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9

        41.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waxy corn (Zea mays L.) hybrid, “Mibaek 2” with white kernel was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 (MES),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2005. This hybrid, which has good eating quality, high
        42.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waxy corn (Zea mays L.) hybrid, “Miheugchal” with black kernel was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 (MES),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2004. This hybrid, which has good eating quality and
        43.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Zea mays L.) developed by themaiz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05. This hybrid, which has high yields of drymater,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and grain, was derived from crossing two inbred lines, KS140 an
        44.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Ilmichal, is a waxy corn hybrid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05. This hybrid, which has white kernels, a good eating quality,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
        45.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Chalok 4, is a waxy corn hybrid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04. This hybrid, which has white kernels, a good eating quality and high yield of ear weight, was
        46.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lok3, a new waxy corn hybrid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It is a single cross hybrid, which was crossed between KW35 as a seed parent and KW7 as a pollen parent. Chalok3 was 73 days in days to silking and eight d
        47.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halok, a new waxy corn hybrid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wo inbred lines KW36 as a seed parent and KW1 as a pollen parent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Sinchalok was 66 days in days to silking and early maturity hybr
        48.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신품종 찰옥2호의 안정적인 F1 종자 생산에 적합한 채종 재배법을 구명하고자 1998-2000년 3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찰옥2호의 KW7/KW3교배조합은 KW7의 수임능력 부족과 KW3의 화분비산거리가 짧아서 F1 종자 생산량이 적다. 2. 찰옥2호의 F1 종자 생산은 KW3/KW7 조합으로 하고 KW7에 비닐피복하여 모. 부본을 동시에 파종하며, 재식비율 4:1로 파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3. 찰옥2호의 KW3/KW7 교배조합은 KW3의 부패립 발생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종자의 품질저하 방지와 발아율을 고려하여 출사후 35일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49.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nok3, a sweet corn hybrid that matures early was developed by the corn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RDA in 2001. Inbred KSS2 derived from Golden Bantam was used as the seed parent of Danok3, and inbred KSS22 derived from
        50.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waxy corn hybrid, 'Mibaekchal' with white kernel was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 (MES) of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Hongcheon in 2001. 'Mibaekchal', which has high yield and good gra
        51.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hybrid, 'Heugjeomchal', is a white and black bicolor waxy corn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 (MES),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Hongcheon in 2000. 'Heugjeomchal' was made by cr
        52.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hybrid, 'Dumechal', is a white waxy corn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MES) of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Hongcheon in 1999. 'Dumechal' was made by crossing two inbred lin
        54.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alok 1/Cooktail 51' corns, supersweet corn gene controlled by either brittle-l (bt l) or shrunken-2(sh2) gene introduced into waxy corn, showed agronomic characteristics between supersweet corn and waxy corn. The ears were harvested at different development stages from 15 to 35 days after silking (DAS). Ear diameter of Cocktail 51 and 'Cocktail 51'/Chalok 1 increased from 15 DAS to 30 DAS and little increased thereafter, but that of Chalok 1/Cocktail 51 and 'Chalok l' increased until 35 DAS. Diameter of ear extension increased more in Cocktail 51 and Chalok 1/Cocktail 51 corn than Chalok 1. Ear fresh weight of Cocktail 51 decreased later 30 DAS but those of the other hybrids were vice versa. Rate of super-sweet kernels per ear of Chalok 1/Cocktail 51 corns was about 38 %. Development, and elongation of kernel were much more prominent in supersweet kernel than in waxy kernel, but fresh weight increased higher in waxy kernel than supersweet kernel. Moisture content in kernel decreased from 15 DAS to 35 DAS. Total sugar content of the kernel increased until 25 DAS, and that of Cocktail 51 kernel showed the highest among of them. After cooked by steam, flavor and mastication feeling rate cooked by steam of Cocktail 51 and Chalok 1/Cocktail 51 were increased from 15 DAS to 25 DAS and markedly decreased thereafter. But those of Chalok l/Cocktail 51 and, Chalok 1 were decreased after 30 DA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ptimum harvest date for fresh supersweet corn (Cocktail 51), Cocktail 51/Chalok 1 seems to be about 20 DAS and Chalok 1/Cocktail 51 and waxy com (Chalok 1) was about 25 DAS.
