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8

        4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인 가구의 급증은 지역의 사회경제적 변화과정의 일부로, 최근 많은 연구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을 사례로 그 동안 1인 가구 연구에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던 1인 가구 이동의 시공간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은 지속적으로 1인 가구의 양의 순이동을 보였고, 20대가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전입과 전출에서 20대의 비중이 높기는 하지만 그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50대 이상 고령층의 비중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서울과의 1인 가구 이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경기도이다. 서울 기준 순이동을 보면 지방의 1인 가구는 서울로 향하고 서울의 1인 가구는 수도권, 특히 경기도로 향하는 패턴을 보인다. 셋째, 서울의 1인 가구 증가는 1인 가구의 전입과 관련성이 높으며, 1인 가구의 목적지는 공간적으로 군집되어 나타나고 있다. 1인 가구의 상대적 집중에서는 도심 군집이 두드러진 반면, 절대적 집중에서는 대학가 주변과 강남구의 군집이 두드러졌다. 넷째, 젊은 층의 주요 전입지는 대학가 주변과 강남구인 반면,고령층은 상대적 집중에서는 도심이, 절대적 집중에서는 서울의 외각 지역이 주요 전입지로 나타났다.
        5,200원
        4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몇 연구들은 지역 간 교육격차를 설명하는 원인의 하나로 인구이동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도시내에서 학업성취도의 지역적 차이와 학령인구 이동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인구이동이 어떻게 지역의 인구구성, 교육환경, 주택시장에서의 변화와 연결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는 것이다. 대구를 사례로 분석을 수행하였고, 주요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학교급에 상관없이 지역 간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어와 수학 과목에서 두드러졌다. 둘째, 학업성취도는 공간적 군집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보다 뚜렷해졌다. 셋째, 초등학교 저학년(8~10세)의 순이동률이 학업성취도와 가장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정적인 상관관계는 초등학교 고학년(11~13세)까지만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도와 학령인구 이동은 양방향적 관계를 보이며, 인구이동은 지역의 인구구성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교육서비스와 주택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지역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선별성이 강화된 새로운 인구이동을 유발한다. 즉 교육격차와 인구이동은 순환누적 과정을 보인다.
        5,500원
        43.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calfa pruinosa has been spreading in Korea since 2005, which its first report at Gimhae in Kyeongnam province. It has been harmful to grape and major forest crops by direct sucking and indirect transmitting sooty mold disease causing economical loss. It is necessary to study its tracing route and movement conditions for the further efficient population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its re-invasion. A total of 23 haplotype were observed in the analysis of nucleotide polymorphisms on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I from total 124 voucher specimens among five countries. Only two haplotypes were exist in Korea and HAP1 was accorded with its of some European individuals. Moreover, the analysis of FST and AMOVA, the Korean population was relatively nearer with Spanish and Italian population than American populations, suggesting the Korean population might be originated from some European countries. Eight microsatellite loci were developed and characterized to facilitate more delegat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from 468 individual in five countries. The average character of each or overall population was revealed 18 average individual number, six alleles and 0.676 heterozygosity. The genetic distance (FST) was a little bit high among each populations ranged as – 0.010~0.245. In the tracing route analysis, the originating country of Korean population was also shown as migrated from some European countries. The population genetic analysis using genetic markers will be useful to trace the origin of pest and prevent from re-invasion fro efficient pest management.
        44.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Royal jelly (RJ) is exclusive food that is secreted from the hypopharyngeal and mandibular glands of worker honeybees, and it is well known to be a necessary for the growth of the queen honeybee Although fresh royal jelly have been demonstrated to enhance wound healing, the wound healing effects of water soluble royal jelly (WSRJ) have not been elucidated. We investigated whether WSRJ promotes the migration,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human dermal fibroblasts (HDFs) during in vitro wound healing. HDFs were treated with 1-5ug/ml WSRJ and RJ for up to 24hr following wound formation. Cell migration was assessed by measuring recovery from wound margin, while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were determined by MTT assay. By observing the numbers of cell attached, we confirmed that not only WSRJ but also RJ did not affect on the initial cell adhesion. WSRJ (5 ug/ml) enhanced cell migration rate approximately 84.3% in HDFs at 24hr, whereas RJ (5 ug/ml) increased cell migration rate 71.3% in HDFs at 24hr, which is similar to cell migration rate of WSRJ 1 ug/ml (73.7%). In cell proliferation assays, WSRJ induc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HDFs, compared with control and RJ. In conclusion, WSRJ promotes cell migration with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in an in vitro wound healing model.
