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3

        41.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ir English conversation classes taught by native English speakers. Its focus is on finding out how well the students understand and how actively they participate in class, what causes difficulty in their understanding or participation in class, and whether their class helps them in terms of affective aspects and English skill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65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compute basic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Some of the important findings are 1) over 50% of the students understand their classes well; 2) a little over 30%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3) about 30~50% of the students perceive their class help them affectively; and 4) about 50% of the students perceive their class help them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in general.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long with other findings related to the causes of the difficulties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Suggestions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6,100원
        42.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천문 수업에 대한 과학 교사의 교수 실행에서 나타나는 시스템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 다. 이를 위해 4명의 중학교 8학년 과학 교사의 천문 단원 수업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수업은 모두 전사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시스템 사고 위계 구조를 수정하여 개발한 시스템 사고 분석틀을 적용하여 이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분석 후 참여 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지향과 교수학적 생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비디오 자극 회상 면담을 실시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참여 교사들은 천문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의 위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가 학생 중심의 교수 지향을 지녔다 하더라도 시스 템 사고의 교수 실행은 교사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수업의 교수 실행에서 시스템 사고가 부족하게 나타나는 것은 공간적 사고에 보다 집중하는 것과 지구과학 비전공 교사로서의 천문 내용 및 형성 평가 지식 부족 때 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천문 수업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사고의 도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5,200원
        4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나무 및 굴참나무 임분의 지하부 탄소저장량과 영급 및 지역 간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경남 서부 7개 지역(고성군, 하동군, 진주시, 산청군, 의령균, 하동군, 사천시)을 대상으로 각 영급별(Ⅲ: 평균 30년생;Ⅴ: 평균 50년생; Ⅶ: 평균 70년생)로 20 m × 20 m 크기의 조사구 18개소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구를 대상으로 2010년 10월 낙엽층 및 토양 0-50 cm 깊이의 탄소함량 및 저장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두 수종 모두 Ⅶ영급이 가장 높았으나 영급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낙엽층 탄소농도와 탄소저장량도 두 수종 모두 영급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지역별 토양 탄소저장량은 소나무 임분의 경우 진주시가 18.13 Mg C/ha로 가장 낮았고, 하동군이 143.72 Mg C/ha로 가장 높았으며, 굴참나무 임분은 의령군이 21.92 Mg C/ha로 가장 낮았으나, 사천시는 119.9 Mg C/ha로 가장 높아 지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낙엽층 탄소저장량의 경우도 소나무 임분의 경우 의령군이 가장 낮았고 산청군이 가장 높았으며, 굴참나무 임분은 사천시가 가장 낮았고, 고성군이 가장 높아 지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경남 서부지역 소나무와 굴참나무 임분의 지하부 탄소저장량은 영급보다는 지역 간의 차가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4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조실험을 위한 데이터 저장소는 구조실험에 관련된 실험정보를 구조공학자와 연구자들이 편리하게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구성을 가져야 한다.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평가는 데이터 저장소 자체적인 구성에 대한 평가와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실제 정보의 구성에 대한 평가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 저장소의 자체적인 구성은 클래스로 나타낼 수 있고 데이터 저장소 내에 저장된 실제의 실험정보는 객체로 표현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클래스와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구성에 대한 평가요소를 제안한다. 클래스의 속성구성 평가요소로는 클래스내 속성수와 구체적인 값 또는 객체에 의해 구분한 속성의 종류별 수 등이 있는데 이러한 평가요소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소가 정한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 객체의 속성구성 평가요소로는 객체내 값있는 속성수 등이 있는데 데이터 저장소내의 실제 실험정보가 레벨별로 어떻게 저장되어 있는가를 파악할 수 있다.
        4,000원
        46.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what role English writing instructors need to play in peer revision activities.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tudy were asked to go through multiple draft writing process in which they wrote three drafts on each writing assignment and review their peers’ essays in both a written comment sheet and an oral discussion. Overall, the results show that the peer comments played little role in improving the students’ essays from the first to second drafts. However, great improvement is observed from the second to final drafts. Specifically, little effect of the feedback on the improvement of non-linguistic features of the essays is identified. Regarding the linguistic features, improvement was made from the second to final drafts. However, it is achieved by both the peer and teacher comments. Therefore, it is concluded in the study that the teacher comments played a role in helping the students produce the linguistically improved final drafts. The study recommends the instructor’s explicit, detailed feedback to the errors caused from students’ insufficient writing and English competence.
        6,400원
        4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s long been noted that a serious discrepancy exists between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and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 teacher tal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s. To this end, three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es and three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are tape-recorded, and their teacher utterances are analyzed according to forms of utterances, functions of utterances and language types. The result shows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use significantly more command forms and feedback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hile they use significantly more non-class related utterances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utter class-related managerial and disciplinary categories significantly more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while they do miscellaneous categories significantly mor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languages teachers use in the classro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aks English significantly more than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use plain Korean to individual students while using formal Korean to the whole class. Middle school teachers tend to use formal Korean irrespective of whole group, small group and individual students.