        55.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수수, 수수-수단그라스, 진주조 등 경지사료작물의 simazine과 alachlor에 대한 저항성과 제초효과를 알기 위하여 1988년 봄에 포장시험, 여름과 가을에 pot 시험을 하였다. 공시품종은 옥수수 진주옥, 수수는 Pioneer(P) 931, P947, P956, 수수-수단그라스는 P855F, P988, 진주조는 수원 1호, 수원 6호이었고 시험에 따라 알맞은 품종을 선택하였다. 제초제는 봄의 포장시험과 여름 pot히험은 simazine 수화제(50% ai, g/10a): alachlor 유제(43.7% ai, ml/10a)를 제품량으로 130:0, 100:0, 70:200, 0:300, 0:400의 비율로 처리하였고, 가을 pot 시험은 수수 P 931에 alachlor를 0, 50, 100, 200, 300, 400ml/10a과 simazine : alachlor를 70(g/10a) : 200(ml/10a)으로 처리하였다. 1. 옥수수는 포장시험과 여름 pot 시험에서 모두 simazine과 alachlor에 의하여 출아률, 입묘률, 유묘의 초장과 건물종, 간장, 건물수량 등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수수와 수수-수단그라스는 포장시험에서 simazine과 alachlor에 의해 유묘의 생육과 건물수량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Simazine은 여름 pot 시험에서 출아률과 유묘의 생존률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초장과 건물종은 감소시켰다. Alachlor는 여름 pot시험에서 출아률은 약간 감소시켰지만 유묘의 생존률, 초장, 건물종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가을 pot 시험에서 alachlor는 수수의 출아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0ml/10a 이상에서는 약량이 증가할수록 유묘의 생존률, 초장, 건물종이 감소하였으나 여름보다 생육이 덜 억제되었다. 3. 진주조는 봄의 포장시험에서는 simazine에 의하여 입묘률, 간장, 건물수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여름 pot 시험에서는 유묘의 생존률, 초장, 건물종이 다소 감소되었다. Alachlor는 포장에서 입묘률을 감소시켜 수량이 감소하였고, 여름 pot 시험에서는 출아률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출아한 개체는 하나도 생존하지 않았다. 4. Simazine은 바랭이, 강아지풀, 피 등 화본두잡초에는 효과가 적었으나 광엽잡초는 방제하였고, alachlor는 화본두 잡초와 쇠비름, 비름 등 광엽잡초는 방제하였으나 깨풀과 명아주는 방제되지 않았다. 수확기의 잡초 잔초량은 simazine과 alachlor의 혼합처리에서 가장 적었으며, 작물의 건물수량이 많으면 잔초량은 적었다.
        56.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옥수수의 적정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2년 수원에서 간생 교잡종인 Golden Elite 70을 간기 및 보통기재배로 4수준의 재식밀도(4,500, 5.500, 6,500, 7,500본/10a)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기재배보다 보통기재배에서 간장, 착수고, 이삭크기 등은 컸으나 이삭수는 적었고 10a당 이삭무게는 비숫하였다. 2. 재배유형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은 이삭길이를 제외한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등의 형질에서 5%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재식밀도간 출사기, 간장. 착수고, 이삭크기는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개체당 이삭수는 밀식 할수록 감소되었다. 4. 10a당 이삭수와 이삭무게는 10a 당 6,500본까지는 밀식할수록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밀식할 경우 감소되었다. 5. 따라서 단옥수수의 적정재식밀도는 재배유형에 관계없이 10a당 6,500본 정도가 알맞은 것으로 생각된다.
        57.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채종재배에 있어서 웅주간파 ♂♀ 1 : 2, 2 : 4 등의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종자친의 생육 및 채종량과 화분친의 웅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83년 제천옥의 종자친 KS8/B68과 화분친 KS5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및 간장은 파종양식이나 재식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종자친의 착수고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2. 종자친의 100주당 수수는 10a당 종자친 3,500본에서는 파종양식간에 비슷하나 5,000본 이상에서는 2 : 4 재배보다 웅주간파나 1 : 2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파종양식에 관계없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당입수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고 파종양식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작아졌다. 100입중은 25g 내외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화분친의 화분이 제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채종량은 웅주간파, 1 : 2재배, 2 : 4재배순으로 많은 경향이였고 10a당 종자 친 3,500본에서 5,000본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크게 증가하나 5,000본에서 6,500본으로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채종량 증가는 크지 않았다. 4. 화분친의 웅수장과 웅수당 영화수는 1 : 2나 2 :4재배에 비하여 웅주간파 재배에서 작았고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1 : 2 및 2 : 4재배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2: 4재배에서는 유의하게 작아지지 않았다. 5. 변형단교잡종의 채종에는 1 : 2나 2 : 4재배의 10a당 종자친 5,000본 재식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58.