        4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서울시 도봉구 내 산림녹지축 단절지역의 도시 생태계 현황분석과 야생조류 출현현황과의 관계를 조사·분 석하여 야생조류 이동루트 설정과 비오톱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 도시생태계 현황분석결과 토지이 용현황에서는 산림, 산지형공원과 저층 단독주거지가 대부 분을 차지하였고 녹지율 분포에서는 녹지율 75% 이상인 지역이 47.7%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토양피복 현황 분석결 과 지붕이 평평한 건물과 녹지 및 오픈스페이스가 주요 유 형이었다. 현존식생에서는 산림 중 자연림과 인공림 면적이 비슷하였으며 도시화지역이 41.3% 면적을 차지하였다. 건 축물의 층고현황은 저층건물 지역에서는 대부분이 5층 이 하의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이었고, 고층건물은 공동주택지 가 대부분이었다. 야생조류 출현현황은 가을철 2회, 월동기인 겨울철 2회, 그리고 번식기인 봄철 1회 등 삼계절에 걸쳐 5회를 실시하 여 월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가을철 출현 야생조류는 총 26종 1,541개체로 다양하였고 겨울철에 출현한 야생조류는 총 22종 1,198개체로 가을철보다 비교적 적었고 봄철에 출 현한 야생조류는 25종 643개체이었다. 봄철의 야생조류는 다른 계절에 비해 조사 횟수가 1회 적어서 개체수는 많이 줄었지만 여름철새 증가로 종수는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 시가화종과 텃새의 우점도 및 출현빈도가 높았다. 분석대상 종은 연구 목적을 고려하여 연구대상지에 출현한 35종 중 도심지에 적응한 종과 맹금류를 제외한 31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각 비오톱 유형별 가을철, 겨울철, 봄철 출현종 및 개체수와 길드분석, 서식유형별, 내부종-가 장자리종, 종다양도를 분석하였다. 토지이용 유형, 식생의 자연성(인공림, 자연림), 식생의 층위구조, 토양피복과 종수간 분산분석 결과 고도의 유의성 이 인정되어 토지이용 유형, 식생의 자연성 및 층위구조에 따라 종수가 차이가 있었고, 녹지율과 출현 종수간의 상관 분석 결과도 고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어 녹지율이 증가함에 따라 야생조류 종수도 증가하였다. 비오톱구조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 이동목표종을 선정하 였다. 이동목표종은 분석대상종으로 선정된 31종의 야생조 류 중 텃새를 중심으로 단기적인 녹지개선으로 이동성이 증가 할 수 있는 종으로 대상지 내 출현빈도가 높은 직박구 리, 쇠박새, 박새 등 3종을 선정하였다. 또한 녹지의 질적 향상 및 장기적인 서식처 조성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도입 가능한 쇠딱따구리, 오색딱따구리, 오목눈이, 붉은머리오목 눈이, 동고비, 청딱따구리, 큰오색딱따구리 등 7종을 추가적 으로 제안하였다. 녹지축 단절지에 이동목표종 출현특성 및 서식유형을 분 석하여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루트를 단기, 중기, 장기로 구분하여 루트별로 현황을 분석하고 비오톱구조 개선방안 을 제시하였다. 단기이동루트는 단절지내에서 비교적 녹지 가 풍부하고 단기 이동목표종인 박새, 쇠박새, 직박구리가 다수 관찰된 루트다. 중기 및 장기 이동루트는 주택재건축 예정지역이 포함된 단독주거지가 대부분으로 단기간에 녹 지 확보가 어렵지만 중·장기적인 개선방안이 실현된다면 야 생조류 유입이 가능한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단절녹지축에 대한 비오톱구조 개선방안으로 단독주택 지는 생활가로조성, 담장 허물기 및 옥상녹화를, 공동주택 지는 녹지구조 개선 및 관목식재 추가, 상업지역은 옥상녹 화 및 가로수 수종 갱신, 학교는 운동장녹화, 옥상녹화 및 불투수포장 개선, 공공기관은 옥상녹화 녹지면적 증대를 개 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노해로와 도봉로는 가로숲 조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녹지축단절지역을 생태축연결지구로 용 도지구를 지정하여 도시관리계획 차원에서 장기적인 연결 목표를 갖고 관리 할 것을 제안하였다.
        46.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stribution pattern and fishing conditions of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in the East Sae were explored using catch and catch per unit effort (CPUE) by eastern sea Danish seine and coastal gill net fisheries from 2004 to 2008. A. japonicus was one of major target species for the eastern sea Danish seine and coastal gill net fisheries in the East Sea, which were caught from April to October for the eastern Danish seine, and from October to December for the coastal gill net, respectively. In recent, the distribution and centroid of fishing ground moved northward, as seawater temperature increased. The species spawned in the coastal areas of Gangwon, northern East Sea, during winter, started to move to deeper water after spawning from spring, extended widely from Gangwon to Ulsan, southern East Sea, during summer, and migrated back to the spawning ground off Gangwon during autumn.
