 대한 인센티브제도를 도입이 시급하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