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4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간척지에서 요소와 유안비료의 시용이 총체보리의 수량성, 사료가치 그리고 토양염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서 2003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충남 당진에 위치한 대호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평균 토양 염류도는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구(T3, T4 및 T5)에서 낮게 나타났다. 생초수량은 요소를 시용한 표준시비구(T2)에 비해 유안을 시용한 T3, T4 및 T5 처리구에서 각각 62% (p>0.05), 41%
        4,000원
        4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딸기 시설재배에서 토양 pH 변화를 수반한 제염방법이 딸기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토양 pH는 제염전 6.0으로 측정되었으나 제염 후 5.8~6.2로 측정되어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고, 유의차도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EC는 제염 전 토양이 1.82dS·m-1이었으나 지하수로 용탈한 처리(A)에서 1.65dS·m-1, 생석회를 500g·200L-1로 용해시킨 후 그 상등액을 관주하여 pH를 상승시키고 3주간을 기다렸다가 용탈한 처리에서 (B)에서 1.72, 황산알루미늄을 0.75g·L-1로 용해시킨 용액을 관주하여 pH를 저하시킨 후 3주간을 기다렸다가 용탈한 처리(C)에서 1.71, 그리고 pH 상승(B 방법) 후 저하시킨(C 방법) 처리(D)에서 1.83dS·m-1로 측정되었다. (D) 처리에서 토양 암모늄 농도가 높았고, (A) 처리의 토양 인산농도가 낮았다. 정식 80일 후의 생육에서 초장은 (C) 처리에서 20.4cm로 가장 컸으나 기타 생육지표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80일 후의 식물체내 무기원소 함량에서 다량원소는 처리간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미량요소인 철, 망간, 아연, 구리 및 붕소는 (C) 처리에서 식물체내 함량이 높았다. 딸기의 수량 및 품질은 (C) 처리에서 50식물체 당 약 137개의 특대과를 생산하였고 과중도 3,784g으로 조사되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B) 처리의 경우에도 특대과의 비율에서 비교적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C) 처리에서 103당 3,123kg의 수확량 및 2,489 kg의 상품과를 생산하여 가장 우수하였으며, (B) 처리에서도 2,820kg/10a으로 비교적 수량이 많아 pH 변화 후 관수하여 용탈시킬 경우 효과적인 제염방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4,000원
        4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tendency to use whole crop rice for feeds as there is an increased rice supply and a decrease in the demand for rice in Korea. Little information, however, is available about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whole crop
        4,000원
        4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료용 옥수수 “DK 7545” 교잡종은 미국의 Dekalb plant Genetics Co., “Garst 8285”는 Garst Seeds Co., 그리고 GW 737은 Crosbyton Co.에서 각각 육성한 품종들이다. 이들 품종들의 수입 사료작물 지역적응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원과 천안 2개 지역에서, 3개년 동안 생산력을 검정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2년 농협중앙회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에서 신규보급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들 교잡
        4,000원
        5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료용 옥수수 교잡종 Nc+4880은 미국의 "NC+hybrids Co.", Garst 8396 IT은 “Garst Seeds Co.” 회사가 각각 육성한 교잡종들이며, 사료작물 수입적응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수 원과 천안 2개 지역에서, 3개년 동안 생산력을 검정한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2년 4월 농협중앙회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에서 신규 보급품종으로 결정되었으며, 이들 교잡종 들의 주요 재배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NC+4880 가.
        4,000원
        51.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풋베기용 콩의 개량을 목적으로 진품 I, II호, 검정 I, II호, 황금, 석량붓콩, 장엽, 검정올콩, 보광, 만리 등 10개의 대두 품종을 재배하여 품종별 특성과 생산수량을 호숙기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10개 품종 중 초고가 큰 품정은 검정 I(118cm), 검정 II호(114cm)와 진품 I호(114cm)와 진품 I호(114cm)이었다. 또한 생초수량은 진품 I, II호, 검정콩 II호가 각각 ha당 23,841kg, 23,499kg, 22,815kg, 건물수량은 각각 ha당 5,531kg, 5,173kg, 5,236kg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많았다. 호숙기의 대두 식물체의 잎과 줄기의 구성비율은 검정올콩과 보광을 제외하고, 모든 품종에서 잎이 많았으며 엽경비율이 가장 큰 품종은 만리(2.1), 진품 I호(1.9), 황금(1.9)였다. 대두 식물체의 건물율은 호숙기에서 조생종인 석량붓콩과 검정올콩을 제외하면 22~23.4% 사이에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키가 크고, 수량이 많으며, 잎이 풋베기용으로 적합한 품종은 진품 I, 검정 II이었다.