        4,600원
        4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금강하구둑과 관련하여 금강에 서식하는 참게(Eriocheir sinensis)의 이동과 산란을 알아보기 위해 2007년 5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금강 수계에서 조사하였다. 참게의 유생은 5월에 기수역에서 채집되었으나, 이후 치해로 변태하여 소상하는 개체들은 채집되지 않았다. 산란을 위해 참게들이 금강하구에 도달하는 시기는 9월 초순이었고, 3월부터 4월 사이에 산란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기수에서 부화한 참게의 유생이 치해로 변태하여 담수로 이동하는 통로를 만들어 준다면, 금강 수계의 자연산 참게 복원이 제한적이나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April 2010 to the present, seasonal occurrence of Riptortus pedestris was investigated. Five locations for population density and migration route tracking were the same as last year (two sites of Mt. Yangseong, Jujung-dong, O-Chang, and the campus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CBNU)). In Mt. Yangseong, separated the farmland (80m) and forest (200 and 300m) by altitude, population density in 2010 was showed high density at mid-June, mid-Aug., and late-Oct., but population density in 2011 was showed high density at late-April, late-July and mid-Aug. In O-Chang and Jujung-dong, population density in 2010 was captured the adult from June to Aug. in the farmland, and from Sept. to Nov. in the forest. Total captured number of R. pedestris were high in farmland than forest. In campus of CBNU, the adult was captured from mid-Jul. to late-Aug. It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population density by its environmental conditions. Attraction effect of pheromone lure trap with soybeans were good than that of pheromone lure trap only. To track the migration of R. pedestris, we painted the fluorescent paint with different color. Being painted 500 R. pedestris were released and recaptured 10 and 20 days after release. Among released 500 R. pedestris at asl 300m on Yangseong site A and B in 25 Apr. were recaptured one at 300 and 80 m at site A, and site B was recaptured one marked R. pedestris adult at 200 m. In 25 May, release at 200 m in site A was recaptured only 80 m with 2 and site B was recaptured 200m with 8 and 80m with 1. Released in 17 Jul. at 80 m, marked R. pedestris adults were recaptured only 80 m with 5 and 2, respectively. It means that R. pedestris adults seem to migrate from the forest to the farmland in this season, but the data from Aug. to Oct. in 2010 was different.
        5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BRECs에서 AGEs로 유도된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있어서 AuNP의 역할에 관한 연구이다. 소 망막으로부터 내피세포를 분리하고, 세포 생존율은 MTT assay로 확인하였다. Wound migration assay는 BRECs의 이동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Tube formation은 on-gel system을 통해 확인하였다. AuNP의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AGE-BSA은 세
        4,000원
        51.
        2010.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examined Ag migration from the Ag paste bump in the SABiT technology-applied PCB.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measure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g in the insulating prepreg region. The average grain size of Ag paste was 30 nm according to X-ray diffraction (XRD) measurement. Conventional XRD showed limitations in finding a small amount of Ag in the prepreg region. The surface morphology and cross section view in the Cu line-Ag paste bump-Cu line structure were observed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he amount of Ag as a function of distance from the edge of Ag paste bump was obtained by FE-SEM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We used an electron probe micro analyzer (EPMA) to improve the detecting resolution of Ag content and achieved the Ag distribution function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edge of the Ag paste bump. The same method with EPMA was applied for Cu filled via instead of Ag paste bump.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function of Ag and Cu, obtained from EPMA, and concluded that there was no considerable Ag migration effect for the SABiT technology-applied printed circuit board (PCB).
        4,000원
        52.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the tradition of migration in Germany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In particular we critically review the diverse types of migrants and the current situations in Germany. In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the relations among the migration, education and language policy will be dealt with. It is argued that teaching both mother tongue and German as a second language is an integral part of the education system contributing to the integration of the migrant children in Germany.
        4,900원
        53.
