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

        41.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native ground cover plants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by estimating the effect of three native ground cover plants, Glechoma hederacea, Thymus magnus, and Ixeris stolonifera, on the soil coverage, time-periodic weed occurrence, fruit characteristic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The plant height of G. hederace, T. magnus and I. stolonifera were 15.0 ㎝, 13.4 ㎝ and 7.2 ㎝, respectively. The dry weight of G. hederace, T. magnus and I. stolonifera were 463 ㎏/10a, 247 ㎏/10a, and 255 ㎏/10a, respectively. The plant height and dry weight of G. hederacea were higher than in the other species. T. magnus and I. stolonifera having relatively lower soil cover rate during their life cycle produced a lot of weeds in the orchar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trast, G. hederacea showed 100 percentage of ground cover in the first year, and maintained high percentage of ground cover in the growing season of ‘Tsugaru’ apple for another 2 years. When the soil was covered with G. hederacea in the orchard for 3 years, the amount of weed was only 114 ㎏/10a and number of weeding was also reduced about 33% compared with control as well as the other speci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ree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ative ground cover plants and the control; however, positive effects of native ground cover plant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found. In G. hederacea, available P2O4content in soils remarkably increased and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ative species. In addition, cation (Ca, Mg and K) content in soils increased by 39% in Ca, 6% in Mg, and 11% in K at G. hederacea compared with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G. hederacea could be advantageous in terms of reducing the amount of herbicide applied and the labor required for weed control, and controlling soil chemical properties; therefore, it is a good candidate for sod culture in an organic apple orchard.
        42.
        2014.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lyethyleneglycol-adsorbed–superoxide dismutase (PEG-SOD), has been proposed as an effective agent for reducing free radical-mediated inju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protective effect of PEG-SOD supplementation on ovarian tissue during transplantation. Ovaries from F-1 mice were collected and vitrified. After warming, ovaries were autotransplanted under kidney capsul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dose of PEG-SOD, (0 U/ml, 100 U/ml, 1,000 U/ml and 10,000 U/ml respectively). Grafted ovaries were retrieved 2, 7 and 21 days later. PEG-SOD was trea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nce every 48 hours and especially for 21 days group, after first week treatment, PEG-SOD was treated once every 4 days. Morphology of ovaries was assessed histological analysis and ELISA for FSH was performed to evaluate restoration of ovarian function. In 2 days groups, morphologically intact follicle ratio of 10,000 U/m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In 7 days groups, morphologically intact follicle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treatment groups. In 21 days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act follicle ratio in total follicles in all groups but intact primordial, primary and secondary follicles ratio was higher in 10,000 U/ml group. FSH levels in blood serum were decrease as time goes on,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each groups. In conclusion, the data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PEG-SOD has a beneficial effect on preservation of the morphologically intact follicle.
        44.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 분포하고 있는 82종의 약용식물에 대하여 환경내성 및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한 탐색을 위하여 항산화효소와 관련된 첫 번째 방어기작인 SOD 효소활성과 Phenol 화합물의 함량정도를 검정하여 본 결과 SOD 효소활성은 원지 (P. tenuifolia Willd.), 백편두 (D. lablab L.), 백개자 (S. alba L.), 대황 (R. palmatum L.), 감초 (G. uralensis Fisch), 연자육 (N. nucifera Gaertn), 지황 [R. glutinosa (Gaertner) Liboshitz], 현삼 (S. buergeriana Miq.), 인진 (A. capillaris Thb.)등에서 다른 약용작물보다 비교적 높은 SOD 효소 활성 능력을 나타냈다. Total phenol함량은 (3~249.731 μg/g)의 범위를 보였으며 지유(S. officinalis L.), 대황 (R. palmatum L.), 복분자 (R. chingii Hu)에서 각각 249.731 μg/g, 209.546 μg/g, 170.333 μ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16종의 phenol 화합물의 경우에서는 82종의 약용식물이 각기 매우 상이한 농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소 및 phenol 화합물이 많이 함유하여 우수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된 약용식물에 대해 그들의 이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화장품, 천연 보존재 및 의약품 등으로 개발 (Cook & Samman, 1996)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47.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두릅나무과 식물 6종의 잎으로부터 2개의 공통적인 superoxide dismutase(SOD) isoenzyme이 구분되었다. 이들 공통적인 isoenzyme(SOD 4와 SOD 6)의 패턴은 오갈피속 식물 중에서 민가시오갈피나무(A. senticosus for. inermis) 잎에서 가장 다양하였고, 그 활성은 섬오갈피나무(A. koreanum) 잎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SOD 4와 SOD 6은 H2O2와 KCN에 의한 선택적 저해로부터 각각 Fe-SOD와 CuZn-SOD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SOD isoenzyme의 패턴은 섬오갈피나무의 성숙한 잎과 수피, 근피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그 활성은 조직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Fe-SOD는 근피에서, CuZn-SOD은 잎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CuZn-SOD나 Fe-SOD 모두 30-40℃에서 높은 활성 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활성이 저해되었다.
        4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볍씨에 염화망간의 농도를 2500, 3500 및 4,500ppm을 처리하여 벼의 초기생육에 대한 생육반응, 엽록소 함량, 유리 proline 및 SOD활성변화를 자포니카형인 일품벼를 실험재료로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장은 무처리보다 망간농도 4,500ppm에서는 0.3cm로 망간농도가 증가할수록 뿌리 생장이 억제되었다. 2. 발아율은 망간농도 3,500ppm에서 68%였으나 망간농도 4,500ppm에서 는 43%로 가장 낮았다. 3,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보다 고농도인 4,500ppm 에서 1.16mg으로 가장 낮았다. 4. 유리 proline 함량은 무처리에서는 발아 후 3일과 8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아 후 3일째 망간농도2,500ppm과 4,500ppm에서 각각 3,286μmole과 5,872μmole로 망간농도가 높아질수록 유리 proline 함량이 증가하였다. 5. SOD 활성은 발아 후 2일째 무처리가 762EU인 것에 비해 망간농도 4,500ppm에서는 1,693EU로 가장 높았다.
        50.
        196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확후 시일이 오래 경과되지 않은 금잔디종자의 발아촉진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자를 흡수시켜서 0~2℃ 에 2~30일 냉장하는 것은 발아조장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2) 종자를 농유산에 넣고 유리막대로 잘 교반하며 1분 30쯤 경과한 다음 수세 파종하는것도 발아조장의 효과가 컸다. 그러나 처리가 지나쳐서 종자가 흑별할 저오닥 되면 도리어 해롭다. (3) 잔디종자의 발아는 광선이 투입될 경우에 조장되며 복토는 발아를 감퇴시킨다. (4) 혼사종피마상 및 선부절제도 약간의 발아조장효과가 있는 것 같다. (5) 지벨레린, NH4 NO3 , NAA 등의 처리는 발아조장효과가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