        198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잡종 옥수수 종자를 생산하는데 있어서 종자친과 화분친의 개화기를 일치시키는 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4엽기와 6엽기에 생장점 상부와 상부 5㎝에서의 식물체절단, 투명비닐피복, 파종기 등이 마치종 자식계통 KS5와 B68의 개화기, 생장 및 채종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장점 상부에서의 절단은 화분비산기를 6-9일, 출사기를 5-13일 지연시켰으나 입모가 30-70%, 파종량이 67-81% 감소되었다. 생장점상부 5㎝에서의 절단은 화분비산기를 1-3일, 출사기를 1-4일 지연시키면서 임모를 감소시키지 않으나 파종량을 3-29% 감소시켰다. 6엽기의 절단이 개화지연효과가 다소 크나 생장점 상부 절단의 경우 입모 감소가 컸었다. 2. 투명비닐피복에 의하여 KS5와 B68의 화분비산일수는 모두 13일, 출사일수는 각각 13, 15일 단축되었고 채종량도 B68의 경우 47% 증가되었다. 3. 파종기가 14-56일 지연됨에 따라 KS5의 화분비산기는 3-29일 B68의 경우는 2-25일 지연되었다. 출사기는 화분비산기보다 2-4일 늦었다.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두 계통의 파종에서 개화까지 일수가 단축되었으나 같은 기간의 유효적산온도(GDD)는 비슷하여 파종기에 의한 개화기조절시 GDD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파종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고 특히 B68이 감소 정도가 컸었다.
        59.
        198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흑조위축병의 이병이 심한 남부평야지에서 사일리지 옥수수의 대체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율무 2품종, 염주 2품종,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 1품종(Pioneer-988), 옥수수 1품종(광옥)을 공시하여 사료생산성을 검토하고 또 조사료생산에 알맞는 율무와 염주품종의 생육특성을 비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발로 인하여 발아가 지연되어 파종에서 출현까지 일수는 율무와 염주는 30-34일,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은 18일, 옥수수는 19일이 소요되었다. 2. 생체수량은 율무와 염주를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것과 개화기마다 2회 예취한 것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수량 및 가소화건물생산량은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것이 2회 예취한 것보다 많았다. 3. 개화후 40일에 1회 예취한 율무 및 염주의 건물수량은 3회 예취한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옥수수보다는 건물수량이 높았으며 2회 예취한 율무 및 염주의 건물수량은 옥수수 보다 낮았다. 가소화건물생산량은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이 가장 높고, 옥수수, 염주품종 1의 1회 예취가 그 다음이며 2회 예취한 율무와 염주의 가소화건물생산량이 가장 낮았다. 4. 율무와 염주의 초기생육 및 예취후 재생력은 수수-수단그래스 교잡종보다 현저히 낮았다. 5. 옥수수는 대부분이 흑조위축병에 이병되었고 간장, 수장, 수중, 건물수량 등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6. 율무와 염주 품종 중 사료생산에 알맞는 것은 포가 두껍고 종자가 구형인 염주품종이었으며 초장이 크며, 간경이 굵고, 엽신폭이 넓고, 생초 및 건물수량이 높고 엽신이 총건물중에 차지하는 비율이 커서 조사료생산에는 타 율무 및 염주품종보다 우수하였다. 7. 조곡수량은 율무 및 염주의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염주 품종은 포가 두꺼워 정곡/조곡 비율이 현지히 낮아 정곡수량은 율무품종이 염주품종보다 현저히 높았다.중국품종이나 전부가 ZT-1 및 ZT-3형을 나타내는 중화민국, 필리핀 및 인도의 품종들과는 전혀 다른 pattern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한국과 중공이 변이가 많은 다양성의 중심지역임을 나타내었다.절작용으로서의 생리적 활력 증대가 뜸묘의 발생을 예방적으로 방제하는 간접효과라고 해석된다. 직접 녹음하여 음향 음성학적으로 분석함이 필요하다.4시간 배양후에 28℃ 로 옮기어 배양한 결과 ts-U601, -U603, -U604와 -U171은 성장을 더 이상하지 않았다.ta-exotoxin을 생산했는데, 48시간 배양 배지 m 당 70ug을 분비한 균주는 BTK-1이고, BTK-37 균주는 m 당 88ug(6.1 108 Cells/m ) BTK-35 균주는 m 당 81ug(5.2 108 Cells/m )을 생산했고. 그외는 모두 70ug미만이었다. 3. Beta-exotoxin과 B. thuringiensis 균체을 동시에 per os, interaperitoneal injection, subcuntaneous injection, nasal cavity inoculation, intracerebral injection을 120시간 처리했어도 치사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삼각호마법 and Japan#s 병음한자변환방식 have prospect to be prevalent. The follo
        1 2 3