        200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KURT (KAERI 지하처분연구시설)를 포함한 지하연구시설에서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에 대 한 연구현황을 조사하였다. 화강암과 같은 결정질 암반층에 건설된 해외 지하연구시설들을 간략하게 소개하 고 비교하였다. 특히 Grimsel Test Site (GTS)와 ¨Asp¨o Hard Rock Laboratory에서의 핵종 및 콜로이드 이동연 구에 대한 주요 국제공동연구의 연구항목 및 내용, 진행중인 연구 프로젝트, 연구계획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4,200원
        54.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eus (Fallén), is a insect vector of Rice stripe virus (RSV) in temperate countries such as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As SBPH is able to overwinter successfully in these areas, RSV disease in subsequent rice fields has been believed to be endemic. In Korea, however, the RSV disease outbreaks have been observed mainly but not continuously at some western regions since 2001, caused a severe damage to the rice production. Although many efforts are underway to explain the outbreak phenomenon, the exact related factors are not known yet. In the meantime of the study on SBPH population dynamics in 2009, we catched unusually large numbers of SBPH adults by aerial net traps, maximally over 900, in early June at western coastal counties such as Taean, Seocheon, Buan, Sinan, and Jindo in Korea. Age distribution changes of SBPH in winter and post-winter seasons at some selected fields shows that the adults might be not related to overwintering population. The adults of overwintering population emerged from early April. Newly hatched nymphs of first generation were found from mid-May. In late May, just before the unusual catch of adult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SBPH were mostly below 5th instars. This means that the big adult populations would be results of mass migration of SBPH abroad. We present also spacial distribution and host relationship of overwintering population as well as viruliferous rate changes of immigratory population.
        5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cal and seasonal populations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 were monitored with sex pheromone trapping and RAP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molecular marker to analyze their movement in apple orchards. To detect their movements among farms, pheromone traps were placed at regions between apple farms (‘outside-farms’) as well as within-farms (‘inside-farms’). Four seasonal adult peaks were evident in apple-cultivating fields from April to October in both trappings of inside- or outside-farms. After overwintering generation, populations of inside-farm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ith frequent insecticide applications, compared to populations of outside-farms. Within apple farms, G. molesta tended to be unevenly distributed because of significant sublocal preference. Active movements of local and seasonal populations of G. molesta were supported by gene flow analysis using RAPD marker. Monitoring data using sex pheromone and seasonal reduction in initial genetic differentiation detected in the overwintering populations suggest that there must be significant movement of G. molesta among different orchards in apple-cultivating areas.
        4,000원
        58.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봄과 가을에 전남 홍도를 통과하는 벌매(Pernis ptilorhynchus)의 이동 규모를 조사함으로써, 기상에 따른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고, 벌매의 이동생태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홍도에서 기록되어진 벌매의 개체수를 살펴보면 2005년 702개체, 2006년 404개체, 2007년 659개체로 나타났고, 이중 봄철에 관찰된 개체수는 2006년 2개체, 2007년 8개체에 불과하여 홍도는 벌매의 가을철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월 20일에서 10월 5일 사이에 많은 이동이 확인되었다. 벌매는 2007년 가을 시간대별로 조사된 538개체의 벌매 중에서는216개체(40.1%)가오전 7시에서 8시 사이에 이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시 풍향 선호도는 이동 방향의 오른쪽 뒤쪽에서 불어오는 북서풍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속이 5m/s 미만일 때 벌매의 이동이 더 활발하였지만, 5m/s 이상의 강한 바람일 경우에는 이동의 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풍속과 풍향은 벌매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판단된다. 한반도의 벌매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지역별로 지속적인 이동 개체군의 규모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자료 부족으로 인하여 국내 가을철 이동 집단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향후 국내 위성추적을 통한 이동경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pulation dynamics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in fields grown with French bean (Phaseolus vulgaris L.) were followed at two different locations in Kenya with the purpose of studying the interplay between local and regional dynamics. The fields were surrounded by two types of window traps which provided data on the relative rates of whiteflies arriving and leaving the fields. These data were supplemented with density estimates of adult whiteflies within the fields obtained by means of pot traps. Whiteflies arrived five days after the crop germinated, causing a quick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infested plants, which reached 98% of all plants one month after germination, corresponding to ca 6 adult whiteflies per plant. Flight activity had two daily peaks, one around 12 hours and one about 16 hours. Activity level was found to increase with temperature (up to 27.5oC) and solar radiation (up to 0.73 kW/m2) and to decrease with wind speed. Immigration rate at first increased with crop age, but reached a maximum of approximately 1.5 whiteflies arriving per plant per day once the crop had reached maturity. A simple statistical model was fitted to sampling data of the number of whiteflies per plant (Nt). The model has three predictor variables: t which is the number of days since germination of the crop, Co(t) and Ci(t) which are the cumulated catches of whiteflies obtained from the outer and inner side, respectively, of the window traps from day 0 and until day t. The model explained 66% of variation in Nt, but surprisingly the model showed that 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i, but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 A possible explanation for this counterintuitive result is that Ci reflects trivial (non dispersal) flights, which is likely to be correlated with the population size, whereas Co reflects the emigration rate, which tends to increase when the whitefly population declines as a result of reduced food quality due to aging or overexploitation. If there are no other suitable fields in the vicinity, a fraction of the emigrating whiteflies will return to the original field to be caught at the outer side of the window traps. Such captures thus represent “false” immigrant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