        6,700원
        48.
        2014.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factors contributing to verbal participation and the achievement of desired learning outcomes in English medium instruction (EMI) classes in a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This case study uses mixed research methods including surveys, focus group interviews and peer observa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of selected EMI classes. This paper has highlighted several factors which influence active verbal participation and the achievement of desired learning outcomes in EMI classes. The research provides a rich understanding of how differences in teaching styles and learning activities significantly affect levels of verbal participation in EMI classe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achieve desired EMI learning outcom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all of the interconnected elements within the education system, including students, professors, the teaching context,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systems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is research has raised a number of challenges and criticisms concerning EMI courses including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of subject content via a foreign language.
        6,600원
        49.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and second language (L2) writers' perceptions of process-oriented writing, using portfolio-basedinstruction in a secondary English class at general school settings. The participants were 110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private independent school in Gyeonggi. They learned to produce a four-paragraph-English-essay based on the process-oriented writing methodology, keeping a portfolio note for the entire semester. The instructor was a bilingual teacher of English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The 17 weeks' records written in the portfolio note were analyzed to portray whether the approaches enhanced overall performance and understandings about essay-writing.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is approach and improved their writing skills using portfolio-based- instruction. For the sake of implementing the new assessment appropriately at public school setting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o develop how to enhance classroom environ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degree of learner-satisfaction in the essay-writing classes.
        6,400원
        50.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which classes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n the education field, view as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ponse, conceptualize the concrete realities and apply them to the actual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d goal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f 190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742 secondary school students of Seoul Metropolis who were chosen through random sampling. The survey was re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es, after which it was tested with regard to credibility and validity before us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values that should be pursued in ‘good PE classes,’ both teachers and students stated that relationships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with 'transmission' and 'product' viewed as least important on the part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with regard to the factors hindering ‘good PE classes,’ both groups chose the education policy as the main obstacle, with teachers selecting the available facilities and environment as the second greatest factor, and students in turn choosing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ird, with regard to the subcomponent factor, it was found that students viewed meaningful and interesting class contents as important, whereas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it was important to lay down definite goals and contents. With regard to the teaching method, teachers viewed methods that provoke student interest and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student aptitude and ability highly, while students viewed interesting classes as ‘good PE classes.’ Both groups felt that active interaction and an atmosphere of mutual respect were important to the class ambience and environment. Although there was a relatively low response rate with regard to the general view on evaluation,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in order to get a thorough evaluation on ‘good PE classes’ there needed to be an assessment on student attitude and emotion in addition to athletic capability, whereas students felt that a reliable, impartial, and objective assessment was the best way to evaluate good PE classes. Thus, based on the research above, we can define ‘good PE classes’ as classes whe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contents can be delivered to students through various, interesting mean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interact actively, and where not only athletic capabilities, but attitudes and emotions can also be evaluated in an impartial and credible way.
        4,800원
        51.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achers' interaction with their students when teaching science in New York (NY) and in Korea. As part of the 2011 Korean International Teacher Fellows (KITF),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Development (NIIED), Korean science teachers observed, for six months, New York's science classes in terms of how teachers interact with their students and how students learn science during science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were 10 science teachers in five middle and high schools that taught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and Environment Science in NY. The National Board for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NBPTS, 2003) and Instruction as Interaction (Cohen et al., 2003) were used as an instrument to identify each teacher's teaching and classroom interaction. Seve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classes in NY were revealed, which are different from Korean science classes. First, science teachers in NY dominantly put more focus on their subject of teaching during science interaction while, Korean science teachers not only teach science but also do counseling to students as a homeroom teacher. Second, science teachers in NY acknowledged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have positive experienc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upported by their school and district more than Korean science teachers do. Third, science teachers in NY sometimes showed limited knowledge about the concepts of science and lack of collaboration with other science teachers. This characteristics may prevent the school from strengthening its subject program and keeping equity across the grade levels and courses.
        4,800원
        52.
