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

        4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onhyun Hong. 2017. Effects of Perceptual Training on the Identification of American English Monophthongal Vowels by Korean Listeners. Studies in Modern Grammar 95, 55-80. In this study, we tried to demonstrate that a forced choice vowel identification training with feedback for three weeks with naturally produced /hVd/ signals of multiple English talkers’, effectively facilitated 47 Korean listeners to learn to identify English monophthongs. The subjects were assessed before, after and two months after the training with an identification test composed of a group of vowel signals produced by multiple novel talk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identification accuracies improved sharply after training and the improvement persisted for two months. Furthermore, the response latencies at the identification test got drastically shortened at Posttest and the shortened latencies also persisted for two months.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rough three-week training, most of the training effects could be transferred from the short-term memory to the long-term memory.
        4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fter pointing out both the paucity of research on cross-cultural telephone call closings between interactants whose dominant languages differ and the lopsided attention to telephone call openings, the present study first illustrates the reciprocal duplication of the identical terminal elements between the conversationalists across the American telephone closing turns and the progressive unilaterality by one interactant, and in response, the repetition of yey ‘yes’ by the other interactant in the Korean telephone closing turns. Then, it turns to an English telephone call closing between a North-American English speaker and a proficient speaker of English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and whose total length of sta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is limited to between one year and two years. The data illustrate that the Korean caller’s telephone closing sequence in English resembles that of Korean more than that of North-American English in light of the absence of lexical duplication, minimal reciprocity, and the terminal silence in response to bye in English. The source of the Korean-like behaviors in the English telephone call closing is traced to the influence of the telephone call closing sequence in the speaker’s dominant language (i.e., Korean in this case). The present study identifies it as conversational transfer in order to put more weight on the sequential interdependence and reciprocity of cross-cultural telephone conversation closings without limiting the participants to second language learner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based on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lso offered along with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44.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whether an experiment group of thirty-two Korean college students well corresponded to the height of back vowel /ɔ/, the lip-rounding of /ɒ/ and /ɑ/, and the vowel merging of cot - caught as the criteria for telling British from American English. This research finds its meaning in elucid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ual gap or misconception in discriminating British English from American English within the boundary of English vowel height and roundness, and bring to light the possible background reasons. About the vowel /ɔ/, their judgement was seriously hurt because their perception of the vowel height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non-linguistic factors like the preoccupation about a particular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y well adopted and used the lip-rounding difference between /ɒ/ and /ɑ/ as a criterion. However, they failed to use the vowel merging of cot and caught as another criterion because most of the Korean students had not fully familiarized themselves with the vowel merging.
        45.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ranscriptomes of four ginseng accessions such as Cheonryang (Korean ginseng cultivar), Yunpoong (Korean ginseng cultivar), G03080 (breeding line of Korean ginseng), and P. quinquefolius (American ginseng) was characterized. As a result of sequencing, total lengths of the reads in each sample were 156.42 Mb (Cheonryang cultivar), 161.95 Mb (Yunpoong cultivar), 165.07 Mb (G03080 breeding line), and 166.48 Mb (P. quinquefolius). Using a BLAST search against the Phytozome databases with an arbitrary expectation value of 1E-10, over 20,000 unigenes were functionally annotated and classified using DAVID software, and were found in response to external stress in the G03080 breeding line, as well as in the Cheonryang cultivar,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ion binding term. Finally, unigenes related to transmembrane transporter activity were observed in Cheonryang and P. quinquefolius, which involves controlling osmotic pressure and turgor pressure within the cell. The expression patterns were analyzed to identify dehydrin family genes that were abundantly detected in the Cheonryang cultivar and the G03080 breeding line. In addition, the Yunpoong cultivar and P. quinquefolius accession had higher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s expressed in Ricinus communis. These results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inseng transcriptomes.
        46.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nd American blueberry. There was a similarity between the general composition and sugar content of the Korean and American values. The pH values showed a low of 3.46 in American blueberries to a high of 4.49 in Korean blueberries. The L (lightness),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 scores of the American blueberry were higher than the Korean blueberry. The levels of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were 205 mg%, 93.48% in the Korean blueberry and 182 mg%, 84.32% in the American blueberry, respectively. The free sugar levels showed fructose 2,514 mg%, glucose 2,315 mg%, and sucrose 69 mg% in the Korean blueberry, while the free sugar levels of the American blueberry showed fructose 2,106 mg%, glucose 1,825 mg%.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were lactic acid and tartaric acid in the Korean blueberry, while the organic acid in the American blueberry containe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and lactic acid. The Korean blueberry has 12 kinds of free amino acids, while the American blueberry has 9 kinds of free amino acids. Furthermore, the Korean blueberry contains 390 mg% of total amino acids, which was higher than 32% in the American blueberry with 295 mg% of total amino acids. The fatty acid contents of the American blueberry (2,897 m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 blueberry (2,783 mg%) as well as in the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The mineral contents of all the samples were P>K>Ca>Mg, respectively. Given the above results, the Korean blueberry bioactive chemicals or properties were thought to be somewhat higher than the American blueberry.
        4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orientation and business goals and satisfaction of Korean-American business owners. Research design/data/methodology -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and Small Business Orientation (SBO) were the theoretical constructs underlying this research. The responses from 200 Korean-American business owners who participated in the 2005 National Minority Business Owner Survey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Noneconomic business goal was positively related to business owners’ SBO tendency, and those with a SBO tendency had the higher business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EO. Conclusions - Th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business assistance programs that correspond with owners’ business orientation.