        4,000원
        52.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 미생물 A. tumefaciens로부터 cytokinin 합성효소 (ipt) 유전자를 분리하여 형질전환 식물을 작성하였다. 도입된 ipt 유전자는 모든 조직에서 발현되었으며, 잎에서의 발현량이 서로 다른 3개의 형질전환 식물체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식물체는 도입유전자의 고정을 위하여 2회 자가수정을 거쳐 homozygous 식물체를 작성한 후 해석하였다. 형질전환 식물체는 노화가 지연되어 녹엽을 유지하였으며, 측아로부터 측지가 분얼하여 그 수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각 마디에서 복수의 본엽이 생성되었다. 식물체의 노화가 가장 많이 진행된 잎에서의 chlorophyll 함량은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1.5~4배 정도로 wild-type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축적된 cytokinin이 식물의 노화를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분얼 및 잎수를 증가시켜 식물의 수량을 증가시켰음을 나타낸다.
        4,000원
        53.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용율을 높이고 부존식물을 이용 조관료 생산 기반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바다새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바다새의 생육은 출온기에 거의 완료되어 초장, 엽장, 엽폭, 경직경, 분얼수, 개체당 생체중 및 건물 중은 각각 137.5cm, 42.6cm, 4.65mm, 2.48mm, 15.3개, 4 44.6g 및 15.3g 이었다. 2. 생초수량은 출수기에 가장 많아 4,460kg/10
        4,000원
        55.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1991 to 1993 at the forage experimental field,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NU, Suwe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vious crop residues on growth and yield of succeeding corn(2ea mays L.) and also to de
        4,000원
        56.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사료작물과 목초류 7종(호맥, 대맥, 연맥, Italian ryegrass, alfalfa, orchardgrass 및 혼과목초)을 공시재료로 하여 곤포사일리지(BS=baled silage making)조제이용을 위한 수확시기와 이때의 BS 생산성 및 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방법에 있어서 작물재배는 농촌진흥청의 사료작물 및 목초 표준경종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사일리지 조제작업중 BS는 자체적으로 제작한 각형 베
        4,000원
        57.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이른봄에 많이 생산이용되고 있는 호맥을 수영기, 출영기, 유숙기, 호숙기 및 황숙기의 5단계로 예취하여 이들을 임과로 silage를 만들었을 때 그 품질을 분석비교한 것으로써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ilage의 건물회수율은 난숙기부터 높아졌고 (P<0.01), Total-N에 대한 ammonia 태실표의 비율은 난숙기(9.37%)와 호숙기(12.7%)가 낮았다. (P<0.01). 2.Silage의 건물과 건물회수율 및 건물과
        3,000원
        58.
        198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맥(胡麥)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생초(生草) 및 건물소화율(乾物消化率)과 부위별(部位別) 생산량(生産量) 및 이들 시기별(時期別)로 일반성분(一般成分)과 생산량(生産量)을 비교(比較)하기 위하여 수잉기(穗孕期), 출수기(出穗期), 유숙기(乳熟期), 호숙기(糊熟期) 및 황숙기(黃熟期)의 5단계로 나누어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생초수량(生草收量)은 호숙기(糊熟期)가 가장 많았으며(
        4,000원
        59.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suggests the yield forecast models for autumn chinese cabbage and radish using crop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 For this, we construct 24 alternative yield forecast models and compare the predictive power using root mean square percentage errors. The results shows that the predictive power of model including crop growth and development informations is better than model which does not include those informations. But the forecast errors of best forecast models exceeds 5%. Thu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reliable data and improve forecast models.
        60.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rop yield insurance program in Korea has rapidly grown not only in quantity but in quality for 15 years since it was introduced in 2001. Despite growth of Crop insurance, performance evaluation for crop yield insurance has not fully been evaluated at the farm, consumer and national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performance evaluation for crop yield insurance through estimating the effects of farm revenue stabilization and social welfare increase with three popular insurance items: apple, pear and sweet persimmon. Based on the analysis of social welfare effect, cost-benefit analysis of operating crop yield insurance was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We found that crop yield insurance stabilizes farm revenue based on the estimated four risk indicators: Coefficient of Variation, Value at Risk, Certainty Equivalence, and Risk Premium. The result of cost-benefit analysis shows that crop yield insurance increases social net benefit by 44.1 billion won for the three items. As a result, crop yield insurance program has contributed remarkably on social welfare as well as farm management and its role will be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