        201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대표적 조림 수종인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임분을 대상으로 총 15본의 표본목 자료를 이용하여 영급별 줄기밀도 및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바이오매스 추정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영급별(20년 단위) Stand 1, 2, 3의 임목 전체 건중량은 2.93, 168.72, 402.27kg/tree로 나타났고, 지상부 건중량은 6.35, 184.74, 251.35 ton/ha 등으로 나타났으며, 지하부를 포함한 임목 전체 건중량은 7.62, 227.77, 308.14 ton/ha로 나타났다. 줄기밀도는 5% 유의수준에서 영급 단위에 따라 0.38, 0.34, 0.34 g/cm3로 영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각각 3.65∼1.28, 4.07∼1.45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줄기밀도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4,000원
        5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양교육 커리큘럼 안에 무용분야를 효과적으로 포용하고자 하는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은 교 양무용의 효과를 제시한 반면 그 교육 전략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을 토대로 변화하는 문화 속에서 무용 연구가 교양교육에 효과적으로 통 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지도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기존 교양무용에 대한 연 구들을 토대로 그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지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교양무용교육은 적절한 시설과 전공교육과는 구분되는 일반인들에게 초점 을 맞춘 교육으로 실기 수업과 이론수업을 적절히 혼용하고 각기 다른 지도법을 적용하여 학생 들로 하여금 무용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과 더불어 미래 무용공연에 관객으로서 참여할 수 있도 록 유도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5,500원
        5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사료 재배 적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가적 사업으로 구축되어 있는 토양과 기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Italian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의 재배 가능 지역을 분류하였다. 토양 데이터베이스는 국립농업과학원의 흙토람에서, 기상 데이터베이스는 국립농림기상센터에서 받았다. 토양 요인 항목으로는 토양물리성인 토성, 배수, 경사, 유효 토심 및 암반노출 등, 토양 화학성인 토양 산도, 토양 염류도 및 유기물 함량 등을 선정하고, 이들의 기준값 및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기후 요인 항목으로는 1월 일최저평균온도, 3~5월의 평균온도,9~12월의 5'C 이상 일수, 10월~익년 5월의 강수일수와 강수량을 선정하고 기준값 및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토양 요인의 관점에서 강원도에서 IRG의 재배가능지 및 재배최적지는 영동지방의 경우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및삼척이며 주로 경사가 완만한 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영서지방은 철원, 양구, 춘천,원주, 횡성, 평창 및 정선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다. 단 영동지방의 경우 서쪽 급경사인 태백산맥은 재배불가지이며, 경사가 완만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재배가능지 이상이었다. 기후요인의 관점에서 강원도에서 IRG의 재배가능지 또는 재배최적지로 영동지방의 경우 고성,속초, 양양, 강릉, 동해 및 삼척의 해안 지역이해당되었다. 영서지방의 경우 대부분의 지역이 재배 불리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일부 춘천과원주에서 60점 이상인 지역에서는 재배 관리에신중을 기해야 한다.
        4,000원
        55.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each background variable of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and satisfaction with PE classes in block-time system, a method of class form by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eek for a plan
        5,800원
        57.
        2012.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d the tearn-teaching at three primary schools in Korea. The data consisted of classroom audio-recordings, in-class observations and post-observation interview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egree to which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TEE) was practiced by Native English Teachers (NETs) and Korean English Teachers (KETs) and the extent to which each case fit five conditions for optim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interaction with an authentic audience; opportunity for the negotiation of meaning; exposure to creative and varied L2; production of creative and varied L2; and engagement in authentic tasks (Egbert & Hanson-Smith, 1999). The main findings were that in five different observation sites, as expected, L I was rarely used in NET classes, but was used in 28% of utterances in KET classes, often to perform functions for which L2 English could have easily been u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very few instances of NET or KET classes met any of the five conditions for optimal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This research proposes that L2 English be maximized in class, and that teachers pay more attention to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for optimal language learning.
        7,000원
        58.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종류의 차량하중을 대상으로 도로의 평탄성과 차량의 속도가 도로에 작용하는 동적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인고속도로의 교통량자료 분석을 통하여 통과빈도가 높은 대표 중차량 개념의 2축, 3축, 4축 그리고 5축 차량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표 중차량을 대상으로 도로의 평탄성과 주행차량의 속도에 따른 동적 축하중을 TruckSim 프로그램을 통하여 산정한 후, 각 대표 중차량을 대상으로 도로 평탄성 변화에 따른 동적하중에 대한 정적하중의 비인 동적하중 증가계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동적하중 증가계수로부터 예측한 동적하중은 3축 대표 중차량에서 IRI가 3.5이고 주행차량 속도가 100km/h일 때 정적하중에 비해 최대 36%에 해당하는 추가적인 동적하중이 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양한 차종에 대한 동적하중 증가계수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축간거리가 짧고 각 축에 가해지는 하중분담률이 높을수록 동적하중 증가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5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흥미를 끄는 game을 수업에 적용하면 학생들의 집중도가 매우 향상된다. 수업에 적용하는 game은 크게 ‘평가용 game’과 ‘학습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game’으로 분류할 수 있다. 평가용 game이란 지정된 학습 목표를 성취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game을 말한다. 학습 요소를 이해하기 위한 game이란 학습 과정 중에 학습 목표를 이해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game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