        49.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il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648 soybean germplasms of different categories including Korean and American source were analyzed by NIRS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photometer) method at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Milyang, Korea. A
        50.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과 미국삼에 있어 원료수삼의 품질 외적요인과 홍삼품질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종간특성을 비교하였다. 원료수삼의 편급과 등급을 결정하는 품질요인은 체형계수, 동장 그리고 근중을 적용하였으며 이들 요인과 홍삼 품질관계를 구명하였다. 1. 편급의 분포는 고려인삼의 경우 중편과 대편급이 많았으나 미국삼은 중편과 소편급이 많았으며 미국삼은 고려인삼에 비해 동장이 짧고 동직경이 굵고 부정형 지근이 많았다. 2. 원료삼 품질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양호하였고 홍삼품질은 고려인삼이 지삼 이상의 고급홍삼이 많았으나 미국삼은 양삼과 같이 저급홍삼이 많았다. 3. 원료수삼 품질요인중 중편삼과 대편삼의 경우 고려인삼은 체형계수 0.5 이하였으나 미국삼은 0.5를 상회하여 미국삼은 홍삼품질에 적합하지 않았다. 4. 고려인삼과 미국삼 모두 품질요인으로 동장과 근중은 홍삼품질과의 관계에서 비슷한 경향이나 체형계수가 특히 홍삼의 품질을 좌우하는 요인이었다. 5. 따라서 고려인삼과 미국삼 모두 원료삼과 홍삼품질 향상을 위해 근중, 체형계수 그리고 동장의 조정이 요망되었다.
        51.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과 미국삼을 공시하여 Panax속 종간의 원료수삼 및 홍삼 등급에 기초하여 품질을 평가분석하였다. 1. 미국삼은 고려인삼에 비하여 근중이 적고 부정형 지근이 동체에서 많이 발생하는 관계로 체형이 불량하였다. 2. 홍삼수율은 고려인삼이 30.4%,미국삼이 33.8%로 미국삼이 높았고 홍삼의 본삼수율은 고려인삼이 80.4%, 미국삼이 72.2로 고려인삼이 높았다. 3. 원료수삼 1등급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2배정도 많았으나 2등급은 미국삼이 고려인삼에 비하여 많았다. 한편 고급홍삼인 천지삼율은 고려인삼이 미국삼에 비하여 높았다. 4. 홍삼 품질의 저하 원인은 고려인삼 미국삼 모두 내공과 내백 발생에 있었고 특히 미국삼은 내공에 비해 내백이 3배 가량 많이 발생하였다. 5. 홍삼의 지별 분포에서 고려인삼은 20지 이상의 대편급이 많았고 미국삼은 20지 이하의 소편급이 많았다.
        52.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운동과학 및 건강과학 관련 학문 영역에서 문화간 비교 연구는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운동심리학 분야에서 운동행동의 문화비교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의 단계 모형을 기초로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운동행동을 비교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총 352명 (한국인: 189명, 미국인: 163명)이었으며, 각 국 언어로 표준화된 운동행동의 변화의 단계, 변화의 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단지 운동자기효능감만이 한국과 미국대학생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적과 성에 관계없이, 단계적 변화모형의 하위변인들은 각 운동행동의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으로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운동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단계적변화모형의 가능성을 지지한다고 사료된다.
        53.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 목적은 13가지 자신감 향상 전략들에 대한 한국 테니스 코치들의 이용빈도 및 지각된 효율성을 호주 및 미국 테니스 코치들과 비교하는데 있다. 또한 한국 테니스 코치들의 코칭 경험, 국가대표경력 유무, 그리고 학력이 자신감 향상 전략들의 이용빈도 및 효율성에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는데 있다. 피험자들은 클럽이나 중,고,대학에서 지도하고 있는 55명의 테니스 코치들이다. 한국 코치들은 자신감 향상을 위해 고안된 13가지 전략 모두를 적절한 정도로 이용하였으며, 이러한 전략들이 최소 적절한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13가지 전략 중에서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언어적 설득, 성공적인 심상 사용, 자신감 있게 행동,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강도 높은 체력훈련 실시, 시합의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 그리고 유사한 선수나 성공한 선수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는 것 등 8가지 기술들은 한국 코치들이 아주 효과적이고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코칭 경험, 국가대표 경험 유무, 학력에서 판별되는 자신감 전략 변인들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가지 자신감 향상 전략들에 대한 한국, 호주, 그리고 미국 코치들의 결과를 비교해 볼 때, 거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호주 코치들은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자신감 있게 행동, 보상적인 언어사용, 시합의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 그리고 언어적 설득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미국인 코치들은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언어적 설득,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자신감 있게 행동, 보상적인 언어 사용, 시합을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하는 자신감 향상 전략들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한국, 호주, 미국 세나라 국가 테니스 코치들의 공통점은 지도와 훈련을 통한 경기력 증진, 언어적 설득, 자신감 있게 행동, 선수들로 하여금 긍정적 대화 유도, 시합의 결과를 중시하는 것 보다 기술적인 증진을 강조하는 5가지 자신감 향상 전략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Bandura의 자신감 이론의 관점에서 토의되어졌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